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우리 종 공부하기

통도사 범종

korman 2006. 10. 7. 20:43
양산 통도사 범종루
[김영택의 펜화로 보는 한국] 양산 통도사 범종루(23)
[주간조선 2005-03-16 09:23]

 

 

옷깃 여미게 하는 영혼의 소리

신라 범종은 밑이 넓은 중국 종과 다르게 밑 부분이 오므라든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종 윗부분에는 종을 걸기 위한 용두(龍頭) 옆에 음관(音管)이 있습니다.
신라 종에만 있는 신비한 장치입니다.
종 밑의 땅바닥을 둥글게 판 명동(鳴洞)도세계에서 유일한 장치입니다.


 

한국 불교의 종가(宗家)라는 양산 통도사의 범종(梵鍾)소리를 들어보셨습니까? 통도사에서는 새벽 3시와 저녁 6시에 범종을 칩니다. 제일 먼저 작은 범종을 치며 지옥을 파하고 중생을 구하는 염불을 하고, 그 다음 큰 법고(法敲)를 여러 스님이 번갈아 두드립니다. 장삼을 펄럭이며 법고의 가운데와 테두리를 번갈아가며 두드리는 모습은 참으로 멋있습니다. 통도사 승가대학 학인스님들이 공부를 겸하여 치는 것인데 가장 솜씨가 좋은 고두장의 화려한 연주에는 참배객의 박수가 쏟아집니다.

 

10여분에 걸친 법고 연주가 끝나면 목어(木魚)의 맑은 소리가 이어집니다. 항상 눈을 뜨고 있는 물고기처럼 게으름 없이 수행을 하라는 뜻을 담은 목어를 두드리는 것은 물속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것이지요. 목탁이 휴대형 목어라는 것을 아십니까?

 

이어서 구름 모양으로 만든 청동 운판(雲版)을 댕 댕 댕 울려서 하늘을 나는 생명과 영혼을 구제합니다. 운판 소리에 이어 마지막으로 무게 1만5000근의 범종이 깊고 큰 소리로 영축산 계곡을 뒤흔듭니다. 범종 소리를 들으면 목사나 수녀까지도 옷깃을 여미게 되는 까닭은 어디에 있을까요?

 

 

그 까닭은 범종의 형태에 있습니다. 통도사 범종은 1988년 전형적인 신라 종의 형태로 만들어졌습니다. 신라 범종은 밑이 넓은 중국 종과 다르게 밑 부분이 오므라든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종 윗부분에는 종을 걸기 위한 용두(龍頭) 옆에 음관(音管)이 있습니다. 신라 종에만 있는 신비한 장치입니다. 많은 학자들이 음관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해했습니다. 첨단기기로 조사한 결과 8~10%의 소리가 음관을 통해 위로 나가며 잡음이 제거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놀라운 일입니다.

 

종 밑의 땅바닥을 둥글게 판 명동(鳴洞)도 세계에서 유일한 장치입니다. 이런 독창적인 장치로 신라 종은 세계 어떤 종보다 맑고 아름다운 소리를 냅니다. 또한 낮은 주파수의 소리로 땅속까지 울리며 소리가 멀리 퍼져갑니다. 특히 맥놀이 현상이 길어 긴 여음을 남깁니다.

 

일본 NHK에서 전세계의 유명한 종을 조사한 후 경주박물관에 걸린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일명 에밀레종)의 소리가 가장 아름답다고 평가를 내렸습니다. 우리 선조는 어떤 음향과학기술이 있었기에 세계 최고의 범종을 만들었을까요.

 

성덕대왕신종은 무게 12만근(약 20톤)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 큰 크기인데, 49만근(약 80톤)이나 되었다는 황룡사 대종이 남아있다면 얼마나 자랑스러웠을까요. 사용할 수 있는 종으로는 세계에서 제일 크다는 중국 베이징 대종사(大鍾寺) 영락대종(永樂大鍾)의 무게가 46.5톤이라니 거의 두 배에 가까운 대종이었을 겁니다.

성덕대왕신종은 밀랍(蜜蠟)으로 종의 원형을 만들고 그 안과 밖에 니암(尼岩)가루와 모래로 외형틀(거푸집)을 짠 뒤 열을 가해 밀랍을 녹여낸 공간에 청동 쇳물을 부어 만들었답니다. 그래서 표면이 곱고 아름다운 조각을 그대로 살려낼 수 있었습니다.

종 몸통의 위와 아래에는 당초문 띠를 아름답게 둘렀고, 상단에 사각형의 유곽(乳廓)과 유두(乳頭)를 양각하여 종의 품위를 높였습니다. 연꽃 모양의 당좌(撞座:종을 치는 곳)는 가장 타종에 적합한 위치랍니다.

종의 몸통 좌우의 비천상(飛天像)은 우리 종에만 있는 조각인데, 하늘로 날아오르는 천의의 유려한 선과 공양물을 들고 있는 천인의 자태는 세계 최고의 경지에 오른 장인이 아니면 어림도 없는 솜씨입니다. 종의 고리 역할을 하는 용두도 대단한 솜씨의 조각품입니다. 두 마리의 용으로 고리를 만드는 중국 종이나 일본 종과는 전혀 다른 모양으로, 부여 능산리에서 출토된 용봉향로(龍鳳香爐)의 용 모양과 비견되는 뛰어난 작품입니다.

성덕대왕신종은 현대의 주조기술로도 똑같이 만들 수가 없답니다. 올 2월 밀랍주조방식으로 신라 종을 복원했노라고 야단이어서 기사를 자세히 읽어보니 겨우 1톤짜리 조그만 종을 만들어 놓고는 그 요란이었습니다.

 

 

 ▲ 용두와 음관(탑산사 동종)

 

 ▲ 하대문양과 명동(성덕대왕신종)

 

 ▲ 범종루 옆 계곡

 

 

 

 

숙종 12년 수오(守悟)대사가 세워

통도사 범종루는 조선조 숙종 12년(1686) 수오(守悟)대사가 세웠습니다. 중수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929년 발간된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사진을 보면 난간만 계자각 난간으로 바뀌었고 기둥까지도 현재와 똑같습니다. 그 후 큰 범종을 새로 달고 목어와 법고를 하나씩 늘렸습니다.

펜화가는 통도사 범종소리만 들으면 가슴이 울컥해지고 눈물이 납니다. 통도사와 인연이 깊어서 그렇다고 하는데, 수행이 깊은 한 스님의 말씀이 펜화가가 전생에 통도사에서 불화를 그리던 불모(佛母:불화를 그리는 스님)였답니다. 보물 제1041호인 영산전 팔상탱(八相幀)을 그린 유성(有誠) 스님이랍니다. 어쩐지 처음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갔을 때 팔상탱에 반해서 발이 떨어지지가 않더군요. 통도사 팔상탱은 섬세함과 색채 등 여러 면에서 불화뿐 아니라 한국화를 통틀어서도 비견되는 작품을 보기가 어려운 명작입니다.

통도사의 법당을 펜화로 기록하는 업무를 맡아 1년6개월을 통도사 법사실에서 지냈습니다. 법사실은 다른 절의 큰스님이 통도사를 방문했을 때 잠시 머무는 방으로 통도사 스님도 쓰기 어렵다는데 전생에 어떤 공덕이 있어서 그런 혜택이 주어졌는지 모르겠습니다. 통도사 생활이 고향집에 온 것처럼 편하고 좋으니 그 스님 말씀이 맞나 봅니다.

그림ㆍ글ㆍ사진=김영택 펜화가(honginart@hanmail.net)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소 재 : 양산 통도사


'역사의 울림 속으로 > 우리 종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종  (0) 2006.10.15
한국의 종  (0) 2006.10.11
범종  (0) 2006.10.05
범종의 형태와 명칭  (0) 2006.10.05
범종의 기원과 역사  (0) 2006.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