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경주박물관 소장 오성사 기유명 범종(五聖寺 己酉銘 梵鍾)

korman 2015. 8. 25. 17:36

오성사 기유명 범종( )

(기유명오성사소종 己酉銘五聖寺小鐘)

 

 

 

시대 : 고려

연대 : 1309년(충선왕1년)

유형/재질 : 금구명·종명 / 청동

문화재지정 : 비지정

크기 : 높이 17cm, 입지름 10cm

출토지 :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당전리

소재지 : 국립경주박물관

 

개관 :

17cm, 10cm , . , (), () , , . () () () .
, ()


 

참고문헌 :

(), 2001, ,
(), 1984, ,
(), 1976, , ; 1994, ; 1999, 4,
(), 1966, (8)7-11
(), 1963, 9-8


출처 : 한국 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2015년 6월 25일 현재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519


---------------------------------------------------------------------------


오성사 기유명 범종(五聖寺 己酉銘 梵鍾)(2-26, 3-21)





소 재 지(所 在 地) :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慶州市) 국립경주박물관(國立慶州博物館)
연 대(年 代) : 1309年(충선왕(忠宣王) 원년(元年), 기유(己酉))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16.3cm 종신고(鍾身高); 13.4cm 용뉴고(龍鈕高); 3.2cm
용통경(甬筒徑); 0.6cm 상대폭(上帶幅); 0.9cm 당좌경(撞座徑); 2.9cm
하대폭(下帶幅); 1.3cm 종구경(鍾口徑); 10cm 종구후(鍾口厚); 1.1cm


1960年 9月 『고고미술(考古美術)』 1권(卷)2호(號)65)에 이미 간략하게 발표(發表)된 종
(鍾)으로 그 내용(內容)을 소개(紹介)하면 용뉴(龍鈕)와 용통(甬筒)이 종상(鍾上)에 있고 입
상연화문(立狀蓮華紋)이 종견상(鍾肩上)에 주리(周廻)되었다. 종체(鍾體) 상대하(上下帶)의
방좌(方座)에는 9유(乳)를 점각(點刻)하였을 뿐 유곽(乳廓)은 없으며, 종복간지(鍾腹間地)에
는 원형(圓形) 연화문(蓮華紋) 당좌(撞座)를 4처(處)에 배치(配置)하였을 뿐이다. 상하대(上
下帶)는 모두 당초(唐草)와 주문(珠紋)의 쌍대(雙帶)로써 조식(彫飾)하였다. 종체(鍾體)는 비
교적(比較的) 길고 각부(各部)의 배치(配置)도 간소정제(簡素整齊)하다. 용(龍)의 일족(一足)
을 결(缺)하고 종체(鍾體)와 매상(枚上)에 대소공(大小孔)이 있으나 수색(銹色)으로 보아 출
토품(出土品)으로 추정된다. 명문(銘文)은 종체반주(鍾體半周)에 해서(楷書) 대자(大字)로써
음각(陰刻) 종서(縱書)되었다.

이상의 내용(內容)으로 설명(說明)하고 있으나 이를 좀더 관찰 보완 설명(說明)을 가(加)한
다면, 용통상(甬筒上)에는 4개(個)의 소환(小環)이 있고 종신(鍾身) 일부분(一部分)이 파손
(破損)되어 구멍이 나있는 상태이다. 또한 용통(甬筒)과 용뉴(龍鈕) 등이 몹시 조잡하며 상
대(上帶)에 연(連)하여 있는 유곽(乳廓)은 일반(一般) 범종(梵鍾)들과는 달리 유곽대(乳廓帶)
가 화좌(花座)같은 돌기유(突起乳)로 조식(彫飾)하지 않고 특이(特異)하게도 방곽(方廓)속에
점각(點刻)으로 조식(彫飾)한 것이 다르다.
명문(銘文)에서 보이는 ‘승평(昇平)은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의하면 전남도
(全南道) 승주군(昇州郡)을 지칭하는 것 같다.66) 또한 명문(銘文)에서 보이는 기유(己酉)는
고종(高宗) 36年 기유(己酉)(1249), 충선왕(忠宣王) 원년(元年) 기유(己酉)(1309), 공민왕(恭
愍王) 18年 기유(己酉)(1368) 등이 있는 바 모든 양식(樣式)과 수법(手法) 등으로 보아서 본
(本) 종(鍾)의 주조년대(鑄造年代)는 고종(高宗) 36年 기유(己酉)(1249)에는 해당치 않고 역
시 그보다 시대(時代)가 떨어지는 충선왕(忠宣王) 원년(元年) 기유(己酉)(1309) 이후로 추정
하는 것이 가장 타당(妥當)하다고 생각된다.


출처 :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간 한국의 범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