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충청남도 청양군 화정사 범종 (靑陽和鼎寺 梵鐘) (출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korman 2014. 2. 5. 20:06

충남 청양군 화정사 범종 (靑陽和鼎寺 梵鐘) 

(출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명 칭 청양화정사범종 (靑陽和鼎寺梵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

지정(등록)일 2009.01.20

소 재 지 남양면 신왕리 262-4 남양면 수단길 192(신왕리 262-4)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청양군 문화체육과 041-940-2194


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검색창 2017년 3월 18일 현재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000000,34


===========================================================================


2014년 2월 5일 발췌

 

 

지정정보 : 유형문화재 제200호 
소재지     :청양군 남양면 수단길 192 (신왕리 262-4) 
수량/면적 : 1점 
지정일 : 2009년 1월 20일 
관리자 : 화정사 주지 

 

문화재설명

충남 청양군 남양면 신왕리 262-4번지에 위치한 화정사에 소장된 범종으로 고려후기 범종의 전형적인 조형양식을 따르고 있다. 크기는 높이265mm, 구경150mm로 소형범종이다. 종신은 고려후기종의 독특한 조형요소인 입상대를 갖추었으며 그 아래로 상대, 유곽, 종뉴, 보살상, 당좌, 하대 등을 빠짐없이 갖추고 있다. 화정사 범종은 소형종임에도 불구하고 용뉴의 모습이 생동적이고, 입상대장식이 아름답다.
화정사 범종은 고려후기종의 독특한 조형요소 상대, 유곽, 종뉴, 보살상, 당좌, 하대등을 빠짐없이 갖추고 있다. 천판 주연에는 간단한 문양이 장식된 立花瓣이 돌려졌으며, 그 아래에 접하여 연주문과 당초문이 상대를 형성하고 있다. 연주문을 이용하여 조형한 유곽장식은 간략함을 보여주며, 내부에는 종뉴가 9개씩 배치되었다. 鐘腹의 전후에는 2구의 보살상이 선각 부조되었는데 섬세하지는 않다. 하대에는 구연부에 연주문을 돌리고 그위에 연꽃과 줄기가 반복되는 연꽃덩굴무늬가 장식된 모습이다.

 

출처 : 청양군 문화관광 사이트 2014년 2월 5일 현재

http://tour.cheongyang.go.kr/_prog/_board/?mode=V&no=318755&code=culture_0401&site_dvs_cd=kr&menu_dvs_cd=

0404&skey=&sval=&GotoPage=&gubun=gubun_04

----------------------------------------------------------------------------

[간략정보]
  • 한자
  • 분야
  • 유형
  • 성격
  • 제작시기/일시
  • 수량
  • 재질
  • 크기(높이, 길이, 두께, 너비)
  • 소장처
  • 문화재 지정번호
  • 문화재 지정일
  • 집필자
 
 
충청남도 청양군 화정사에 소장된 고려시대 동종.
고려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형 범종이다. 2009년 1월 2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되었고 청양군 화정사에 소장되어 있다.
전체 외형은 종의 입구가 좁아지면서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종의 고리는 한 마리의 용으로 형상화했고 음통을 갖추었다. 천판에는 입상화문대가 있고 몸체에는 상대와 하대를 둘렀다. 상대는 폭이 좁고 하대는 넓게 배치하였으며, 당초문이 장식되었다. 몸체의 윗부분에는 연곽이 있고 중심 부분에는 보살상과 당좌가 표현되었다.
화정사 범종은 단룡의 종뉴, 음통, 연곽, 상대와 하대, 당좌 등 통일신라부터 고려로 이어지는 전통 범종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한편 종의 높이가 26.5cm에 이르는 소형인 점과 입상화문대의 장식이 주목된다. 크기가 작은 범종의 제작은 고려 후기에 크게 늘어나며, 입상화문대도 같은 시기 새롭게 정착된 조형 요소이다.
화정사 범종은 전통의 양식을 계승하면서 고려 후기에 유행하는 새로운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고려시대 금속공예품 연구의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 문화재청(www.cha.go.kr)

출처 : 네이버를 통한 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2015년 5월 8일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