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아불교박물관소장 동종 목아불교박물관소장 동종 <정의> 절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 <설명> 청동제의 작은 종으로써 의식용이라기 보다는 사찰 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이 없어 출토지나 제작시기를 알수는 없으나, 이미 조선종과는 많은 차.. 역사의 울림 속으로/근, 현대의 종 2007.03.20
목아불교박물관소장 동종 목아불교박물관소장 동종 유물명칭 범종 국적/시대 한국(韓國) / 일제강점(日帝强占) 재질 금속(金屬) / 동합금제(銅合金製) 용도기능 종교신앙(宗敎信仰) / 불교(佛敎) / 의식(儀式) / 범종(梵鍾) 소장기관 법인/사립(法人/私立) / 목아불교(목아불교) 유물번호 제(제) 248 절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 청동제의 작은 종으로써 의식용이라기 보다는 사찰 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이 없어 출토지나 제작시기를 알수는 없으나, 이미 조선종과는 많은 차이를 지닌 것으로 보아 일제시대때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한다. 출처 : 이뮤지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6926&cid=51293&categoryId=512.. 역사의 울림 속으로/근, 현대의 종 2007.03.20
목아불교박물관 소장 동종 유물명칭 범종 국적/시대 한국(韓國) / 일제강점(日帝强占) 재질 금속(金屬) / 동합금제(銅合金製) 용도기능 종교신앙(宗敎信仰) / 불교(佛敎) / 의식(儀式) / 범종(梵鍾) 소장기관 법인/사립(法人/私立) / 목아불교(목아불교) 유물번호 제(제) 249 절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 청동제의 작은 종으로써 의식용이라기 보다는 사찰 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이 없어 출토지나 제작시기를 알수는 없으나, 이미 조선종과는 많은 차이를 지닌 것으로 보아 일제시대때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한다. 이뮤지엄 2015년 8월 30일 현재 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29225 역사의 울림 속으로/근, 현대의 종 2007.03.20
질서라는 것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에는 기초질서라는 것이 존재한다. 이 질서라는 것은 작게는 개개인과 가정은 물론 크게는 사회와 국가와 전 세계를 지탱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요소라 하겠다. 질서는 각 개인의 스스로 생각에 의하여 지켜지는 것도 있지만 서로의 약속 혹은 정해진 규율이나 법에 의하여 통.. 이야기 흐름속으로/내가 쓰는 이야기 2007.03.18
(일본) 삿보로 히쓰지가오카 전망대의 추억의 종 (Bell of recollection) 삿보로 히쓰지가오카 전망대의 '회상(추억)의 종' (Bell of recollection) Hitsujigaoka Observation Hill , 羊ヶ丘 展望台 일본 홋카이도, 삿보로시에는 "양(羊)의 언덕"이라는 곳이 있다. 삿보로 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는 곳으로 양목장의 울연구소가 있는 맨 꼭대기에 설치된 전망대로 '히쓰지가오.. 세계의 울림 속으로/아시아의 종 2007.03.17
종모음 (Bell collection) 서른하나 164 모나코의 코끼리 모나코 시내에서 165 열쇄걸이종 동네 선물가게에서 166 포도넝쿨 로마의 크리스탈점에서 167 구름에 달 가둣이 산타모니카 해변에서 168 피카소의 미소 마드리드 공항에서 계속 To be continued... 이야기 흐름속으로/추억의 종 이야기 2007.03.11
(중국) 중국에 있는 외국종 고대의 종들은 폼페이, 이집트 및 사이프로스 같은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유럽에는 4세기경 교회, 수도원, 수녀원을 중심으로 종을 사용하였으며 국제적으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종의 교류도 넓어져 갔다. 아래의 사진들은 중국에 있는 외국종들이다. 세계의 울림 속으로/아시아의 종 2007.03.09
(중국) 9개 종각의 종정원 홍콩의 독지가가 기증한 3만 위안으로 1994년에 완성한 종정원의 모습. 이곳에는 9개의 종각과 중국의 32개 지역 및 홍콩에서 수집하거나 재제조한 옛날 종들이 보관되어 있다. 세계의 울림 속으로/아시아의 종 2007.03.09
(중국) 여러 형태의 종 중국의 종 제작은 명나라와 청나라때 가장 활발하였다. 중국의 종은 의식용 종, 악기로 사용하는 종, 사찰용 종, 도교용 종, 궁중에서 사용하는 종, 밤시간을 알리는 종등이 있다. 각 형태의 중국종들 세계의 울림 속으로/아시아의 종 200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