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조선의 종

경상남도 함양 금대암 동종 [ 金臺庵銅鐘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68호)

korman 2014. 3. 7. 16:28

경상남도 함양 금대암 동종 [ 金臺庵銅鐘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68호)



종 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68호

명 칭 금대암동종 (金臺庵銅鍾)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점

지정(등록)일 1998.11.13

소 재 지 경남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금대암

상 세 문 의 경상남도 함양군 문화관광과 055-960-5162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59㎝, 입 지름 43㎝의 범종이다.


종 위에는 우리 나라 종의 특징인 소리의 울림을 부드럽게 해준다는 용통이 약간 훼손되었으나 남아있고, 종의 고리에는 용머리가 정교하게 새겨 있다. 종 몸체에는 한 줄의 선을 가로로 긋고, 7자의 부처님 말씀인 법어를 새겨 넣었다. 밑으로 사각형 모양의 유곽에는 빗살무늬를 새겼고, 그 안에 유두를 9개씩 두었다. 두 손을 모아 합장하는 보살상을 4면에 새겼다.


이 종은 조선 영조 10년(1734)에 쌍계사에서 제작되었다는 명문이 남아 있지만, 종의 형식으로 보아도 전형적인 조선 중기의 종임을 알 수 있다.


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검색창 2017년 7월 14일 현재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2680000,38


============================================================================





금대암 동종


• 코드: cp0501b01201 


• 명칭 : 금대암동종 


• 지정 : 문화재자료 268호(경남) 


• 조성연대 : 조선 영조 10년(1734) 


• 제원 : 전체높이 59㎝, 입지름 43㎝, 무게 42kg 


• 소재지 : 함양 금대암 


• 관리자 : 함양 금대암 


• 설명 


이 범종은 둘레 138㎝의 소종으로, 산음 쌍계사에서 제작되어 금대암(전통사찰 제84호)에 옮겨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재질은 청동이다. 


용뉴는 여의주를 문 단룡과 온전한 음통으로 되어 있으며 두 발로 천판을 움켜쥐고 꼬리는 음통을 감싸고 있다. 원형범자를 둘러 상대를 대신하고 종 몸체에는 세 줄의 횡선으로 구분하였다. 사각형 모양의 연곽에는 빗살무늬를 새겼고, 그 안에 연뢰를 9개씩 두었으며 상태는 온전하다. 연곽 사이에는 합장한 보살입상을 4면에 새겼다. 하단은 민자 형으로 역시 세 줄의 선을 돌리고 있다. 


명문(銘文)이『옹정(雍正) 십이년(十二年) 갑인년월일(甲寅年月日) 조성(造成), 중종중칠십근(中鐘重七十斤)) 산음 쌍계사(雙溪寺)』로 정확히 기록(記錄)되어 있으며 종의 형식으로 보아도 전형적인 조선 중기의 동종(銅鐘)임을 알 수 있다. 


<자료참조 : 문화재청, 직지성보박물관, 사찰 홈페이지>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년 12월 4일 현재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01&index_id=cp05010025&content_id=cp050100250001&search_left_menu=3

==============================================================================

금대암 동종[金臺庵銅鐘]














국가 한국

도/특별시/광역시 경상남도

시/구/군 함양군

읍/면/동 마천면

지정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경남문화재자료 제268호

지정일 1998년 11월 13일

소장 금대암

소재지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지도보기

시대 조선

종류/분류 동종

크기 높이 59㎝, 지름 43㎝, 둘레 138㎝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금대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


1998년 11월 13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8호로 지정되었으며 금대암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이 종은 명문(銘文)이 ‘옹정 십이년 갑인년월일 조성, 중종중칠십근 산음 쌍계사’로 기록되어 있어, 1734년(영조 10) 산음 쌍계사에서 제작되어 금대암으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 


종의 형식은 조선 중기 동종의 전형적인 양식으로 크기는 높이 59㎝, 지름 43㎝, 둘레 138㎝이다. 음통(音筒)은 조금 훼손되어 있으나 윗부분의 용두(龍頭)는 정교하게 새겨져 있다. 윗단에 선을 한 줄 돌려 법어 7자를 새겼으며 그 아래에 3줄의 띠를 돌렸다. 아랫단은 민자형으로 되어 있는데, 역시 3줄의 선을 돌려놓았다.


유곽은 빗살무늬를 새겼으며 유두는 9개가 있고 4면에 보살상이 합장한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출처 : 두피디아 2017년 7월 14일 현재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8304


=============================================================================

2014년 3월 7일 발췌

 

금대암 동종 [ 金臺庵銅鐘 ]

 

 

 

소재지 :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금대암

지정번호 : 문화재자료 제 268호

시대구분 : 조선시대

금대암 동종 소개

금대암 동종은 영조10년(1734)에 제작된 종으로 산음 쌍계사에서 제작되어 이곳 금대암(전통사찰 제84호)에 옮겨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명문이 옹정 십이년 갑인 사월 일 조성, 중종 중칠십근 산음 쌍계사(雍正 十二年 甲寅四月日) 造成, 中鐘重七十斤 산음 雙溪寺)로 정확히 기록 되어있다.
종은 약간 훼손되어 있으나 상부의 용두가 정교하게 새겨져 있고, 윗단에 한줄의 선을 돌리어 법어 7자를 새겼으며, 그 아래에 세줄의 띠를 돌렸고, 하단은 민자형으로 역시 세줄의 선을 돌리고 있다.

유곽은 빗살무늬를 새기고 유두(乳頭)는 9개가 배치되었으며, 합장한 보살상은 4면에 새겨져 있다, 형식은 전형적인 조선 중기의 동종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크기는 높이 59cm, 지름 43cm, 둘레 138cm로서 귀중한 문화재 자료로 보존 관리되고 있다.

 

출처 : 함안군 문화관광사이트 2014년 3월 7일 현재

http://tour.hygn.go.kr/program/tour/tourinfo/outTourInfo.asp?cate=H0204&SType=Tou_Name&SString=&idx=175&page=2&tabmenu=2

 

-----------------------------------------------------------------------

추가자료

 

지정종목

문화재자료

  • 지정번호

    경남문화재자료 제268호

  • 지정일

    1998년 11월 13일

  • 소장

    금대암

  • 소재지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 시대

    조선

  • 종류/분류

    동종

  • 크기

    높이 59㎝, 지름 43㎝, 둘레 138㎝

    [네이버 지식백과] 금대암 동종 [金臺庵銅鐘] (두산백과, 두산백과)

  • 1998년 11월 13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8호로 지정되었으며 금대암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이 은 명문(銘文)이 ‘옹정 십이년 갑인년월일 조성, 중중칠십근 산음 쌍계사’로 기록되어 있어, 1734년(영조 10) 산음 쌍계사에서 제작되어 금대암으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

    의 형식은 조선 중기 동의 전형적인 양식으로 크기는 높이 59㎝, 지름 43㎝, 둘레 138㎝이다. 음통(音筒)은 조금 훼손되어 있으나 윗부분의 용두(龍頭)는 정교하게 새겨져 있다. 윗단에 선을 한 줄 돌려 법어 7자를 새겼으며 그 아래에 3줄의 띠를 돌렸다. 아랫단은 민자형으로 되어 있는데, 역시 3줄의 선을 돌려놓았다.

    유곽은 빗살무늬를 새겼으며 유두는 9개가 있고 4면에 보살상이 합장한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대암 동종 [金臺庵銅鐘] (두산백과, 두산백과) 2014년 3월 7일 현재


    추가 참고자료 : 문화콘텐츠 진흥원 사이트

    https://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AGE&search_div_id=CP_AGE001&cp_code=cp0501&index_id=cp05010025&content_id=cp050100250001&search_left_menu=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