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120

청림사 銅鐘이 내소사로 간 까닭

내소사 고려동종(보물 제277호) 보물 제277호로 지정된 내소사고려동종은 원래는 내변산 청림사에서 주조된었다. 종신 하단에 '靑林寺銘'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부안21 청림사 銅鐘이 내소사로 간 까닭... 보물 제277호 내소사 고려동종은 높이 1.03미터, 구경 0.67미터의 범종으로 고려시대의 특색이..

일본의 한국 종

일본에는 현재 50여 점을 헤아리는 많은 수의 우리나라 범종이 남아있다. 이 가운데 통일신라 범종으로는 죠구진자〔常宮神社〕소장의 연지사종(蓮池寺鐘 : 833년), 운주지〔雲樹寺〕 소장 종(8세기 후반), 고묘우지〔光明寺〕 소장 종(9세기), 우사진구〔宇佐神宮〕소장의 천복4년명종(天福四年銘鐘 : 904년) 등을 비롯해 모두 4점이 알려져 있다. 국내에 남아있는 통일신라 종이 현재 3점에 불과하며 특히 9~10세기 만들어진 통일신라의 후기의 범종이 단 한 점도 남아있지 못한 점에서 이들의 중요성은 자못 지대하다. 특히 지금은 사라졌지만 통일신라 745년, 856년에 제작된 범종이 나가사키〔長崎〕에 있었던 사실도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아쉬움을 준다. 이 밖에도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한국문화의 불가사의 (범종)

추억의 명화 노틀담의 꼽추에서 안소니 퀸의 완벽한 불 구자의 연기와 鐘지기 생활 때문에 귀머거리로 나오는 모습이 아련한 기억 저 편에서 생각 날 것이다. 반면에 동양의 종 특히 한국의 종을 두드려서 귀머거리가 되었다는 사람은 아직 없다. 그 만큼 東西洋의 鐘은 이름과 형태는 類似 하나 사용상의 기능과 타종 방법은 源泉的으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서양의 종은 신호를 목적으로 소리를 크게 내는 기능 중심이라면,동양의 종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악적이고 精神 藝術적인 조형 美와 정성이 강조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인간을 감화 시키고 보이지 않는 메시지를 전달 한다는 기능이 주 목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리라. 중국 鐘은 視覺的 화려한 외양에 중점을 둔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우리의 梵鐘(범종)..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의 주조기법(鑄造技法)에 관한 고찰(考察)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의 주조기법(鑄造技法)에 관한 고찰(考察) 이영배(李榮培, 서울대 명예교수) 서론(序論) ◇ 한국(韓國)의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한국(韓國)에서는 지금까지 동(銅)과 철(鐵)이 함께 전래돼서 바로 철기시대(鐵器時代)로 된 것이 하고 추측되어왔다. 그런데, 광..

범종 꼭대기에 龍머리 붙인 까닭?

범종 꼭대기에 龍머리 붙인 까닭? 우리 전통 범종(梵鐘)의 꼭대기를 보면 용(龍)머리 모양의 고리가 달려있다. 용뉴(용 꼭지)라 하는 이 고리를 만들어 붙인 것은 당연히 종각(鐘閣)에 종을 걸기 위해서다. 그런데 종의 고리가 하필이면 왜 용 모양일까. 종과 용은 대체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일까. 옛날의 기록이나 전설에 따르면 원래 용에게는 아들이 아홉 있었다. 그중 첫째 아들인 포뢰(蒲牢)용은 울기를 잘해 소리가 우렁찼다. 그러니 이 포뢰야말로 소리를 내야하는 종에 안성맞춤이었던 것이다. 바닷가에 살던 이 포뢰는 또 고래를 무서워해 고래가 다가오기만 하면 놀라서 큰 소리를 질렀다고 한다. 종을 치는 막대기(당목·撞木)도 원래는 고래 모양의 나무였거나 고래뼈였는데 이것은 고래로 종을 두드려야만 종 꼭대기에 ..

각 시대의 범종

◎ 각 시대의 범종 1. 신라의 범종 신라의 범종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존하는 것이 11구에 불과하다. 이 11구중 유기명 범종은 6구, 무기명 범종은 5구로 현재 국내에 있는 것은 5구뿐이다. 성덕대왕신종 유기명 범종 755년 상원사 범종, 745년 일본 국부팔번궁사 소장 벙종 (명치유신 당시 신불 분리소동으로 없어짐), 771년 봉덕사 성덕대왕신종 804년 선림원 범종(월정사 범종) 6.25때 소실 파편일부보관 833년 일본 상궁신사 범종 904년 우좌팔번궁 범종 무기명 범종 청주박물관 소장 신라범종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실상사 파종 일본 광명사 소장 신라범종 일본 주길신사 소장 신라범종 일본 운수사 소장 신라범종 이 11구의 범종에서 볼 수 있는 특징과 공통점은 상단에는 상대와 4개소의 방형유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