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첩장 청첩장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고 하는데도 주말이면 많은 젊은이들이 결혼을 한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고 생활이 변해감에 따라 결혼하는 날과 시간도 많이 변화된 듯싶다. 물론 요새도 토요일을 택하는 사람들이 많기는 하지만 평일 저녁에 식을 치루는 사람들도 점점 늘어가고 있다. 또한 혼자 살기.. 이야기 흐름속으로/내가 쓰는 이야기 2007.06.01
하늘공원의 여름 바람 평화의 공원에서 하늘공원으로 오르는 계단 난지도 (蘭芝島), 난초와 영지가 많아 난지도라 하였다던가. 난 지금 충남 당진에 있는 난지도 해수욕장을 말함이 아니다. 한강 북쪽 하류에 홍수철이면 강이 범람하여 토사가 쌓이면서 만들어 졌다는 평원. 오리가 물에서 노는 모양이라 하여 오리섬 또는 .. 이야기 흐름속으로/내가 쓰는 이야기 2007.05.28
이런 사기꾼들이 이런 사기꾼들이 요새 신문이나 방송 또는 각종 유인물을 통하여 금융사기에 속지 말도록 하라는 광고가 심심치 않게 국민들에게 전달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광고를 하여도 어쩔 수 없이 속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연일 그런 사기꾼들이 활개를 치고 다니리라 본다. 이에 대하여 이 글을 읽는 사.. 이야기 흐름속으로/내가 쓰는 이야기 2007.05.21
김천 직지사 금강령(直指寺 金剛鈴) 직지사 성보박물관 소장 자료발췌 2007년 5월 20일 현재 직지사 금강령(直指寺 金剛鈴) 고려시대 청동제 전체높이 20cm /종신높이 7.5cm/입지름 6.2cm 의식구 금강령은 불교 의식 때 중생들을 성불의 길로 이끌어 주는 불구이다. 금강령은 금강저, 손잡이, 종몸통(鍾身)으로 삼분되며, 금강저 부분은 수행중 번뇌를 없애 .. 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2007.05.20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종 金山寺 大寂光殿鐘 금산사 대적광전종 金山寺 大寂光殿鐘 (화재로 소실되어 자료만 남음) 조선 전기 총 높이 103.0cm, 종신 높이 78.4cm, 음통 지름 4.5cm, 음통 높이 21.4cm, 용뉴 높이 16.5cm, 상대 폭 8.8cm, 당좌 지름 11.0cm, 유곽대 폭 2.5cm, 유곽크기 21.0 x 20.0cm, 천판 지름 30.0.0cm,하대 폭 8.3cm, 종입 지름 56.0cm, 종입 두께.. 역사의 울림 속으로/조선의 종 2007.05.20
우리말과 글 바로써야 하는데 요새 각 방송국의 많은 방송 프로그램에 자막이 나오고 있다. 너무 심하다 할 정도로 많은 자막이 나온다. 청각 장애자들을 배려 한다기 보다는 방송 효과를 높이기 위한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그 자막중에는 내가 보기에 맞춤법이 틀린 자막이 수두룩 하다. 우리글의 맞춤법을 낸들 어찌.. 이야기 흐름속으로/내가 쓰는 이야기 2007.05.19
우물 안 개구리 우물 안 개구리 이 세상에는 200개가 넘은 국가가 있고 매우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존재한다. 같은 나라안에도 여러 민족이 한 국민이 되어 다민족 국가를 형성하여 같이 살고 있으며 각 민족마다 그들만의 서로 다른 문화와 풍습과 음식과 종교와 언어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이들이 한 영역에서 서로 .. 이야기 흐름속으로/내가 쓰는 이야기 2007.05.13
한 국 의 금 속 공 예 한 국 의 금 속 공 예 ▲ 일본 도쿄박물관 소장 명창7년명 범종 (동종) 이 호 관(국립전주박물관장) 梵鐘 (발췌) 불교의식에서 사용되는 불구류중 종교적 분위기를 높이기 위해 소리 내는 일체의 용구를 梵音具라 한다. 범음구에 속하는 범종은 청정한 불사나 범찰에서 사용하는 종을 말한다. 범종은 洪鐘, 浦牢, 鯨鐘, 華鯨, 巨鯨, 釣鐘, 撞鐘 등 여러가지 다른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 크기에 따라서 半鐘, 晩鐘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나 대부분 통칭하여 범종이라고 부르며 특별히 유형별로 구분하지는 않는다. 범종은 중국의 은.주 때 고대 동기중 용종이라는 악기에서 모방되었다고 하는 설의 범종이 유행하였었다. 한국 범종의 기원을 살펴보면 지금까지 일반적인 통설로 된 것은 두개의 설이 있는 바, 그중 일설은 중..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5.13
"한국 범종 특색은 만파식적의 음통" "한국 범종 특색은 만파식적의 음통" 곽동해씨 '범종' 연구서 펴내 ▼용두와 음관(탑산사 동종) 우리에게 익숙한 범종(梵鐘)은 불교 발상지인 인도에는 없다. 대신 범종 문화는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 만개해 오늘에 이른다. 나아가 범종은 여타 불교유산, 예컨대 건축물이라든가 탑파가 ..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5.13
[한국의 美]독창적 선(禪)의 기조와 곡선미 [한국의 美]독창적 선(禪)의 기조와 곡선미 우리나라 사람은 산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아름다운 자연과 벗할 수 있는 매력도 있지만 고즈넉이 자라잡고 있는 산사를 구경하는 재미가 산을 찾는 의미를 배가할 때가 많다. 종교적 의미를 제쳐놓고서라도 누구나 여행을 할 때면 우리나라 ..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