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 550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 참당암동종[懺堂庵銅鐘] (전북유형문화재 제136호)

전북 고창군 선운사 참당암동종[懺堂庵銅鐘] (전북유형문화재 제136호) 「선운사 참당암 건륭53년명 범종(禪雲寺 懺堂庵 乾隆53年銘 梵鍾)」 한자 懺堂庵銅鐘 영어공식명칭 Bronze bell of Chamdangam Hermitage 영어음역 Chamdangam Dongj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

일본의 한국종 - 일본 시모노세키 주길신사 (스미요시진자)종[ 住吉神社鐘 ] - 고려범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⑫ 일본 스미요시진자 소장 고려 종 통일신라 계승하면서 새로운 양식 반영 일본 소재 한국범종 중 보존 양호 한때 일본 국보 지금은 중요문화재 종신 전후면 당좌 마주보는 비천상 나말 여초 과도기적 기법 대변 작품 이 종은 부산을 오가는 관부(關釜) 페리로 유명한 시모노세키시(下關市)의 스미요시진자(住吉神社) 보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초기의 종이다. 상설 전시가 가능한 일반 신사의 보물관과 달리 특별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공개되고 있다. 일본에 남아 있는 우리나라 범종 가운데 최대의 크기(높이 144.2cm)를 지닌 작품으로서, 이러한 크기와 양식적으로 우수한 외형으로 인해 한때 일본 국보(國寶)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중요문화재(重要文化財)로 전환되어 관리되고 있다. 전..

광주박물관 소장 장생사 범종

‘장생사’ 종 長生寺銘 靑銅 梵鐘(Buddhist Bell) 명칭 ‘장생사’ 종 다른명칭 長生寺銘 靑銅 梵鐘(Buddhist Bell) 국적/시대 한국 - 고려 출토지 전라남도 - 여수시 분류 종교신앙 - 불교 재질 금속 - 철 소장품번호 부여1927 사찰에서 시간을 알리거나 의식을 행할 때 사용하는 범종은 그 종소리를 듣는 순간만이라도 번뇌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종교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범종은 용 모양의 고리인 용뉴, 용뉴 목 뒷부분의 음향 효과를 위한 음통, 그리고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에는 당초무늬의 띠나 비천을 새겨 장식하였다. 이 범종은 음통의 표현이 섬세하고, 비천의 모습이 우아한 고려 시대 범종의 전형을 보여준다. 몸체 한 가운데에는 長生寺 金鐘重五十斤/棟梁寺主□倡渼/京成□正春元施..

전남 담양군 용흥사동종(潭陽 龍興寺 銅鍾) (보물 제1555호)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용흥사종, 대원사 부도암종, 만연사종 17세기 사장계를 이끈 선두주자 김용암 17세기 중엽부터 후반까지 승장 사인비구(思印比丘)와 쌍벽을 이루며 사장계(私匠系)를 주도하였던 김애립(金愛立)은 그 계열을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김용암(金龍岩)에서 찾을 수 있다. 김용암은 담양의 용흥사종(龍興寺鐘, 1644), 선암사 대각암 소장 대원사종(大原寺鐘, 1657), 화순 만연사종(萬淵寺鐘, 1660)을 만든 장인이다. 그의 범종은 쌍룡의 용뉴 밑으로 불룩이 솟아오른 천판의 가장자리에 둘러진 연판문대(蓮瓣文帶)와 종신에 부조된 용무늬처럼 외형 면에서는 중국 종의 영향을 많이 반영하였다. 그러나 방형의 연곽과 그 사이마다 보살입상을 배치하고 종구(鐘口)쪽에 하대(下帶)를 ..

영동 영국사 건륭이십육년명종[ 寧國寺乾隆二十六年銘鐘 ]

영국사 건륭이십육년명종[ 寧國寺乾隆二十六年銘鐘 ] 제목 : 영국사건륭26년명동종 원본보기 설명 : 조선후기 1761년에 장인 이만돌이 제작한 종. 높이 97cm. 전통종보다는 외래형에 가까운 혼합형 범종 양식을 따르고 있다.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영국사 소장. 출처 : Copyright © 한국..

고려대 박물관 소장 두정사 동종 (두정사頭正寺 기해명(己亥銘 범종)

고려대 박물관 소장 두정사 동종 (두정사頭正寺 기해명(己亥銘 범종) 제목 : 두정사동종 원본보기 설명 : 고려시대의 범종. 높이 39㎝.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전체적으로 흑적색을 띠며 몸체에는 균열이 나 있고, 용뉴와 음통을 갖추고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아래쪽에 당좌와 합장..

포항 오어사 동종(浦項 吾魚寺 銅鐘) (보물)

※ 오어사 동종은 보물 1280호로 지정 되었으나 2022년 1월 현재 문화재의 번호를 부여하지 않는다는 문화재청의 결정에 따라 부여되었던 번호없이 단순 보물이라고만 부른다.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25 포항 오어사 종 몸체에 처음으로 범자문 새긴 고려후기 종 1216년 제작 중요한 편년자료 위패 모양에 육자진언 양각 13세기 중후반 문양화로 변화 동화사 순성·청련스님 등 발원 주조한 대장 순광, 승장 추정 경북 포항시 오어사(吾魚寺)가 소장한 종은 고려 1216년 조성됐으며, 보물 1280호로 지정돼 있다. 포항의 유서 깊은 사찰 오어사(吾魚寺)에 소장된 이 종은 1995년 11월 경 오어사 앞 계곡의 준설 공사 도중 우연히 출토된, 양식적으로 매우 뛰어난 고려후기 범종이다. 특히 몸체에 정우(貞..

강원도 강릉시 관음사(觀音寺): 극락전 범종(極樂殿 梵鍾)(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강릉 관음사(觀音寺): 극락전 범종(極樂殿 梵鍾)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종 목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명 칭 강릉관음사소장동종 (江陵 觀音寺 所藏 銅鍾)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2007.11.23 소 재 지 시 대 백제(?) 소유자(소유단체)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