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美]독창적 선(禪)의 기조와 곡선미 [한국의 美]독창적 선(禪)의 기조와 곡선미 우리나라 사람은 산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아름다운 자연과 벗할 수 있는 매력도 있지만 고즈넉이 자라잡고 있는 산사를 구경하는 재미가 산을 찾는 의미를 배가할 때가 많다. 종교적 의미를 제쳐놓고서라도 누구나 여행을 할 때면 우리나라 ..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5.09
범종 비교 [종(鐘)] 종루(鐘樓), 종각(鐘閣), 범종각(梵鐘閣) 圓音閣 : ‘원음’은 원만한 소리 즉 부처님의 음성을 상징하며, 원음각은 일체중생에게 부처님의 음성을 들려주어 해탈의 길로 인도하는 殿閣이라는 의미. 四物 의 뜻 국악 : 꾕과리, 징, 장구, 북 사찰 : 범종, 법고, 목어, 운판 한약 : 숙지..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5.05
범종의 과학적 주조 1. 에밀레종의 주조법 에밀레종의 주조법은 한마디로 불가사의하다. 1963년 2월 원자력 연구소 고종건, 함인영 박사는 특수촬영(감마선 투과촬영)을 통해 그 당시 어떻게 그렇게 얇은 주물이 가능했고(에밀레 종은 어디를 재도 위쪽은 10cm, 아래쪽은 20cm이다.) 깨끗한 용접이 가능했으며, 주..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5.05
범종의 각 부 명칭 범종은 절에서 대중을 모으기 위해서나 때를 알리기 위해서 치는 종으로, 흔히 종루를 짓고 달아두는데, 시대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즉 ‘범종’이라 함은 일반 종과는 구분되는 명칭으로 불교사찰에서 사용하는 종이란 뜻이며, 청정한 불사에 사용하는 종이라는 의미로 ..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5.05
중생을 제도하는 유현한 법열의 소리, 범종 해질 녘, 깊은 산길을 걸을 때, 어디선가 멀리 산사에서 울리는 범종소리를 듣게 되면 형언할 수 없는감동에 젖게 된다. 이런 감동이 바로 불자들이 체험해볼 만한 법열의 경지가 아닐까. 더구나 지친 몸으로 먼 길을 걸어온 운수납자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이런 감동은 불자만의 것이 아..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5.02
전생인연이 깊은 통도사 범종루와 신라범종 이야기 전생인연이 깊은 통도사 범종루와 신라범종 이야기 1920년대 통도사 범종각과 만세루, 종이에 먹펜, 36X50cm, 2007 사진출처 : 조인스닷컴 통도사 범종루와 신라범종 이야기 한국 불교의 종가(宗家)라는 양산 통도사의 범종(梵鍾)소리를 들어보셨습니까? 통도사에서는 새벽 3시와 저녁 6시에 범종을 칩니다. 제일 먼저 작은 범종을 치며 지옥을 파하고 중생을 구한다는 염불을 하고 그 다음 큰 법고(法敲)를 여러 스님이 번갈아 두드립니다. 장삼을 펄럭이며 법고의 가운데와 테두리를 번갈아가며 두드리는 모습은 참으로 멋이 있습니다. 통도사 승가대학 학인스님들이 공부를 겸하여 치는 것인데 가장 솜씨가 좋은 고두장의 화려한 연주에는 관람객의 박수가 쏟아집니다. 10여분에 걸친 법고 연주가 끝나면 목어(木魚)의 맑..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4.29
범종루와 범종 ['해인범종' 현판이 내걸린 해인사 범종루] [범어사 종루] 범종루(梵鐘樓)는 종고루(鍾鼓樓) 또는 종각(鐘閣)이라고도한다. 큰 범종만 매달아 놓은 곳도 있지만 보통 불전사물 또는 법구사물[사법물]이라하여 범종, 법고, 운판, 목어를 매달아 놓는다. 그 하나 하나에 대해 알아본다. [범종(..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4.29
한국의 소리 범종소리 스물 여덟 번 울리는 범종 소리, 범종을 치는 것은 지옥의 중생들이 모두 고통에서 벗어나 불법의 진리를 깨닫게 하기 위함이다. 범종을 치는 뜻 범종은 사물(四物) 중에서 단연 으뜸이다. 범종을 치는 뜻은 지옥의 중생들이 모두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고 불법의 장엄한 진리를 ..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4.29
문화재청 범종 기록보고서 발간 문화재청 범종 기록보고서 발간 왕흥사지 8차 발굴조사도 착수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이 ‘2006 중요동산문화재 기록화사업’ 1차 조사 결과로 범종 16점에 대한 조사 결과를 담은 <범종/형 색 감>을 출간했다. 문화재청은 “우리나라 범종은 형태와 소리가 중국 일본의 것과는 비교할 ..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4.29
조선시대 주종장 ◈ 조선시대 주종장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 종에는 주종장이 밝혀진 예가 드문 데 비해 조선 후기 종은 종신 명문질에 주종장 이름이 밝혀져 있다. 화원畵員, 주장鑄匠, 편수片手, 양공良工 등으로 불렸던 이들은 크게 승려주종장[僧匠]과 개인주종장[私匠]으로 나뉜다. 승려주종장들.. 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2007.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