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 550

충남 부여 무량사종 無量寺鐘 (충남 유형문화재 제162호)

부여 무량사종 無量寺鐘 (충남 유형문화재 제162호) 무량사 동종 • 코드: cp0501b02101 • 명칭 : 무량사동종 • 지정 : 시도유형문화재 162호(충남) • 조성연대 : 조선 인조 14년(1636) • 제원 : 전체높이 107.2㎝, 종신 79.4㎝, 입지름 99.6㎝ • 소재지 : 부여 무량사 • 관리자 :..

보은 법주사 중사자암 동종 (報恩中獅子庵銅鐘 법주사 崇禎9년명 종) (충북 유형문화재 제237호)

보은 법주사 중사자암 동종 (報恩中獅子庵銅鐘 법주사 崇禎9년명 종) (충북 유형문화재 제237호)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7호 명 칭 보은 중사자암 동종 (報恩 中獅子庵 銅鍾)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2004.07.09 소 재 지 충북 보은군 속리..

가평 현등사 소장 봉선사동종 (加平 懸燈寺銅鍾 ) (보물 제 1793호))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현등사 소장 봉선사종, 고견사 소장 종, 보광사종 17세기 천보스님 ‘범종 장인’의 시작을 알리다 전란(戰亂)의 격동기를 거친 17세기 전반에 들어오면 사찰마다 전쟁에 소실된 종을 만드는 작업이 활발해지면서 승려 장인의 작품이 많이 만들어졌다. 16세기 후반까지 승려 장인에 의해 만들어진 범종은 주로 전통형을 따르고자 노력한 반면에 17세기에 들어와 뛰어나 기량을 보인 천보(天寶)스님은 쌍룡의 용뉴와 범자문, 화려한 운룡문과 같은 중국종 계열을 따르고 있음이 독특하다. 그는 17세기 전반부터 중엽에 걸쳐 활약한 승려 장인으로서 현등사 소장의 봉선사종(奉先寺鐘), 고견사 소장의 견암사종(見岩寺鐘), 보광사종(普光寺鐘) 등 현재까지 그에 의해 제작된 3점의 범종이 확인되며 근..

전북 완주군 화암사 동종 花巖寺 銅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0호)

화암사 범종(花岩寺 梵鍾 ) (화암사 동종) 보완 : 2023년 1월 26일 문화재명 : 화암사 범종(花岩寺 梵鍾 ) 지정사항 : 시도유형문화재 소재지 :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全羅北道 完州郡 庚川面 佳川里) 분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 조선 범종(朝鮮 梵鍾)년대조선후기(朝鮮後期) 요약정보 종정상(鍾頂上)의 용뉴(龍?)는 전통(傳統) 양식(樣式)을 모방한 용뉴(龍?)이며 용통(甬 筒)을 갖추고 양족(兩足)으로 종정을 딛고 여의주를 물고있는 용(龍)으로 조성되어 있다. 또 한 종정(鍾頂)의 천판(天板)은 반구형(半球形)이며 상대(上帶)와 종정과 구분되는 계선상(界 線上)에는 여의두문(如意頭紋)의 입상문(立狀紋)으로 처리하였고 상대(上帶)는 도식화(圖式 化)된 복연판대(覆..

경주박물관소장 성화6년명 범종 (成化6年銘 梵鐘)

'성화원년명'동종 명칭 : '성화원년명'동종 다른 명칭 : '成化元年'銘銅鐘 국적/시대 : 기타-기타​ 출토지 재질 : 금속 분류 : 종교신앙-불교-의식-범종​ 크기 : 높이 22.3cm, 지름 9.5cm 소장품번호 : 접수 63 ​ 본 동종은 2022년 1월 9일 현재 현재 '성화원년명 동종'으로 명명되고 소장품번호 접수63으로 되어 경주박물관 사이트에서 검색됨. https://gyeongju.museum.go.kr/kor/html/sub04/0401.html?mode=V&id=PS0100100200200006300000&cate_code=&cate_gubun= 주 : 成化6年 庚寅 (조선 成宗 元年, 1470) (하단 설명참조) 종신에는 성화6년이라 새겨져 있음. 2014년 1월 19일 현재 경주박물..

중앙박물관 소장 수종사 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수종사종·해인사종 조선 왕실 여성들의 간절한 염원을 담다 이번 호에 소개할 두 점의 범종은 왕실의 권위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적 작품이라기보다 왕비와 같은 왕실 관련 여성들이 발원한 종이다. 그런 점에서 규모가 이전의 대형 종에 비해 축소되었다. 따라서 처음부터 이 두 종은 종각과 같이 외부에 거는 목적이 아니라 실내 의식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 이러한 왕실 발원 범종은 연맥이 끊긴다. 개인 발원의 범종이 주류를 이루어간다는 점에서 거의 마지막에 해당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인수대비 인혜왕비 발원 조성 규모 작아져 실내의식용 추정 왕실발원 범종 마지막에 해당 저자세로 천판에 붙은 용뉴 원 양식 기본으로 명 양식 수용 ◀ 성화5년수종사명종 성화오년수종사..

경상도북 안동시 봉정사동종 (鳳停寺銅鍾)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04호)

봉정사 동종 • 코드: cp0501b03201 • 명칭 : 봉정사동종 • 지정 : 문화재자료 404호(경북) • 조성연대 : 조선 순조 13년(1813) • 제원 : 전체높이 83.0㎝, 종신 58.4㎝, 입지름 54.5㎝, 무게 42kg • 소재지 : 안동 봉정사 • 관리자 : 안동 봉정사 • 설명 이 범종은 전체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