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6

평창 월정사성보문화재소속 용다사 동종 龍多寺 銅鐘 (강원도 유형문화재 133호)

평창 월정사성보문화재소속 용다사 동종 龍多寺 銅鐘 (강원도 유형문화재 133호) 용다사 동종 • 코드: cp0501b05401 • 명칭 : 용다사동종 • 지정 : 시도유형문화재 133호(강원) • 조성연대 : 조선 정조 11년(1787) • 제원 : • 소재지 : 월정사 성보박물관 • 관리자 : 월정..

세계 여러나라의 종과 관련한 이론

세계 여러나라의 종과 관련한 이론 보통 금속제이나 때로는 뿔·나무·유리·점토로도 제작되는 속이 빈 음향기구. 내부에 매달린 추(錘) 또는 해머나 나무망치로 외부의 테두리 근처를 때려 소리를 낸다. 종은 공명하는 고체 물질의 진동으로 소리가 나는 악기인 이디오폰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좀더 넓게는 타악기로 분류하기도 한다. 종의 모양은 문화적 환경과 목적 및 재료에 따라 다르다. 종의 외형은 곧은형·볼록형·오목형·반구체형·원통형(동아시아의 것) 등이 있으며, 서양의 모든 탑종처럼 추의 닿는 부분(테두리 근처의 볼록한 부분)이 튤립 모양으로 생긴 것도 있다. 횡단면은 원형이나 정4각형·직4각형·타원형·다면체의 모양을 띠고 있는데, 중국의 종에는 연꽃 모양의 테두리가 많다. 종에서 가장 강한 소리의 진동은, 중..

한국의 편종

유물번호 : 악기303 / 종묘14156 연대 : 조선시대 재질 : 금속 · 나무 크기(cm) : 편종 지름: 17.8cm, 높이: 28.4cm | 편종틀 세로: 222cm, 가로: 155cm 소장품 상세설명 편종은 고려 1116년(예종 11) 송나라로부터 수입되어 궁중제례악에 사용되었다. 송나라에서는 종의 크기에 따라 음계가 결정되었으나 조선에서는 박연(朴堧)이 크기는 같고 종의 두께 차이로 음계를 달리하도록 제작하였다. 두 개의 사각대[방대(方臺)] 위에 사자 한 쌍을 앉히고 그 위에 나무틀을 세워 양편에 용머리를 조각하였다. 이 틀에 16개의 종을 2단으로 나누어 매달고 뿔망치[각퇴(角槌)]로 종의 아랫부분 정면에 있는 둥근 부위[수(隧)]를 쳐서 소리를 낸다. 12율[(律), 한 옥타브 안의 열두..

순천 선암사 가경8년명 동종

선암사 가경 8년명 동종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의 선암사 가경 8년명 동종이다. 외형과 기법이 약식화되었으며, 종신의 상하부에 일반적으로 장식된 상대와 하대가 생략된 조선 후기의 동종이다.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제공 : 순천 선암사 저작권 : 순천 선암사 출처 : 순천 선암사 항목 ID GC07600462 한자 仙巖寺嘉慶八年銘銅鍾 영어공식명칭 Bronz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Eight Gagyeong Year" of Seonamsa Temple 이칭/별칭 : 선암사 가경8년명 범종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 유물/유물(일반)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죽학리 802] 시대 :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 엄기표 [상세정보]..

순천 선암사 건륭2년명 동종(범종)

선암사 건륭 2년명 동종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의 선암사 건륭 2년명 동종의 모습이다. 유연한 곡선형을 이룬 종신과 천판 위에 조각된 역동적이고 생동감있는 용뉴가 특징인 조선 후기의 동종이다.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제공 : 순천 선암사 저작권 : 순천 선암사 출처 : 순천 선암사 항목 : ID GC07600463 한자 : 仙巖寺乾隆二年銘銅鍾 영어공식명칭 : Bronz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wo Geollyung Year" of Seonamsa Temple 이칭/별칭 : 선암사 동종,선암사 건륭명 동종, 선암사 응진전 동종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 유물/유물(일반)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죽학리 802] 시대 : 조..

합천해인사소장동제소종(陜川海印寺所藏銅製小鍾)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00호)

2014년 2월 6일 현재 합천 해인사 소장 동제소종(陜川海印寺所藏銅製小鍾)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00호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400호 (합천군) 명 칭 합천해인사소장동제소종(陜川海印寺所藏銅製小鍾) 분 류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03.09.18 소 재 지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21-1 해인..

경상남도 고성 옥천사대종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60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고성 옥천사 동종 (固城 玉泉寺 銅鐘)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면적 : 1구 지정(등록)일 : 1972.02.12 소 재 지 : 경상남도 고성군 시 대 : 건륭 41년 (1776년) 소유자(소유단체) 옥*** 관리자(관리단체) 옥*** 상 세 문 의 : 경상남도 고성군 문화관광과 055-670-2224 문화재 설명 조선시대 청동으로 만든 높이 110㎝, 입 지름 82.5㎝의 종이다. 종을 매는 용뉴에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등지고 앉아, 여의주를 물고 하늘로 오를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종의 윗쪽 띠에는 2자씩으로 연결된 80여자의 범자가 새겨 있으며, 아래쪽 띠에는 연꽃 덩굴무늬가 새겨 있다. 범자무늬 아래에는 4곳에 정사각형의 유곽이 배치되었는데, 유곽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