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년만에 미국에서 돌아온 산 페드로종 (San Pedro Bell)
남중국해에 접한 필리핀 라 우니온주 (Province of La Union)의 바우앙 (Bauang) 지역이 있다. 1883년 이 지역의 신부에게 주지사로부터 큰 종이 하나 주어졌다. 그 종은 산 페드로 (San Pedro)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지역 본당교회였던 성 베드로와 바오로 성당 (Saints Peter and Paul Church)에 설치되었다.
▲ 성 베드로와 바오로 성당 (Saints Peter and Paul Church)
1899년~1902년가지 계속된 미국과 필리핀간의 전쟁중 1901년 미국의 전쟁 지휘관이었던 장군이 이 교회의 종, 산페드로종을 전리품으로 취득하여 미국으로 가져갔다. 그는 1915년 미국 육군사관학교(웨스트 포인트)의 관리자가 되면서 이 종을 웨스트포인트에 기증하였고 이 종은 최근까지 웨스트 포인트의 성역에 웨스트 포인트의 상징이 되어 설치되어 있었다.
▲ 웨스트 포인트에 설치된 산 페드로종
높이 69.50cm, 입지름 약 88.50cm, 무게 378.30kg, 1883년 주조. 금,은,동의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여러사람의 노력과 협조와 종과 관련된 당사자들 및 기관들의 협의와 협조로 이 종은 웨스트 포인트에서 필리핀으로 반환 결정이 내려졌고 2016년 4월 29일 웨스트 포인트에서의 마지막 타종이 이루어졌고 5월 24일 철거되어 필리핀 본래의 고향으로 향하는 배에 선적되었다.
▲ 웨스트 포인트에서 철거되고 있다.
▲ 115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와 성 베드로와 바오로 성당 종탑 아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 이 종과 관련한 양측의 정반대되는 언급이 재미있다. 종을 빼았겼던 필리핀의 주장은 전쟁당시 미군이 전 리품으로 빼았아갔다고 하고 미국측에서는 종이 훼손되아 바닥에 방치된 것을 발견하고 종을 녹여 무기를 만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져갔다고 주장한다. 이 종은 금,은,동 합금이라는데 대포를 누가 금은동으 로 만들까? 이것도 역사는 이긴자가 쓴다는 논리의 한 페이지인가? - 블로그 주인 왈 -
출처 : inquirer.net
http://lifestyle.inquirer.net/230226/return-of-san-pedro-bell-brings-hope-for-balangiga-bells-r epatriation/
Stars and Stripes
http://www.stripes.com/news/pacific/west-point-returns-bell-taken-from-philippines-church-1 00-years-ago-1.407085
웨스트포인트 홈페이지
https://www.army.mil/article/168188/the_west_point_catholic_chapel_san_pedro_bell_returns_to_t he_philippines
아시안 저널
http://asianjournal.com/news/west-point-ny-chapel-returns-san-pedro-bell-to-bauang-la-uni on-church/
simbahan.net
http://simbahan.net/2016/10/15/bauang-churchs-san-pedro-bell-returned-home/
2017년 2월 19일 현재
'세계의 울림 속으로 > 아시아의 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 1901년에 미군이 노획해간 발랑기가 벨 (Balangiga Bell) (0) | 2017.03.04 |
---|---|
(중국) 캐나다 토론토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Royal Ontario Museum, ROM)의 중국종 (0) | 2017.02.28 |
(미얀마, 버마) 영국 대영박물관 소장 버마(미얀마) 종 (0) | 2017.02.09 |
(필리핀) 비간 (Vigan)시 반타이구역(Bantay district)의 반타이 종탑 (Bantay Belfry)과 종 (0) | 2017.01.20 |
(일본) 제네바의 도쿄 미나토의 주이쇼지(瑞聖寺 (이명 瑞松寺), Zuishoji temple) 종 (0) | 2016.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