2014년 2월 13일 발췌
원효사소장만수사범종 (元曉寺所藏萬壽寺梵鍾)
기본정보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총 높이 86㎝, 몸체 높이 66㎝, 입 지름 63㎝인 범종이다.
종을 매다는 부분인 용뉴는 각각 여의주을 물고 있는 2마리의 용으로 장식하였는데, 용머리 위에도 불꽃에 휩싸인 1개의 여의주을 장식하였다. 용머리 장식이나 발의 조각기법은 약간 경직되어 있다. 음통을 대신하여 종의 윗부분에 2㎝ 정도의 구멍을 종의 윗부분에 뚫었다.
종 위쪽 띠에는 범자 문양 띠를 둘렀으며, 띠 아래에는 사각형의 유곽과 4구의 보살상이 동일선상에 번갈아 배치되었다. 유곽과 보살상 사이에 왕실의 안녕을 비는 글이 새겼다. 유곽 안에는 연꽃무늬의 바탕에 연봉오리 모양의 9개의 유두가 도드라지게 새겨 있다. 유곽 아래에 새긴 글로 보아 이 종이 숙종 36년(1710) 만수사에서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종은 몸체 높이와 입지름의 비율이 거의 1:1로 전형적인 조선종의 비율을 지니고 있으나, 용뉴 부위의 표현이 경직되고 음통대신 음구멍을 넣는 등 양식의 퇴화가 엿보인다. 또 당좌 및 하대의 문양이 없어지는 등 조선후기 범종의 특징이 나타나는 점에서, 범종의 양식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출처 : 문화재청>
주소: 광주 북구 무등로 1550(금곡동) | 전화번호 : 062-266-0326
문화재 지정현황 : 유형문화재 제15호 | 문화재 제작연대 : 1710(조선 숙종 36)
출처 : 광주시문화재사이트 2014년 2월 13일 현재
==============================================================================
2014년 2월 13일 발췌
출처 : 원효사 사이트 2014년 2월 13일 현재
==============================================================================
자료발췌 2009년 9월 13일 현재
| ||||||||||||||||||||||||||||||||||||||
==========================================================================
원효사(元曉寺) 강희사십구년명(康熙四十九年銘) 범종(梵鍾)(2-89, 3-67)
소재지(所在地) :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북구(北區) 금곡동(金谷洞) 846
연 대(年 代) : 1710年(숙종(肅宗) 36年, 강희(康熙) 49年)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측치(實測値) : 총고(總高); 85cm, 용통고(甬筒高); cm, 상대폭(上帶幅); 7cm,
유곽장(乳廓長); 16×17cm, 구경(口徑); 63cm, 종신고(鍾身高); 71.5cm, 용통경(甬筒徑); cm,
하대폭(下帶幅); cm 종구후(鍾口厚); 6cm, 용뉴고(龍鈕高); 13.5cm, 천판경(天板徑); 42.5cm,
유곽폭(乳廓幅); 2cm, 당좌경(撞座徑); cm
동종(銅鍾)의 정상(頂上)에는 일체쌍두(一體雙頭)의 용뉴(龍鈕)를 구비하고 있으며 정상
(頂上)의 형태는 중앙에 경(徑) 2cm정도의 원공을 갖춘 반구형(半球形)이다. 천판(天板)인
종정부(鍾頂部)와 접하는 계선상(界線上)에는 1조(條)의 융기된 태선대(太線帶)를 돌려 구
분(區分)하고 그 밑으로 상대(上帶)로 보이는 위치에 경(徑) 7cm정도의 원좌에 범자(梵字)
를 갖춘 문양대(紋樣帶)를 돌려 장식하였다.
종신(鍾身)에는 독립되게 떨어져 있는 유곽 4개(個)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고, 유
곽문양은 사격문을 엇비슷하게 교대로 장식 처리하였고 화좌에 자방이 돌기된 9유두를 갖
추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원형 두광과 보관을 갖춘 22cm 높이의 보살입상 4구(軀)를
배치하였다. 이중 1구(軀)의 보살입상 바로 밑으로 ‘강희(康熙)四十九年경인(庚寅)四月日’
‘추월산만수사대종주성야(秋月山萬壽寺大鍾鑄成也)’라는 명문(銘文)이 있어 주조년대(鑄造年
代)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여러 곳에도 양주(陽鑄)된 명문(銘文)과 후각(後刻)한 명문(銘
文) 등이 보인다.
하대(下帶)는 이 당시의 범종 등에서 공통으로 보이듯 아무런 장식이 없다.
강희(康熙) 49年 경인(庚寅)은 숙종(肅宗) 36年(1710)이며, 추월산(秋月山) 만수사대종(萬
壽寺大鍾)으로 주조(鑄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간 한국의 범종
'역사의 울림 속으로 > 조선의 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동 쌍계사 동종 (河東 雙磎寺 銅鍾) (보물 제1701호) (0) | 2007.03.31 |
---|---|
거창 고견사 동종 (居昌 古見寺 銅鍾) (보물 1700호) (0) | 2007.03.31 |
남원 실상사 동종 ((實相寺 銅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0) | 2007.02.03 |
목포 달성사 범종 (건륭25년명 범종) (0) | 2007.01.21 |
전라북도 완주군 안심사 범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0) | 2007.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