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4

전쟁기념관소장 청동종방울(銅鐸)

유물명칭 청동종방울(銅鐸) 국적/시대 한국(韓國) / 초기철기(初期鐵器) 참고문헌 {고고학사전}, {한국사 1-한국의 선사문화-}, {낙랑(樂浪)} 소장기관 법인/사립(法人/私立) / 전쟁기념(전쟁기념) 유물번호 1994(1994) 48042 초기 철기시대 고분(古墳) 출토유물의 하나 청동 종방울은 중국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유적에서 가장 이른 것이 나오는데, 이것에는 직물의 흔적이 남아 있어, 옷에 매달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은주시대(殷周時代)에는 마령(馬鈴)으로 나와 마구(馬具)의 하나로서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청동 종방울은 초기 철기시대와 삼국시대 전기의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어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고 하겠다.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청동 종방울은 대개 9∼1..

전라북도 완주군 안심사 범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전라북도 완주군 안심사 범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명 칭 안심사소장동종 (安心寺所藏銅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2005.12.16 소 재 지 운주면 완창리 26 운주면 완창리 26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

경기도 남양주 봉선사 동종 (南陽州 奉先寺 銅鍾)(보물 제397호) (봉선사대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낙산사종과 봉선사종 강원도 양양의 낙산사종(落山寺鐘, 1469)이나 남양주의 봉선사종(1469)은 장소와 크기는 조금 다르지만 흥천사종(興天寺鐘, 1462)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조선 왕실 발원 범종이란 공통점을 지녔다. 이 두 종은 공교롭게 같은 해에 만들어져 500년을 넘게 잘 보관되어 왔지만 낙산사종은 2005년 4월5일 식목일날 낙산사 산불과 함께 소실되어 그 원형을 잃고 말았다. 두 점 모두 쌍룡(雙龍)의 용뉴와 굵은 횡대로 나누어진 구획선, 종신 하단에는 파도문대를 둔 모습에서 앞서의 흥천사종을 계승한 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두 종 모두 종신 상단에 보살입상이 배치되어 있으나 낙산사 종에는 연곽과 연뢰의 표현이 생략된 점이 이채롭다. 아울러 범자문이 종신 상..

홍콩의 인파속에서 (출장기 하)

홍콩 의류가게에 걸려있는 한글 티셔츠 무슨소리인지? 평일 낮 시간이라 그런지 별로 번잡하지 않은 출국수속을 마치고 몇몇 가게를 둘러 보았다. 지난번 왔을 때 단 한개의 새로운 종 밖에는 구입하지 못하였던 터라 새로운 것이 있나 둘러보았지만 다른 것은 없다. 하기야 불과 한달여 만에 무엇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