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신라의 종 9

일본 시마네현 고묘지 (광명사, 光明寺)의 신라범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⑨ 일본 시마네현 코묘우지 통일신라 종 팔리고 떠돌고…아픈 과거 간직한 신라 종 운천동 출토 종 당좌 흡사 통일신라 9세기 중엽 조성 1379년이전 일본 이동 추정 해풍으로 부식돼 손상 심각 이 종은 시마네현(島根縣) 오오하라군(大原郡) 오오타케산(大竹山)의 높은 정상부에 위치한 코묘우지(光明寺) 종루에 걸려 있던 종으로서 바다에 인접한 산 정상부에 위치한 때문인지 몰라도 해풍에 의한 부식과 손상이 심한 편이다. 이 종에 대해서는 대정년간(大正年間, 19 12~1925) 초기에 스즈키 큐유지(鈴木久治)가 처음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시 대정8년(1919)년에 역사학자인 타카다쥬로(高田十廊)가 에 이 범종의 금석문을 소개한 내용이 보인다. 따라서 꽤 일찍부터 이 종이..

강원도 평창 상원사 범종 (국보 36호)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② 상원사종 최응천 동국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승인 2017.02.08 09:24 ‘동양서 가장 아름다운 종’ 찬사 중국 일본종과 구별되는 독특한 형태, 의장 눈길 한국종의 ‘완성’ 보여줘 정교한 세부장식 외에도 여운 깊은 울림소리 지녀 백리 밖까지 들리는 명종 ◀ 한국범종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는 오대산 상원사 종. 국보 36호, 높이 167cm, 구경 90.3cm. 오대산 상원사에 소장된 국보 36호 상원사 범종은 725년에 제작되었다는 명문을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 범종 가운데 가장 오랜 작품이다. 이 종을 통해 이미 725년 무렵에는 중국과 일본 종과 구별되는 독특한 형태와 의장(意匠)을 지닌 한국 종으로 완성을 이루게 된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정..

선림원 종 (선림원지 파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⑥ 선림원지 ‘정원20년명 종’ 발견 3년만에 녹아버린 비운의 통일신라 종 1948년 설악산서 발견 국군이 월정사 소각시 소실 상원사 동종과 정반대 운명 종신 안쪽 양각 명문 ‘독특’ 9세기 귀중한 금석문 자료 일본에 남아있는 운쥬지(雲樹寺) 종이 거의 8세기 후 반에 만들어진 작품이라면 9세기의 첫머리를 장식하 는 통일신라 범종이 바로 804년에 만들어진 선림원 지(禪林院址) 종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범종은 1948년 강원도 양양군 (襄陽郡) 서면(西面) 미천리(米川里) 소재의 선림원지 에서 발견된 이후 불과 3년만에 한국전쟁으로 인해 소실되고 만 비운의 종이다. 더 명확히 말하자면 이 종을 발견한 장소가 설악산의 폐사지였기 때문에 종의 안전한 보호를 위하여 오대 산..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실상사 파종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실상사 파종 출처 : 동국대학교 박물관 유물검색페이지 2017년 3월 1일 현재 http://210.94.204.227/kor/tlsch/showdetail.jsp?vcode1=PS01005011002&vcode2=000068&vcode 3=000&chgname=%C1%BE&curPageNo=1 ========================================================================== 2007년 3월 25일 발췌 실상사 파종 통일신라, 청동, 전체높이 99.0cm, 입지름 98.0cm, 동국대박물관 1969년 3월 지리산 실상사에서 출토되었다. 발굴 당시부터 상반부는 망실된 채 하대, 비천상, 당좌 등 하부만 남아있으나 연곽의 일부도 조금..

청주박물관 소장 청주 운천동출토 동종(淸州雲泉洞出土銅鍾) (보물 제1167호)

청주박물관 소장 청주 운천동출토동종(淸州雲泉洞出土銅鍾) (보물 제1167호) 청주 운천동출토 동종 • 코드: cp0501b01101 • 명칭 : 청주운천동출토동종 • 지정 : 보물 제 1167호 • 조성연대 : 통일신라시대 말기(8∼9세기) 추정 • 제원 : 전체높이 78㎝, 종신 64㎝, 입지름 47.4㎝ • 소재지 : 국립청주박물관 • 관리자 : 국립청주박물관 • 설명 1970년 충북 청주시 운천동에서 금동불상, 금고(金鼓) 등과 더불어 출토된 범종이다. 중간 크기의 종으로 상, 하단에 어떠한 문양도 없이 단순하게 처리된 것이 오히려 이 종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재질은 청동이다. 사각형의 연곽에는 3구의 비천상과 삼보문(三寶文), 당초문으로 꾸몄고, 연화좌에 9개의 돌출된 연뢰가 있다. 종 몸통에는 ..

경주박물관 소장 봉덕사 성덕대왕 신종 (국보 제29호) (에밀레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③ 성덕대왕신종 세속의 번뇌망상 잊게 해주는 천상의 소리 우리나라 범종 중 가장 긴 여운 사람이 듣기 가장 편한 주파수 예로부터 에밀레종 별칭 ‘유명’ 성덕대왕 왕생극락 ‘염원’ 담아 지금도 타종 가능한 신라 범종 8세기 통일신라 불교 조각 반영 ◀ ①통일신라 불교 조각의 진수를 간직한 성덕대왕 신종. 국보 제29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의 범종은 그 소리가 웅장하면서 긴 여운을 특징으로 한다. 마치 맥박이 뛰는 듯 끊어질 듯 이어지는 이러한 범종의 긴 공명을 우리는 맥놀이 현상이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성덕대왕 신종은 우리나라 범종 가운데 가장 긴 여운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맑고 웅장한 소리를 지니고 있어 누구라도 이 종소리를 듣고 있노라면 세속의 번뇌와 망상을 잊게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