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4

목아불교박물관소장 동종

목아불교박물관소장 동종 유물명칭 범종 국적/시대 한국(韓國) / 일제강점(日帝强占) 재질 금속(金屬) / 동합금제(銅合金製) 용도기능 종교신앙(宗敎信仰) / 불교(佛敎) / 의식(儀式) / 범종(梵鍾) 소장기관 법인/사립(法人/私立) / 목아불교(목아불교) 유물번호 제(제) 248 절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 청동제의 작은 종으로써 의식용이라기 보다는 사찰 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이 없어 출토지나 제작시기를 알수는 없으나, 이미 조선종과는 많은 차이를 지닌 것으로 보아 일제시대때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한다. 출처 : 이뮤지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6926&cid=51293&categoryId=512..

목아불교박물관 소장 동종

유물명칭 범종 국적/시대 한국(韓國) / 일제강점(日帝强占) 재질 금속(金屬) / 동합금제(銅合金製) 용도기능 종교신앙(宗敎信仰) / 불교(佛敎) / 의식(儀式) / 범종(梵鍾) 소장기관 법인/사립(法人/私立) / 목아불교(목아불교) 유물번호 제(제) 249 절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 청동제의 작은 종으로써 의식용이라기 보다는 사찰 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이 없어 출토지나 제작시기를 알수는 없으나, 이미 조선종과는 많은 차이를 지닌 것으로 보아 일제시대때 사용되던 것으로 추정한다. 이뮤지엄 2015년 8월 30일 현재 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29225

(일본) 삿보로 히쓰지가오카 전망대의 추억의 종 (Bell of recollection)

삿보로 히쓰지가오카 전망대의 '회상(추억)의 종' (Bell of recollection) Hitsujigaoka Observation Hill , 羊ヶ丘 展望台 일본 홋카이도, 삿보로시에는 "양(羊)의 언덕"이라는 곳이 있다. 삿보로 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는 곳으로 양목장의 울연구소가 있는 맨 꼭대기에 설치된 전망대로 '히쓰지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