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여권의 힘 (Global Passport Power)
매년 세계 각국의 여권에 대하여 다른 나라들의 호응도를 측정하여 발표하는 대표적인 기관은
The Henley Passport Power Index 와 Global Passport Power Rank 두 기관의 발표가 신용도가 제일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두 기관 중 우리나라 언론들이 주로 인용하는 것은 Henley Index가 많다.
두 기관에서 발표한 2025년도 Passport Power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https://www.henleyglobal.com/passport-power
https://www.passportindex.org/byRank.php
Henley Passport Power Index 2025
1. 우리나라의 종합적인 여권 순위는 일본과 공동 2위를 기록하였으며 싱가포르가 1위를 하였다.
2. 우리나라의 경제적 이동성 (Economic Mobility)은 조사 대상국 사이에서 일본, 싱가포르, 미국 및 유럽 강대국들을 제치고 1위를 하였다.
3. 전세계 GDP 중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1,623%, 일본 3.993%, 싱가포르 0.475%, 미국은 25.932%로 GDP 기준에서는 당연히 1위를 하였지만 경제적 이동성은 23위에 그쳤다.
4. 우리나라의 비자 면제국가는 190개국, 일본 190개국, 싱가포르는 193개국이었다.
Global Passport Power Rank 2025
1. 이 기관이 발표한 1위는 두바이가 소속된 아랍 에미리트 (UAE)가 단독으로 랭크되었다.
2. 우리나라는 유럽의 국가들과 더불어 공동 5위였으며 싱가포르외 일본은 공동 6위였다.
3. 우리나라에 비자를 면제해주는 나라는 조사 대상국 중 175개 지역이었다. 이 숫자는 Henley Index의 190개국가와 차이가 있다. 조사 시기의 차이라고 해석된다.
4. 우리나라에 대하여 이처럼 많은 지역들이 비자를 면제하고 있는 반면 우리가 비자를 면제하고 있는 나라 지수 (Welcoming countries)에서는 공동 40위, 싱가포르는 16위, 일본 공동 67위, 미국 공동 79위, 북한은 아프카니스탄과 더불어 최하위권인 92위를 기록하고 있다.
가) 붉은색 계열 - 68개국
나) 초록색 계열 - 40개국
다) 푸른색 계열 : 84개국. 우리나라의 경우 구여권은 초록색이었으나 (아직 사용하는 분도 계실 것이다) 신여권은
청색으로 북한의 여권색과 구별이잘 되지 않는다.
라) 검정색 계열 - 7개국
출처 : 위 각 기관 2025년 2월 8일 현재
https://www.henleyglobal.com/passport-power
https://www.passportindex.org/byRank.php
Ⓒ 저작권은 위의 각 기관에 있습니다.
'이야기 흐름속으로 > 잡다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이나신드롬 속의 진짜 중국 - 이인택 (0) | 2025.02.12 |
---|---|
진짜 일본 가짜 일본 - 홍하상 (0) | 2025.02.03 |
삶이 행복해지는 순간의 클래식 - 스칼라 라디오 (0) | 2025.01.15 |
나이? 유쾌한 반란 - 와다 히데키 (2) | 2025.01.09 |
요즘 마흔을 위한 마음 챙김 - 소사장 소피아 (2)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