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조선의 종

전남 해남군 대흥사 강희42년명종 (보적사 동종)

korman 2015. 6. 13. 16:22

대흥사 동종

 

항목 ID GC07300902
한자 大興寺銅鐘
영어공식명칭 Daeheungsa Bronze Bell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인선
[상세정보]
대흥사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대흥사 대웅보전 내 강희사십이년 청룡산 보적사명 동종] 

대흥사 대웅보전 내에 있는 강희사십이년 청룡산 보적사명 동종(康熙四十二年靑龍山寶積寺銘銅鐘)은 단용의 용뉴와 음통을 가지고 있고, 천판(天板) 외연을 돌아가며 불규칙적으로 낮게 돌기된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가 표현되었으며, 아래에 붙은 상대(上帶)에는 방형 구획으로 나눈 구획마다 도식적인 형태의 당초무늬를 장식하였다. 상대 아래에는 원형의 범자무늬를 4개 배치하였고, 아래쪽에 공간을 약간 두고 유곽을 배치하고, 유곽 안에는 9개의 유두가 솟아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정면을 보고 합장하고 있는 보살입상이 배치되어 있다. 하대는 상하 2단으로 구분하고, 연당초무늬를 새겼다. 유곽과 하대 사이에 ‘강희사십이년청룡산보적사(康熙四十二年靑龍山寶積寺)’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1703년 청룡산 보적사의 종으로 주조된 종임을 알 수 있다.

출처 및 발췌 : 디지털해남문화대전 2022년 5월 10일 현재

http://haenam.grandculture.net/haenam/toc/GC07300902

 

==========================================================================

 

전남 해남군 대흥사강희42년명종[ ]

 

유형 유물
시대 조선/조선 후기
성격 불구, 범종
소장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대웅전
제작시기·일시 1703년(숙종 29)
수량 1개
재질 구리
크기(높이, 길이, 두께, 너비) 높이 91.0㎝
소유자 대흥사
관리자  대흥사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범종.

 

내용

1703년(숙종 29) 제작. 높이 91.0㎝. 이 종은 원래 청룡산보적사()용으로 강희 42년인 1703년에 만들어진 것임을 기록된 명문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 전통종 양식을 따른 범종으로서 한 마리의 용뉴( : 종의 꼭지부분 장식)는 그 머리가 위로 들려 있고 발은 표현되지 않았으며 뒤에는 짧은 음통()이 부착되었다. 천판() 외연을 돌아가며 불규칙적으로 낮게 돌기된 입상화문대()가 표현되었으며, 그 아래 붙은 상대()에는 방형구획으로 나눈 구획마다 도식적인 형태의 당초문을 장식하였다.

 

이 상대에 바로 붙어 4개의 원권 범자문()을 양각 시문하고, 범자문 아래로 방형의 유곽대()를 4개 배치하였다. 유곽대에는 파도 형태의 집선문()과 내부에는 화문좌() 위에 돌기된 종유()를 9개씩 배치하였다.

한편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상반신 이상만이 표현된 1구씩의 보살입상이 부조되었는데, 이제까지의 보살상과 다른 도상을 지닌 점에서 제석()·범천()의 상으로 추정된다. 종신 하단부에는 별도의 양각판을 이용한 명문구()가 둘러져 있고, 종구()에는 연당초문으로 시문된 하대가 장식되었다.

참고문헌
============================================================================
 
1703년(숙종 29)

 보적사(寶積寺) 동종을 조성함(현재 대웅보전 내부에 있는 종임) (대흥사 연혁표에서)

 
<보적사동종(寶積寺銅鐘)>은 세록당동종(洗鹿堂銅鐘)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세록당이란 당우(堂宇)가 언제 없어졌는지 지금은 없으며, 현재 대웅전 대웅당내에 있는데, 종신에 있는 명문(銘文)으로 보아 원명은 보적사 동종이라 불리우게 되었다.<참고문헌>
해남군 유적문화, 목포대학교/해남군, 1986.
출처 : 해남문화관광 사이트 2006년 11월 20일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