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동종

korman 2007. 4. 25. 20:37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동종



유물명칭: 동종(銅鐘)

국적/시대: 한국(韓國) / 고려(高麗)

재질: 금속(金屬) / 동합금제(銅合金製)

크기: 전체높이(전체높이) : 16.8 cm / 입지름(입지름) : 10.7 cm / 몸통지름(몸통지름) : 10.6 cm

용도기능: 종교신앙(宗敎信仰) / 불교(佛敎) / 의식(儀式) / 범종(梵鍾)

문양장식: 인물문(人物文) / 비천문(飛天文), 인물문(人物文) / 귀문(鬼文)

소장기관: 학교(學敎) / 이화여대(이화여대)

유물번호: 이화여대(이화여대) 2518


한국종의 형식을 계승한 소종(小鐘)으로 견대(肩帶), 하대(下帶), 보살상(菩薩像), 당좌(撞座), 용통(龍筒)등을 갖추었는데, 연판(蓮瓣)과 비천(飛天)의 양식은 전형적인 고려종이다.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범종(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 所藏 梵鍾)(2-52,3-39)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범종(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 所藏 梵鍾)(2-52,3-39)

소 재 지(所 在 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서대문구(西大門區) 대현동(大峴洞)

연 대(年 代) : 13세기말∼14세기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17cm 유곽장(乳廓長); 3.5×4.5cm 종신고(鍾身高); 13.5cm 

당좌경(撞座徑); 4.3cm 용통고(甬筒高); 3.5cm 하대폭(下帶幅); 1.4cm 

종구경(鍾口徑); 11cm 상대폭(上帶幅); 1.2cm 종구후(鍾口厚); 0.8cm 

유곽폭(乳廓幅); 0.4cm

 

1966年 봄에 출토(出土) 입수(入手)되어 이화여자대학교(梨花女子大學校) 박물관(博物館)

에 소장(所藏)된 소종(小鍾)으로서 『고고미술(考古美術)』7卷8號105)에 소개(紹介)된 바 있

다.


용뉴(龍鈕)와 용통(甬筒)을 구비(具備)하고 단용(單龍)으로써 좌족(左足)에 여의주(如意

珠) 1개(個)를 장악(掌握)하고 있다. 종정(鍾頂)의 천판주연(天板周緣)과 상대(上帶)가 접(接)

하는 부분(部分)에 입상화문(立狀花紋)을 돌리고 있으나 현재(現在)는 입상문(立狀紋) 몇 개

만이 남아 있고, 대부분(大部分) 결실(缺失)되어 있다. 상하대(上下帶)와 유곽(乳廓)은 당초

문(唐草紋)으로 주문대(主紋帶)를 이루고 있으나 상대(上帶)만은 하단(下段)에 연주문대(連

珠紋帶)를 조식(彫飾)한 것이 다르다. 상대(上帶)와 접(接)하여 4개소(個所)에 설치한 유곽

(乳廓) 내(內)에는 연화좌유(蓮華座乳) 9유(乳)를 조식(彫飾)하였다. 또한 종신복(鍾身腹)에

는 2개(個)의 당좌(撞座)와 2구(軀)의 보살상(菩薩像)을 교대(交代)로 배치(配置)하고 있다. 

당좌(撞座)는 외곽대(外廓帶)에 원형(圓形) 연주문대(連珠紋帶)를 돌리고 중앙(中央)에 15과

(顆)의 연자(蓮子)를 갖춘 복엽연판(複葉蓮瓣)의 당좌(撞座)이며, 보살상(菩薩像)은 복연좌

(覆蓮座)에 부좌(趺坐)하고 두광(頭光)과 신광(身光) 보관(寶冠) 등을 갖춘 합장(合掌) 보살

상(菩薩像)으로 종신(鍾身)에 비(比)하여 과대(過大)하게 표현(表現)되어 있다. 이상의 제상

태(諸狀態)와 양식(樣式) 수법(手法)으로 보아 그 제작 연대(年代)도 13세기말(末)에서 14세

기에 걸친 작품(作品)으로 추정된다


출처 :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간 한국의 범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