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사 기유명 범종(五聖寺 己酉銘 梵鍾)
(기유명오성사소종 己酉銘五聖寺小鐘)
시대 : 고려
연대 : 1309년(충선왕1년)
유형/재질 : 금구명·종명 / 청동
문화재지정 : 비지정
크기 : 높이 17cm, 입지름 10cm
출토지 :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당전리
소재지 : 국립경주박물관
개관 :
높이 17cm, 구경 10cm로 고려시대 종 가운데 아주 작은 소형에 속하나, 명문이 있는 드문 예에 속한다. 고려시대 범종의 구성요소 가운데 용의 다리 하나가 파손되었고, 보살상(菩薩像), 유곽대(乳廓帶)도 없고, 유곽도 간략화되어 있지만, 이외의 각종 장식이나 문양은 표현되어 있다. 특기할 것은 음통(音筒)이 천판(天板)의 중앙부에 있다는 것과 음통 하부에는 원형의 연화문좌(蓮花紋座)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명문은 종 표면에 음각되어 있는데, ‘기유(己酉)’라는 간지를 기재하고 있어 종의 제작연대 추정을 가능케 하고 있다. |
참고문헌 :
(단행본)李宗峯, 2001, 『韓國中世度量衡制硏究』, 일조각 (단행본)許興植, 1984, 『韓國金石全文』中世下, 亞細亞文化社 (단행본)黃壽永, 1976, 『韓國金石遺文』, 一志社 ; 1994, 復刊 ; 1999, 『金石遺文 黃壽永全集4』, 혜안 (논문)黃壽永, 1966, 「高麗梵鐘의 新例(其8)」『考古美術』7-11 (논문)崔淳雨, 1963,「康津出土 己酉銘銅鐘」『考古美術』9-8 |
출처 : 한국 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2015년 6월 25일 현재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519
---------------------------------------------------------------------------
오성사 기유명 범종(五聖寺 己酉銘 梵鍾)(2-26, 3-21)
소 재 지(所 在 地) :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慶州市) 국립경주박물관(國立慶州博物館)
연 대(年 代) : 1309年(충선왕(忠宣王) 원년(元年), 기유(己酉))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16.3cm 종신고(鍾身高); 13.4cm 용뉴고(龍鈕高); 3.2cm
용통경(甬筒徑); 0.6cm 상대폭(上帶幅); 0.9cm 당좌경(撞座徑); 2.9cm
하대폭(下帶幅); 1.3cm 종구경(鍾口徑); 10cm 종구후(鍾口厚); 1.1cm
1960年 9月 『고고미술(考古美術)』 1권(卷)2호(號)65)에 이미 간략하게 발표(發表)된 종
(鍾)으로 그 내용(內容)을 소개(紹介)하면 용뉴(龍鈕)와 용통(甬筒)이 종상(鍾上)에 있고 입
상연화문(立狀蓮華紋)이 종견상(鍾肩上)에 주리(周廻)되었다. 종체(鍾體) 상대하(上下帶)의
방좌(方座)에는 9유(乳)를 점각(點刻)하였을 뿐 유곽(乳廓)은 없으며, 종복간지(鍾腹間地)에
는 원형(圓形) 연화문(蓮華紋) 당좌(撞座)를 4처(處)에 배치(配置)하였을 뿐이다. 상하대(上
下帶)는 모두 당초(唐草)와 주문(珠紋)의 쌍대(雙帶)로써 조식(彫飾)하였다. 종체(鍾體)는 비
교적(比較的) 길고 각부(各部)의 배치(配置)도 간소정제(簡素整齊)하다. 용(龍)의 일족(一足)
을 결(缺)하고 종체(鍾體)와 매상(枚上)에 대소공(大小孔)이 있으나 수색(銹色)으로 보아 출
토품(出土品)으로 추정된다. 명문(銘文)은 종체반주(鍾體半周)에 해서(楷書) 대자(大字)로써
음각(陰刻) 종서(縱書)되었다.
이상의 내용(內容)으로 설명(說明)하고 있으나 이를 좀더 관찰 보완 설명(說明)을 가(加)한
다면, 용통상(甬筒上)에는 4개(個)의 소환(小環)이 있고 종신(鍾身) 일부분(一部分)이 파손
(破損)되어 구멍이 나있는 상태이다. 또한 용통(甬筒)과 용뉴(龍鈕) 등이 몹시 조잡하며 상
대(上帶)에 연(連)하여 있는 유곽(乳廓)은 일반(一般) 범종(梵鍾)들과는 달리 유곽대(乳廓帶)
가 화좌(花座)같은 돌기유(突起乳)로 조식(彫飾)하지 않고 특이(特異)하게도 방곽(方廓)속에
점각(點刻)으로 조식(彫飾)한 것이 다르다.
명문(銘文)에서 보이는 ‘승평(昇平)은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의하면 전남도
(全南道) 승주군(昇州郡)을 지칭하는 것 같다.66) 또한 명문(銘文)에서 보이는 기유(己酉)는
고종(高宗) 36年 기유(己酉)(1249), 충선왕(忠宣王) 원년(元年) 기유(己酉)(1309), 공민왕(恭
愍王) 18年 기유(己酉)(1368) 등이 있는 바 모든 양식(樣式)과 수법(手法) 등으로 보아서 본
(本) 종(鍾)의 주조년대(鑄造年代)는 고종(高宗) 36年 기유(己酉)(1249)에는 해당치 않고 역
시 그보다 시대(時代)가 떨어지는 충선왕(忠宣王) 원년(元年) 기유(己酉)(1309) 이후로 추정
하는 것이 가장 타당(妥當)하다고 생각된다.
출처 :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간 한국의 범종
'역사의 울림 속으로 > 고려의 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박물관 소장 청동종 (동종)(동원1800) (0) | 2015.08.28 |
---|---|
중앙박물관소장 경기도 수원 출토 범종(京畿道 水源 出土 梵鍾) (0) | 2015.08.26 |
전남 여천 출토 태안2년명 범종(全南 麗川 出土 泰安2年銘 梵鍾) (0) | 2015.08.17 |
경주박물관 소장 경북 영일 출토 범종 (0) | 2015.08.17 |
미국의 우리종 문화재 - 미국 보스턴미술관소장 고려범종 (0) | 201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