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더블 벨 (Double Bell)

음악 연주용 악기 종(Musical Instrument, Double Bell) 자료명 : 더블 벨 (Double Bell)시대  : 19세기 후반지역 : 카메룬사용자 : 카메룬 사람들재질 : 철규격 : 놀이 33cm, 넓이 6.4cm사용법 : 클래퍼(종추) 없이 종신의 바깥면을 두드려 사용     자료명 : 더블 벨 (Double Bell)시대  : 19세기 후반지역 : 카메룬사용자 : 카메룬 사람들로 유추재질 : 철과 나무규격 : 길이 46.3cm사용법 : 클래퍼(종추) 없이 종신의 바깥면을 두드려 사용     이 더블 벨은 나무로 두들겨 소리를 내며 4분의 1 간격으로 두 개의 음을 내는 방식으로 연주된다. 철가공을 통해 만들어진 싱글 벨과 더블 벨은 서아프리카에 널리 퍼져 있으며 여러 가지 다른 ..

상여종 - 선소리꾼종

상여종(鐘) - 방울(국립민속박물관) 명칭 : 종(鐘) 다른명칭 : 상여종, 방울 국적/시대 : 한국 - 광복이후 분류 : 사회생활 - 의례생활 - 상장 - 기타 재질 : 금속 크기 : 높이 4.5cm, 너비 6.1cm 소장품번호 : 민속 80973소장품설명 : 소리꾼이 상여를 인도할 때 흔드는 종. 반원형. 몸체 안에 추가 달려 있음. 표면에 음각선 2조 있음. 상단에 쇠로 된 고리 달리고 철사가 걸려 있음. 기증자의 어머니,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사용됨. 출처 : 전국박물관소장품 검색 이뮤지엄 2025년 1월 5일 현재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108097300000 종(鐘) - e뮤지엄 소장품검색종(鐘) 국립민속박물관 원본 해상도..

익산시 출토 풍탁

청동제풍탁  명칭 : 청동제풍탁 다른 명칭 : 靑銅製風鐸 국적 : 한국-고려​ 재질금속 : 청동분류 : 주 - 건축부재 - 기타 : 풍탁​크기 : 최대지름 13cm, 높이 19.1cm출토지 : 전라북도 익산시소장품번호 : 익산 2 ​  전형적인 범종형으로서 탁신 정상부에는 약간 만두형의 천개를 이르고 있으며 중앙부에 U자형의 종뉴가 달려 있다. 탁견부에는 3조의 윤대구획선(輪帶區劃線)이 설치되어 이조의 윤대(輪帶)가 장식되어 있다. 이 상단대는 탁견부에 위치하여 몰딩의 반환형대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상윤대선은 견상면인 천개부에 두고 상대와 하대 사이에 중간윤대선(中間輪帶線)은 견치하인 탁신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하단대는 견치하인 탁신 상부에 비해 넓고 장식이 없다. 탁신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청자범종

청자범종국립중앙박물관 명칭청자범종 다른명칭靑磁梵鐘 국적/시대한국 - 고려 분류종교신앙 - 불교 - 의식 - 범종 재질도자기 - 청자 작가미상 크기높이 30.5cm, 바닥지름 18.3cm 소장품번호건희 342 출처 : E뮤지엄 (한국박물관 소장품검색) 2024년 11월 18일 현재https://www.emuseum.go.kr/headerSearch?category=&rows=9&pageNum=1&radioSearchCheck=unifiedSearch&headerSearch=&keywordHistory=%EB%B2%94%EC%A2%85&searchType=&keyword=%EB%B2%94%EC%A2%85 범종의 검색결과 234건 - e뮤지엄 소장품검색 www.emuseum.go.krⓒ 저작권은 위 사이트에 ..

2019 한-아세안 정상회담 평화의 종

2019 한-아세안 정상회담 평화의 종 (Bell of Peace, Busan) 2019년 11월 25~26일 부산에서 개최된 한국-아세안 정상회담에서 부산시가 10개국 정상들에게 선물한 평화의 종. 이 종은 국보인 '선덕대왕신종(에밀레종)을 축소한 것이다. 시 관계자는 “부산에서 아세안을 거쳐 전 세계로 평화가 퍼져 나가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았다”면서 “한반도 평화 정착의 중심지인 부산이 평화도시로 각인될 수 있도록 평화의 종을 제작했다”고 말했다. 출처 : 부산일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112019213853281 연합뉴스 https://en.yna.co.kr/view/PYH20191120245500320 2022년 6월 4일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