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6

불전 사물 - 범종

지옥중생 번뇌 날려보내는 ‘범음’ 새벽 28회, 저녁엔 33회 타종 상원사 동종.성덕대왕신종 종소리.조형미 세계서 으뜸 ▲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 범종 불전사물은 범종.법고.운판.목어를 일컫는데, 이 중에서 사물을 대표하는 것이 범종이다. 종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악기로서의 악종(樂鐘)이 있고, 위급함을 알리는 경종(警鐘)이 있으며, 시와 때를 알리는 시종(時鍾)이 있고, 불법 진리를 전파하는 사찰의 범종이 있다. 절에서는 불사 의식인 법요와 포교가 있을 때 그 개시를 알리기 위해 범종을 치기도 한다. 하지만 범종을 아침저녁으로 치는 큰 뜻은 지옥 중생들이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얻도록 하는 동시에 불법의 장엄한 진리를 깨우치게 하는 데 있다. 불이문을 지나면 사찰을 형성하는 전각들이 배치..

(아일랜드) 북아일랜드(영국령) 벨파스트 화운틴센터(Fountain center)의 시계와 종

북아일랜드(영국령) 벨파스트(Belfast) 화운틴센터(Fountain center)의 시계와 종 지금은 영국령인 아일랜드 북부,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의 수도 벨파스트(Belfast)에 화운틴센터(Fountain center)라는 일종의 복합 쇼핑센터가 있고 그곳 광장에는 에는 새천년, 2000년을 기념하여 설치한 북아일랜드..

한국 범종 특색은 만파식적의 음통

한국 범종 특색은 만파식적의 음통 곽동해씨 '범종' 연구서 펴내 우리에게 익숙한 범종(梵鐘)은 불교 발상지인 인도에는 없다. 대신 범종 문화는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 만개해 오늘에 이른다. 나아가 범종은 여타 불교유산, 예컨대 건축물이라든가 탑파가 그렇듯이 지역별 특색 또한 완연하다. '코리안 벨'(Korean Bell)이란 말은 한국 범종에 나타나는 특징을 강조한 '학명'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코리안 벨'을 구성하는 핵심요건은 무엇일까? 한국 범종 연구가인 곽동해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겸임교수는 최근 출간한 '범종'(한길아트)이라는 단행본에서 ' 만파식적 설화를 응용한 음통'을 거론한다. 음통이란 한국범종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구조물이다. 몸체를 매다는 고리 부분에 마치 굴뚝처럼 우뚝 솟은 속 빈..

전남 고흥군 능가사 범종(楞伽寺梵鐘) (보물 제1557호)

전라남도 고흥군 능가사 범종(楞伽寺梵鐘) (보물 제1557호) • 명칭 : 능가사범종 • 지정 : 시도유형문화재 69호(전남) 보물 1557호 • 조성연대 : 조선 숙종 24년(1698) • 제원 : 전체높이 153.4㎝, 종신 111㎝, 입지름 101.8㎝, 무게 900kg • 소재지 : 고흥 능가사 • 관리자 : 고흥 능가사 • 설명 흥국사 종을 제작한 김애립의 만년작이다. 재질은 청동이며 주종장은 김애립, 김예발, 김귀천, 이미남, 강옥선이다. 천판에 머리를 대고 앞발을 딛고 있는 쌍룡이나 몸체를 높이 들어 종고리를 만들고 정상에 여의주가 있는 용뉴의 모습은 흥국사 종과 유사하면서 생동감이 넘친다. 음통을 두지 않고 대신 조그만 구멍을 뚫어 음통을 대신하고 있다. 몸체는 둥근 천판부터 아래로 갈수록..

함평 보광사범종(咸平普光寺梵鐘)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함평 보광사 범종 • 코드: cp0501b02701 • 명칭 : 함평보광사범종 • 지정 : 시도유형문화재 172호(전남) • 조성연대 : 조선 영조 43년(1767) • 제원 : 전체높이 121㎝, 종신 99㎝, 입지름 84.5㎝, 입두께 7㎝, 무게 300kg • 소재지 : 함평 보광사선원 • 관리자 : 함평 보광사선원..

경기도 용인 와우정사 황금범종 (서울 올림픽 타종 통일의 종)

경기도 용인 와우정사 황금범종 (서울 올림픽 타종 통일의 종) 설명문 와우정사 통일의 종 모습이다. 남북통일을 기원하기 위하여 세계최대의 금과 동으로 조성한 범종으로, 통일신라시대 황룡사의 종을 본떠 만들었다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 산 43 출처 : 디지털용인문화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