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대학교박물관 소장 종(鐘)
유물명 : 종
국적 : 한국
재질 : 금속, 동합금제
용도 : 사회생활(社會生活) 사회제도(社會制度) 교육(敎育) 학교종(學校鐘)
장르 : 민속품(民俗品) 민속품(民俗品)
정의 : 금속으로 주조한 타악기.
상세설명 :
악종(樂鐘)·시종(時鐘)·경종(警鐘)·범종(梵鐘) 등 그 범위가 넓다. 그러나 우리 나라 민족문화의 소산물로서 종이라 일컬을 때에는 범종을 말한다. 범종은 일반적으로 동종(銅鐘)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중국과 같은 나라는 철제종(鐵製鐘)이 많은 데 비하여 우리 나라는 모두 청동(靑銅)으로 주조하였기 때문이다. 현재는 범종이 주종을 이루지만 종의 범위는 상당히 넓다.
[방울] 우리나라 종 가운데 가장 일찍 선을 보인 것은 큰 방울[鐸]이다. 1960년대 초에 대전 괴정동에서 동(銅)으로 만들어진 큰 방울이 거울·칼과 함께 발굴되었다. 그것의 제작연대는 서기전 4세기로 추정되어 청동기시대 이후에도 큰 방울이 줄곧 만들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방울에 대한 기록은 중국의 사서(史書)인 ≪삼국지≫·≪후한서≫·≪진서≫ 등의 〈마한전〉 에 방울에 대한 단편적인 기록이 보일 뿐이다. 큰 방울이 출토된 대전 땅은 후에 마한의 한 지역이 되었다. 바로 그 땅에서 제사가 행하여지고 방울을 흔들면서 춤추는 잔치와 굿이 벌어졌던 것이다. 중국 역사책에는 북쪽 땅인 예(濊)·부여·고구려 등 여러 부족들의 제사에 관한 기록도 있지만 아쉽게도 방울에 대한 기술은 보이지 않는다. 소도는 물론 신이 내리고 오르는 신역(神域)이요 제단이며, 거기에 세워진 나무는 신간(神杆 또는 神竿)의 성격을 가진 성물(聖物)이다. 그리고 거기에 오르내리는 신은 그 땅의 부족들의 생명과 재산과 풍요를 지켜 주는 수호신이다. 그러므로 파종을 마친 5월이나 가을 추수기에는 수호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것이다. 그때 사람과 사람 사이에 벌어지는 잔치도 있게 되고, 사람과 귀신 사이에 굿판도 벌어졌다. 그런데 사람과 귀신 사이에 벌어진 굿판에는 귀신을 즐겁게 만들고 달래는 일이 큰일이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노래와 춤이 동원되고 그 굿판을 흥분과 황홀경에 젖어들게 함으로써 귀신을 움직이기 위하여서는 악기가 필요하였는데, 그것이 방울과 북이었다. 악기가 사람과 귀신을 흥분시키고 움직이게 하며, 나아가서는 자연현상까지 변화하게 하는 성구(聖具)라는 믿음은 우리 민족에게도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적을 물리치고 병을 낫게 하고 비를 오게도 하고 개게도 하며, 파도를 잠재우기도 하였던 〈만파식적설화 萬波息笛說話〉는 그것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무교(巫敎)를 절대시하고 그 밑에서 집단을 영위하였던 원시인들로서는 굿이 최대의 행사였다. 그러기에 동(銅)을 다룰 수 있는 문화가 열리게 되자 무엇보다도 먼저 신과 관련된 방울·칼·거울 등의 성구를 만들게 되었던 것이다. 대전 괴정동에서 방울·칼·거울 등이 함께 출토된 것도 흥미롭지만 오늘날까지도 무당의 춤에 방울·칼·거울이 가장 귀중한 무구로 사용되고 있음은 여러 가지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범종] 범종은 방울보다 늦게 등장하였다. 최초의 범종은 상원사동종으로 보고되었는데, 이것은 725년(성덕왕 24)에 만들어진 것이다. 그 46년 뒤인 771년(혜공왕 7)에는 사상 최대의 걸작인 성덕대왕신종이 탄생하였다. 방울이 무교의 상징물이라면 범종은 불교의 상징물이다. 그리고 방울이 씨족이나 부족집단의 산물이라면 범종은 강력한 왕권전제국가의 산물이다. 그러기에 그 크기에 있어서도 종은 방울과는 비교도 안되게 우람할 뿐만 아니라, 그것의 상징적 의미도 훨씬 심원하고 철학적이다.
설명 : 상동
출처 : 관동대학교박물관사이트 2014년 4눵 10일 현재
http://museum.kd.ac.kr/docs/page/search.php?sfl=MCHGNAME&stx=%EC%A2%85&x=22&y=11
'역사의 울림 속으로 > 근, 현대의 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밭교육박물관소장 학교종 (0) | 2014.04.25 |
---|---|
태백석탄박물관소장 취업회 종 (0) | 2014.04.25 |
경기대학교 박물관 소장 종 (0) | 2014.04.10 |
가톨릭대박물관 소장 소신학교종 (0) | 2014.03.21 |
가톨릭대박물관 소장 미사종 (0) | 201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