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범종 145

일본의 한국종 - 명창7년명 동종 (도쿄박물관 소장 고려범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23 명창7년명 범종 고려 전기와 후기 가교역할…12세기 마지막 종 오쿠라컬렉션 가운데 하나 많지 않은 12세기 범종 눈길 명문곽 연판문 섬세히 처리 전기서 찾을 수 없는 당좌 후기 범종으로의 이행 시사 12세기에 들어와 기년명 종의 수효는 갑자기 그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제작된 기년명 범종으로는 국립춘천박물관 소장의 명창(明昌) 2년명 종(1191)과 명창3년(明昌三年) 대자사명(大慈寺銘) 종(1192) 정도가 확인되는데, 특히 대자사종은 해방 이후 북한에서 출토되어 평양 역사박물관에 소장된 작품으로서 200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전시에 출품되어 새로이 소개된 종이다. 높이 83cm에 이르는 비교적 큰 작품이면서 그동안 고려 후기 범종의 대표..

일본의 한국종 - 시가현(滋賀縣) 오츠시(大津市)의 비와코문화관의 고려범종 (원성사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⑭ 일본 온죠우지 소장 청부대사종 보존상태 최고…일본소재 한국종 ‘홍보대사’ 우시진구 통일신라종 명문 계승 청송군 큰절에 걸려 있던 ‘범종’ 고려시대 관장 제작 최초 사례 천판 구름문과 당좌 문양 ‘섬세’ 이 종은 일본의 내륙 호수 가운데 가장 큰 비와코(琵琶湖) 옆에 위치한 오오츠시(大津市)의 온죠우지(園城寺)에 소장된 고려시대 종이다, 절의 경내에 세 개의 우물이 남아있어 일본에서는 미이테라(三井寺)로 불리는 임제종(臨濟宗)의 본찰로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종은 오랜 기간 비와코 옆에 건립된 비와코분카간(琵琶湖文化館)에 기탁, 보관되어 있었으나 문화관이 습기 등의 문제로 폐관됨에 따라 3년 전부터 새로 건립된 온죠우지의 보물관에 보관 전시되고 있다. 범종은 보물관의 입..

일본의 한국종 - 일본 규슈국립박물관 (九州国立博物館) 소장 동종

2014년 2월 27일 발췌 일본 규슈국립박물관 (九州国立博物館) 소장 동종 일본 중요문화재 총높이 : 44.2cm 용의 높이 : 10.5cm 종신높이 : 33.3cm 지름(최대): 27.1cm 두께 : 1.95-2.15cm 중량 : 철환 포함) 24.673kg 시대 : 고려(1201), 承安6年 소장 : 규슈국립박물관 정부(頂部)의 용(甬)이라 불리는 원통과 생동감 있는 한 마리의 용으로 이루어진 용두, 동체부의 비천을 표현하는 점 등이 소위 조선종(朝鮮鐘)의 형식을 갖춘 구리종이라 할 수 있다. 동체부에는 명문이 조각되어 있으며, 1201년 2월의 덴죠지의 금당에 바쳐진 것으로 판명된다. 「승안」은 중국 금의 원호로 당시에는 고려에서도 사용되었다. 덴죠지에 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 총 높이 44.2㎝..

충청남도 청양군 화정사 범종 (靑陽和鼎寺 梵鐘) (출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충남 청양군 화정사 범종 (靑陽和鼎寺 梵鐘) (출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명 칭 청양화정사범종 (靑陽和鼎寺梵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 지정(등록)일 2009.01.20 소 재 지 남양면 신왕리 262-4 남양면 수단길 192(신왕리 262-..

경주박물관 소장 고려범종

경주박물관 소장 고려범종 범종 한국/고려 높이: 66cm 경상북도 - 상주시 - 낙동면 상촌리 483번지 경주8211 종 꼭대기의 용뉴(龍紐)는 웅크린 한마리의 용이 여의주(如意珠)를 물고 치켜든 오른발에도 여의주를 웅켜쥐고 있다. 천판(天板)과 종의 어깨[上肩帶] 사이에는 고려시대 범종 특징 가운데 하나인 입상화문대(立像花文帶)를 배치하였다. 종의 어깨 밑에는 4곳에 유곽이 등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며, 유곽 사이에는 각 1구씩 총 4구의 보살좌상이 조각되었다. 아래 부분에는 종을 치는 당좌(撞座)를 2곳 배치하였다. 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사이트 2014년 1월 18일 현재 2021년 2월 14일 현재 접촉불가) http://gyeongju.museum.go.kr/html/kr/data/data_0401..

중앙박물관 소장 동종 (靑銅 梵鐘) (고려범종)(덕수3060)

중앙박물관 소장 동종 (靑銅 梵鐘) (고려범종)(덕수3060) (출토미상) 출처 : 이뮤니엄 2017년 1월 10일 현재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0500306000000 ==================================================================== 중앙박물관 소장 동종 (靑銅 梵鐘) (고려) 동종(범종) 한자靑銅 梵鐘 국적/시대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