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4

서울 조계사 소장 상원사범종

서울 조계사 소장 상원사범종 이 범종은 원래 경기도 용문산 상원사(上元寺) 종이었으나 절이 소실되면서 일제시대에 일본 사찰인 본원사(本願寺) 경성별원으로 옮겨 사용하다가 해방 후 조계사로 이운되었다고 한다. 전체높이 182.0㎝, 입지름 88.8㎝이고 재질은 청동이다. 용뉴는 쌍룡으로 몸통이 이어진 두 마리의 용이 입을 벌려 천판을 물고, 길쭉한 원통형의 종신에는 일본 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십자형의 가사거가 도드라져 있다. 그러나 이 가사무늬만 없다면 종 표면에는 통일신라나 고려 종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상대, 연곽, 비천, 당좌, 하대 등이 남게 된다. 상대와 하대는 위아래 구슬무늬로 띠를 이루고 안에 위아래 엇갈려 배치한 반원과 가늘고 화려한 당초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반원은 이중으로 구슬무늬를..

해남 대흥사 소장 태극문범종(太極紋梵鐘)

태극문 범종 대흥사서산대사박물관 명칭 : 태극문 범종 다른명칭 : 太極紋梵鍾 국적/시대 : 한국-조선 출토지 : 전라남도-해남군 분류 : 종교신앙 - 불교 - 의식 - 범종 재질 : 금속 - 청동 크기 : 전체높이 35.4cm, 입지름 20.5cm 소장품번호 : 대흥사 1 출처 : 2022년 5월 12일 현제 태극문 범종 - e뮤지엄 소장품검색 태극문 범종 대흥사서산대사박물관 명칭태극문 범종 다른명칭太極紋梵鍾 국적/시대한국-조선 출토지전라남도-해남군 분류종교신앙 - 불교 - 의식 - 범종 재질금속 - 청동 크기전체높이 35.4cm, 입 emuseum.go.kr =========================================================================== [대흥사 ..

경남 합천 해인사 성보박물관 종 (해인사 범종각 대종)

해인사 종각 범종 (海印寺 鐘閣 梵鍾) 자료보완 : 2023년 1월 25일 문화재명 : 해인사 종각 범종 (海印寺 鐘閣 梵鍾) 지정사항 : 시도유형문화재 소재지 : 경상남도 협천군 가야면 치인리(慶尙南道 陜川郡 伽倻面 緇仁里) 분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 조선 범종(朝鮮 梵鍾) 년대 : 조선(朝鮮) 후기(後期 요약정보 정상(頂上)은 반구형(半球形)에 일체쌍두형(一體雙頭形)의 용뉴(龍?)를 갖추고 있으며 상대(上帶)가 조식(彫飾)된 부분 가까이 1조(條)의 융기태선(太線)을 돌려 정부(頂部)와 종신 (鍾身)을 구분(區分)하였다. 폭(幅) 8cm의 상대(上帶)인 견대(肩帶)은 통식적(通式的)인 보상화문(寶相華紋)으로 장 식되어 있고 4개소(個所)에 독립되게 배치한 유곽은 장방형(長..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 중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226호)

화성 용주사 중종 (華城 龍珠寺 中鐘) (경기도 유형문화재 226호)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6호 명 칭 화성 용주사 중종 (華城 龍珠寺 中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2009.06.24 소 재 지 화성시 송산동 188 용주로 136(송산동) 시 대 조선시대 소..

한국범종의 특성과 변천

▲ 함양 백운암 건륭삼십이년 동종 (咸陽 白雲庵 乾隆三十二年 銅鍾) ◈ 한국범종의 특성과 변천 최응천(국립춘천박물관장) 1. 범종이란 범종이란 절에서 시간을 알릴 때나 대중大衆을 집합시키고 의식을 행할 때 쓰이는 종을 말한다. 지금도 우리는 사찰의 종각鐘閣이나 전각殿閣에 매달아 놓고 아침, 저녁으로 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모든 세속적 번뇌를 잠시나마 잊게 해주는 범종의 장엄하고도 청명한 소리는 듣는 이의 마음을 청정히 참회토록 하고 불교의 무한한 이상理想과 신앙심을 불러일으키게 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성덕대왕 신종의 명문에는 범종의 소리가 '일승一乘의 원음圓音'인 부처의 진리의 말씀에 비유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 기록에는 '그 소리가 용의 읊조림과 같아서 위로는 지극히 높은 하늘..

해남 대흥사 소장 강희48년명 범종 (법천사종)

대흥사 동종 항목 ID GC07300902 한자 大興寺銅鐘 영어공식명칭 Daeheungsa Bronze Bell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인선 [대흥사 천불전 내 강희사십팔년 승달산 법천사명 동종] 해남 대흥사 천불전에 있었던 강희사십팔년 승달산 법천사명 동종(康熙四十八年僧達山法泉寺銘銅鐘)은 단용의 용뉴와 음통을 가지고 있고, 천판과 접하는 곳에 단판연판(單瓣蓮瓣)의 입상대를 돌리고, 상대 대신에 연주무늬를 돌렸다. 연주무늬 아래 원형의 범자무늬가 4개 배치되고 아래 다른 종에 비해 작게 유곽을 배치하고, 유곽 안에는 9개의 유두가 솟아 있다. 유곽과 유..

순천 선암사 종루종 (강희39년명동종) (보물 제1558호)

보물 순천 선암사 동종(2008-1) (順天 仙巖寺 銅鍾(2008-1) Bronze Be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2008.03.12 소 재 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선암사 (죽학리) 시 대 : 1700년 소유자(소유단체) : 선암사 관리자(관리단체) : 선암사성보박물관 높이가 120㎝에 이르는 비교적 대형 작품에 속하는 이 종은 종신에 새겨진 명문에 의하면 1700년(강희 39) 조계산 선암사 대종으로 800근의 중량을 들여 개주(改鑄)한 것이라 기록되어 있지만 이 때 새로이 주조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김상립(金尙立)의 아들 김수원(金守元), 도편수(都片手) 김성원(金成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