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보완)
강원도 횡성 읍상리 출토 범종(江原道 橫城 邑上里 出土 梵鍾)
문화재명 : 강원도 횡성 읍상리 출토 범종(江原道 橫城 邑上里 出土 梵鍾)
지정사항 : 시도유형문화재
소재지 : 서울특별시(特別市)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분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 고려(高麗) 후기(後期)(1150年∼1392年)
년대 : 14세기
요약정보
본(本) 종(鍾)은 1964年 11月 25日 강원도(江原道) 횡성군(橫城郡) 횡성면(橫城面) 읍상리 (邑上里) 150번지(番地) 답(畓)에서 철부(鐵斧), 청동향완(靑銅香?), 청자(靑磁) 등과 동시 (同時)에 일괄유물(一括遺物)로 출토되어 『고고미술(考古美術)』6卷2號110)에 소개(紹介)된 바 있는 종(鍾)이며 현재(現在)는 국립중앙미술관(國立中央美術館)에 소장(所藏)되어(소장번 호 신(新) 1083)이 있다. 종(鍾)의 형상을 보면 통형(通型)의 소종(小鍾)으로 용체(龍體)는 용통(甬筒)에 몸을 붙이 고 있으나 용통(甬筒)의 상부(上部) 일부(一部)가 파손(破損)되어 있다. 용(龍)의 조각(彫刻)은 각명(刻明)하고 양(兩) 옆으로 뻗친 두 발이 힘차게 뻗은 형상을 보 여주고 있으며 좌족(左足)에는 절병통(節甁桶)을 장악하고 있다. 종체(鍾體) 자체는 전체적 (全體的)으로 완전(完全)한 것으로 각부(各部)의 문양(紋樣)은 선명하다. 종견(鍾肩) 상연(上 緣)에는 파상형으로 된 입상문대(立狀文帶) 10개(個)를 돌리고 있고 상대(上帶)?하대(下 帶)?유곽대(乳廓帶)에는 당초문(唐草紋)으로 주문대(主紋帶)를 이루고 있다. 4개소(個所)에 배치한 유곽내(乳廓內)에는 연화좌유(蓮華座乳) 9유(乳)를 배치하고 있다. 종신복(鍾身腹)에 이르러 배치한 보살상(菩薩像)과 비천상(飛天像) 그리고 당좌(撞座)의 형태(形態)를 보면 그 조각수법(彫刻手法)이 각명(刻明)하나 조잡하다. 특(特)히 당좌(撞座)는 6각형(角形)의 특별(特別)한 당좌(撞座)이고 종신부(鍾身部)에 배치 한 보살(菩薩) 역시 치졸한 감을 면치 못하고 있다. 동시(同時)에 출토(出土)된 청동향완(靑 銅香?)과 청자잔(靑磁盞) 등과 비교하여 볼 때 이들 유물과 동시대(同時代)의 것으로 추정 (推定)하여 종(鍾)의 제작수법(製作手法)과 주조년대(鑄造年代)는 양식상(樣式上) 고려말(高 麗末) 14세기경으로 보는 바이다.
실측정보
총고(總高); 34cm 종신고(鍾身高); 24.5cm 용통고(甬筒高); 6cm 상대폭(上帶幅); 1.6cm 유곽폭(乳廓幅); 1.3cm 유곽장(乳廓長); 9×11cm 하대폭(下帶幅); 2.8cm 종구경(鍾口徑); 23.5cm 종구후(鍾口厚); 2cm
출처 :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2022년 12월 20일 현재
https://portal.nrich.go.kr/kor/buddhistView.do?menuIdx=805&idx=30
========================================================================
14세기 추정, 청동, 전체높이 33.7cm, 종높이 24.8cm, 입지름 23.4cm, 국립춘천박물관
종의 몸체는 늘씬하여 일반적인 고려후기 소종의 귀여운 맛은 없으나 높게 포물선을 그리며 파도치는 입상대가 전체적인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어 주고 있다. 그러나 몸체의 세부 무늬들과 용뉴의 표현은 치졸하면서도 순진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비천과 여래상은 당좌 사이 공간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한손에 연꽃가지를 들고 하늘을 나는 비천의 옷자락과 얼굴표정, 연화좌 위에 앉은 여래상의 광배와 옷자락 등을 딱딱하고 간단한 몇 개의 선만으로 표시하고 있다. 당좌는 정육각형으로 특이한데 육각형의 중심과 6개의 꼭지점을 선으로 연결하고 그 사이에 불규칙한 선을 여러개 그어 마치 거미줄처럼 보인다.
2007년 3월 26일 현재
=======================================================================
국립춘천박물관 청동범종
|
|
횡성에서 발견된 종은 상대 위로 돌출된 입상화문대가 매우 높게 장식되었으나 도식화되었고 보살상의 모습도 거칠어져 13세기 후반경 제작으로 추정된다. 한편 고려 후기에 이르면 중국 원나라를 통해 새로이 중국 종 양식이 전해져 이후에 제작되는 종은 용뉴가 두 마리의 용으로 바뀌고 음통과 연곽, 당좌 등이 없어지는 등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다.
|
출처 :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서비스 2008년 3월 12일 현재
횡성 출토 동종 [ 橫城出土銅鐘 ]
강원 횡성 출토 종 - 탁본
1. 상대
2. 연곽
3. 연뢰(유두)
4. 비천상
5. 보살상
6. 당좌
7. 하대
======================================================================
강원도 횡성 읍상리 출토 범종(江原道 橫城 邑上里 出土 梵鍾)(1-3, 3-41)
소 재 지(所 在 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연 대(年 代) : 14세기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34cm 종신고(鍾身高); 24.5cm 용통고(甬筒高); 6cm
상대폭(上帶幅); 1.6cm 유곽폭(乳廓幅); 1.3cm 유곽장(乳廓長); 9×11cm
하대폭(下帶幅); 2.8cm 종구경(鍾口徑); 23.5cm 종구후(鍾口厚); 2cm
본(本) 종(鍾)은 1964年 11月 25日 강원도(江原道) 횡성군(橫城郡) 횡성면(橫城面) 읍상리
(邑上里) 150번지(番地) 답(畓)에서 철부(鐵斧), 청동향완(靑銅香垸), 청자(靑磁) 등과 동시
(同時)에 일괄유물(一括遺物)로 출토되어 『고고미술(考古美術)』6卷2號110)에 소개(紹介)된
바 있는 종(鍾)이며 현재(現在)는 국립중앙미술관(國立中央美術館)에 소장(所藏)되어(소장번
호 신(新) 1083)이 있다.
종(鍾)의 형상을 보면 통형(通型)의 소종(小鍾)으로 용체(龍體)는 용통(甬筒)에 몸을 붙이
고 있으나 용통(甬筒)의 상부(上部) 일부(一部)가 파손(破損)되어 있다.
용(龍)의 조각(彫刻)은 각명(刻明)하고 양(兩) 옆으로 뻗친 두 발이 힘차게 뻗은 형상을 보
여주고 있으며 좌족(左足)에는 절병통(節甁桶)을 장악하고 있다. 종체(鍾體) 자체는 전체적
(全體的)으로 완전(完全)한 것으로 각부(各部)의 문양(紋樣)은 선명하다. 종견(鍾肩) 상연(上
緣)에는 파상형으로 된 입상문대(立狀文帶) 10개(個)를 돌리고 있고 상대(上帶)․하대(下
帶)․유곽대(乳廓帶)에는 당초문(唐草紋)으로 주문대(主紋帶)를 이루고 있다. 4개소(個所)에
배치한 유곽내(乳廓內)에는 연화좌유(蓮華座乳) 9유(乳)를 배치하고 있다. 종신복(鍾身腹)에
이르러 배치한 보살상(菩薩像)과 비천상(飛天像) 그리고 당좌(撞座)의 형태(形態)를 보면 그
조각수법(彫刻手法)이 각명(刻明)하나 조잡하다.
특(特)히 당좌(撞座)는 6각형(角形)의 특별(特別)한 당좌(撞座)이고 종신부(鍾身部)에 배치
한 보살(菩薩) 역시 치졸한 감을 면치 못하고 있다. 동시(同時)에 출토(出土)된 청동향완(靑
銅香垸)과 청자잔(靑磁盞) 등과 비교하여 볼 때 이들 유물과 동시대(同時代)의 것으로 추정
(推定)하여 종(鍾)의 제작수법(製作手法)과 주조년대(鑄造年代)는 양식상(樣式上) 고려말(高
麗末) 14세기경으로 보는 바이다.
출처 : 1996년 12월 국립문화재연구소 발행 한국의 범종
소장(國立文化財硏究所長) 김 동 현(金 東 鉉)
2015년 9월 19일 발췌
'역사의 울림 속으로 > 고려의 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양시 석수동 마애종 (경기도 유형문화제 제92호) (0) | 2007.03.26 |
---|---|
북한 개성 연복사 종 (0) | 2007.03.26 |
광주박물관 소장 강진 출토 동종 (강진 출토 기유명 범종 全南 康津 出土 己酉銘 梵鍾) (0) | 2007.03.26 |
대구박물관 소장 보암사 소종 (0) | 2007.03.26 |
일본의 한국종 - 일본 후쿠오카시 박물관 (福岡市立博物館 )소장 고려범종 (0) | 200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