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조선의 종

전남 해남군 대흥사 소장 강희48년명 범종(진불암 범종, 청신암 범종)

korman 2016. 12. 28. 22:09

[대흥사 성보박물관 내 강희사십팔년 진불암명 동종]

항목 ID GC07300902
한자 大興寺銅鐘
영어공식명칭 Daeheungsa Bronze Bell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인선
[상세정보]
대흥사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지도보기

 

대흥사 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인 강희사십팔년 진불암명 동종(康熙四十八年眞佛菴銘銅鐘)은 청신암에서 옮겨졌다고 한다. 단용의 용뉴와 음통을 가지고 있고, 천판과 접하는 곳에 단판연판(單瓣蓮瓣)의 입상대를 돌리고, 상대 대신에 연주무늬를 돌렸다. 연주무늬 아래 원형의 범자무늬가 4개 배치되고 아래 다른 종에 비해 작게 유곽을 배치하고, 유곽 안에는 9개의 유두가 솟아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입상의 보살상이 배치되어 있다. 하대는 상하 2단으로 구분하고 당초무늬를 새겼다. 유곽과 하대 사이에 ‘강희사십팔년기축사월일진불암대종 주공윤종백양주(康熙四十八年己丑四月日眞佛菴大鐘 鑄工尹宗佰兩主)’이라고 새겨져 있어 1709년 진불암의 대종으로 윤종백이 주조한 종임을 알 수 있다.

출처 및 발췌 : 디지털해남문화대전 2022년 5월 10일 현재

http://haenam.grandculture.net/haenam/toc/GC07300902

 

=========================================================================================

 

해남 대흥사 소장 강희48년명 범종(진불암 범종, 청신암 범종)

(해남군 출토)

 

 

출처 : 이뮤지엄  2016년 12월 28일 현재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401500100002500000

 

=========================================================

 

 

대흥사(大興寺) 청신암(淸神庵) 강희사십팔년명(康熙四十八年銘) 범종(梵鍾)(2-87)

 

소재지(所在地) : 전라남도(全羅南道) 해남군(海南郡) 삼산면(三山面) 구림리(九林里) 산(山)9

연 대(年 代) : 1709年(숙종(肅宗) 35年, 강희(康熙) 48年)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측치(實測値) : 총고(總高); 73cm, 용통고(甬筒高); 15cm, 상대폭(上帶幅); 7cm, 유곽장(乳廓長);

9.5×9.5cm, 구경(口徑); 49.5cm, 종신고(鍾身高); 57cm, 용통경(甬筒徑); cm, 하

대폭(下帶幅); 4cm 종구후(鍾口厚); 4.5cm, 용뉴고(龍鈕高); 16cm, 천판경(天板徑);

32.5cm, 유곽폭(乳廓幅); 2cm, 당좌경(撞座徑); cm

 

범종(梵鍾)의 정상(頂上)은 얕은 반구형(半球形)이며 용통을 갖춘 단룡(單龍)의 용뉴(龍鈕)를 갖추었는데 그 주조수법(鑄造手法)이 치졸하고 형식(形式)만 갖추고 있다. 정상(頂上)인 천판(天板)과 접(接)하는 계선상(界線上)에는 단판연판(單瓣蓮瓣) 입상대(立狀帶)를 돌렸으며, 그 밑으로 고사리문양과 같은 것을 역(逆)으로 배치장식하였고 이 문양과 접하여 유두와같은 원형돌기 문양대(紋樣帶)를 전체 돌리고 있다.

 

유곽은 거의 종신복 가까이 4곳에 독립되게 배치하고 있고 유곽 문양은 사격문을 엇비껴 처리하였으며, 유곽사이에는 원형 두광과 보관을 갖춘 보살입상 4구(軀)를 장식하고 있다. 특히 유곽 바로 위로 직경 6.5cm 정도의 원형 내에 범자를 각자(刻字)한 문양을 4곳에 배치하고 있다.

 

하대(下帶)는 또 특이하게 상하(上下) 2단으로 구분(區分)하고 선조(線彫)의 당초문을 대칭적으로 양각하고 있다. 유곽과 하대(下帶) 사이의 간지(間地)에 명문(銘文)이 양주(陽鑄)되어 있는데, 원래 진불암(眞佛庵) 동종으로 대흥사(大興寺) 천불전(千佛殿) 강희(康熙) 48년명(年銘) 범종과 같은 시기(時期)에 주조되었음도 알 수 있게 한다.

 

이라고 되어 있다. 강희(康熙) 48年 기축(己丑)은 숙종(肅宗) 35年(1709)에 해당되며 당시의 주조기술(鑄造技術)에 비해 수법이 뒤떨어지며 당시의 유행되었던 범종의 형태와 양식을 가름할 수 있는 자료라고 본다.

 

출처 : 국립문화재 연구소 1996년도 간 한국의 범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