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청주박물관 소장 청주 수동 운암산 출토 고려범종

korman 2016. 12. 7. 14:59

청주박물관 소장 청주 수동 운암산 출토 고려범종



종 (靑銅梵鐘)


유물번호공주558

국적/시대한국-고려

크기높이 34.8cm

출토지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재질금속-청동

첨부파일


상세내용

작은 크기의 종이다. 음통(音筒)을 감싼 용은 갈기와 비늘이 선명하고 들어 올린 발에 여의주가 있다. 음통은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원통형으로, 마디가 없이 주름 장식으로 표현하였다. 음통의 윗부분에는 꽃잎 위에 구슬 장식이 달려 있다. 연곽(蓮廓) 역시 넝쿨무늬를 둘러 장식하였고, 그 안에는 연꽃 받침 위에 돌출된 연뢰를 배치하였다. 연곽 아래에는 연꽃무늬 당좌(撞座)와 구름 위에 서서 합장(合掌)하는 보살상(菩薩像)을 각각 2곳에 배치하였다. 입상화문과 도식화된 음통, 보살상 등으로 보아 고려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 청주박물관 홈페이지 유물검색 2016년 12월 7일 현재

https://cheongju.museum.go.kr/www/psgudView.do?key=90&psgudCd=&psgudNo=597&mainPsgudAppn=&pageUnit=12&searchCnd=all&searchKrwd=%EC%A2%85&pageIndex=3


======================================================================


충북 청주 출토 범종(忠北 淸州 出土 梵鍾)(2-38)


소 재 지(所 在 地) : 충청북도(忠淸北道) 청주시(淸州市) 국립청주박물관(國立淸州博物館)

연 대(年 代) : 13세기 말∼14세기 초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34.5cm 종신고(鍾身高); 24cm 용통고(甬筒高); 10.5cm

용통경(甬筒徑); 3cm 상대폭(上帶幅); 1.5cm 유곽폭(乳廓幅); 2cm

유곽장(乳廓長); 6.7×7.8cm 당좌경(撞座徑); 7cm 하대폭(下帶幅); 2.8cm

종구경(鍾口徑); 20.1cm 종구후(鍾口厚); 1.7cm


1972年 『고고미술(考古美術)』 113․114號91)에 소개(紹介)되었던 것으로서 현재 국립청

주박물관(國立淸州博物館)(소장번호(所藏番號) 558號로 등록), 보존(保存)되고 있는 종(鍾)이

다. 1970年 6月 5日 충북(忠北) 청주시(淸州市) 수동 운암산 6번지(番地)에서 육종명씨(氏)

에 의하여 발견(發見)된 소종(小鍾)으로 완전(完全)한 형태를 갖췄다.

종정상(鍾頂上)에는 용뉴(龍鈕)와 용통(甬筒)을 구비하고 있으나 종신(鍾身)에 비(比)하여

과대한 느낌을 준다. 용뉴(龍鈕)는 좌족(左足)에 여의주(如意珠)를 장악하고 있으며, 용통(甬

筒)은 타(他) 범종(梵鍾)과 달리 용통(甬筒) 자체가 나선(螺旋)의 절문(節紋)으로 조식(彫

飾)되고 그 정상(頂上)에는 8판(瓣)의 화엽(花葉)으로 되어있다.

천판(天板)과 상대(上帶)가 접(接)하는 천판(天板) 주연상(周緣上)에는 3각형(角形)과 유사

한 입상화문대(立狀花紋帶)를 돌리고 있고 상대(上帶)․하대(下帶) 유곽(乳廓)의 주문대(主

紋帶)를 동일(同一)하게 당초문(唐草紋)으로 조식(彫飾)하였다. 종신복(鍾身腹)에는 두광(頭

光)을 갖추고 운상(雲上)에 합장(合掌)한 입상(立像) 2구(軀)와 원형(圓形) 연주문대(連珠紋

帶) 내(內)에 복판(複辦)16엽(葉)의 연화문(蓮華紋)을 조식(彫飾)한 2개(個)의 당좌(撞座)를

보살입상(菩薩立像)과 교대(交代)로 종복(鍾腹)에 배치하고 있다.

이 종(鍾) 역시 주조년대(鑄造年代)는 13세기말 14세기 초엽(初葉)으로 본다.


출처 :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 간 한국의 범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