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흐름속으로/잡다한 이야기

달라이라마의 행복론-달라이 라마·하워드 카틀러

korman 2023. 6. 3. 14:58

230419-230531

달라이라마의 행복론-달라이 라마·하워드 카틀러-류시화 옮김-김영사

 

책이 좀 두껍고 (종이도 물론 두껍다) 페이지마다 글자 수가 많으며 책장을 넘길 때마다 생각할 것이 많은 책이기는 하지만 마지막 장을 넘기기 까지 일반적인 책에 비하여 너무 많은 시일이 걸렸다. 물론 5월에 책을 읽을 수 없었던 날들이 좀 있기는 하였지만 한 달 하고도 열흘이나 걸렸다. 이 책이 최초  발행된 때를 보니 2001년 말에 처음 발간되고 2002년에 본격적으로 인쇄되었으니 내가 처음 이 책을 대하고 페이지를 넘겼을 때는 2002년 초일 것 같다. 처음 읽었을 때는 지금보다 더 했을 테지만 두 번 읽었어도 아무런 생각이 나지 않는 것은 매한가지였다. 흡사 어떤 스님이 왜 사냐는 물음에 ‘그냥 산다’라고 답했다는 것처럼 그냥 읽었다라고 하여도 좋을 듯이.

이 책은 정신과 의사인 ‘하워드 카틀러’라는 사람이 오랫동안 달라이 라마의 강연을 듣고 또 인터뷰한 내용들을 정리하여 ‘행복’이란 주제로 편찬한 것이다. 그러니 최신 의학을 기본으로 인간의 정신세계를 연구하는 의사와 종교인지만 종교를 초월하여 인간의 본바탕에 행복을 위한 정신적 거름이 되는 가르침을 전하는 ‘달라이 라마’의 교감을 전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통상적으로 같은 정신세계를 논하는 내용이지만 종교적이거나 영적인 이야기와 현대 과학 혹은 의학으로 대두되는 같은 세계는 서로의 주장에서 충돌하는 면이 없지 않아 있다. 영적인 면을 의식하면서도 과학은 이를 입증해야 하는 책임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게 아닐까 생각된다. 그러나 이 책에서 그런 충돌은 느껴지지 않는다. 세계적인 영적 지도자라는 선입견을 떠나 의사도 인간의 영적 정신세계에는 토를 달기 어려웠을 것이다.  

행복하냐는 물음에 달라이 라마는 망설임 없이 “행복하다”라는 답변을 내 놓는다. 사실 그는 세계적인 영적 지도자이기 이전에 한 국가의 망명정부 수장이며 티베트라는 나라의 최고 지도자이다. 티베트는 지금 중국의 지배를 받고 있다. 어떤 이유에서 중국이 자기네 땅이라고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우리가 일본의 지배를 받은 것 하고는 다른 사연이 있는 모양이다. 그리고 나라를 잃은 지는 70여년이 훌쩍 지났으며 잃은 나라를 언제 다시 찾을 수 있을지 기약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그가 영적지도자로만 나서는 것은 아니다. 티베트를 되찾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상대가 중국이라 애처롭게만 느껴진다. 어쩌면 세계를 누비며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다듬어 주는 역할 자체가 나라를 찾기 위한 노력일 수도 있다. 나는 행복에 대한 그의 대답이 우리의 정치가들이 침도 바르지 않고 대답하는 의도적인 대답과는 달리 행복하다는 답변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나라를 잃고 고생하는 티베트 국민들 생각과 어떻게 하면 하루 빨리 빼앗긴 나라를 되찾을까 하는 생각에 매일 밤잠을 설칩니다.”라는 대답이 먼저 나올 것으로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책장을 쉬이 넘기지 못한 것은 책을 읽는 내내 책에 집중하는 것 보다는 ‘나는 행복한가?’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달라이 라마는 다른 책에서 중국계 홍콩인의 조심스러운 물음에 “중국인을 미워하지 않는다”라고 대답하였다. 일반 중국인들이 나라를 빼앗은 게 아니고 정치가 빼앗은 것이기 때문이라는 뉘앙스를 풍긴다. 누군가를 미워한다는 것이 자신의 진정한 행복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는 그의 생각은 좀처럼 일반인들이 가질 수 없는 내면세계라는 생각이 든다. 행복을 느끼는 달라이 라마도 행복이 무엇인가에 대한 간단한 정의는 내리지 않는다. 아니 그도 행복이 무엇이라는 것을 정의하기 힘들지도 모른다. 일반인들도 이야기 하는 것처럼 행복이란 각자의 생각이나 마음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영적인 지도자로써 사람들에게 강조하는 것은 행복과 쾌락은 다르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쾌락을 추구할 때 행복을 느끼는지는 모르겠지만 쾌락 자체가 일생의 행복은 아니기 때문인 모양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책 속에서 행복이라는 게 무엇인지 찾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영적 지도자의 특별한 생각을 찾으려 노력은 하였다. 그리고 책을 읽을 수 있는  자체를 행복으로 느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단순한 행복들이 이어져 자신의 오롯한 행복이 만들어지는 게 아닐까.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며 얼마나 여러 차례 읽어야 그의 행복론을 이해할 수 있을지 선뜻 어림잡기가 어렵다는 생각을 하였다. 내가 스스로 느끼는 행복이면 그의 행복론을 이해했다고 자위할 수는 있겠지. 그 보다는 이 책을 위하여 여러 사람들의 통,번역이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을 통해 행복을 느꼈다기 보다는 그들의 통,번역 실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런 영적인 강론을 번역한다는 것은 특히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책으로 부터의 행복을 느끼기보다는 먼저 그들의 실력이 부러워지는 것은 부정이 긍정의 우위에 있기 때문일는지. 달라이 라마도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여야 행복하다고 하였는데........

이런 글을 쓴다는 것 자체가 그의 행복론에 대한 독후감이라기보다는 나 자신의 넋두리로 보아야 할 것 같다.

2023년 6월 3일
하늘빛

 

음악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Q5-eF61okOc 링크

Sun Rise Sun Set - from "Fiddler on the Roof" - Piano - Hong S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