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명칭 : 청동범종
<정의>
법구사물(法具四物) 중의 하나로 중생을 제도하는 불구(佛具).
<유래 및 발달과정>
범종(梵鐘)은 종루에 걸어놓고 당목(撞木)으로 쳐서 시간을 알리거나 대중을 모을 때 사용된다. 범(梵)은 우주 만물이며 진리란 뜻으로 범종은 그 소리를 내는 것이란 뜻이다. 종소리를 듣는 순간 모든 번뇌가 없어지고 악도(惡道)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신앙적인 의미가 있다. 기원은 인도의 ‘건추(?椎)’라는 악기이지만 유물이 남아있지 않아 구체적인 모습을 알 수는 없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만들어진 동탁이나 풍탁이 변형된 것이라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범종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현존 유물은 8세기 이후의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범종의 외형은 용뉴(龍?), 음관(音管), 유곽(乳廓), 유(乳), 당좌(撞座) 등으로 갖추어져 있는데 음관(音管)은 한국 범종의 특징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단뉴형식(單紐形式)의 종으로 음통(音筒)이 부착되어 있다. 음통의 테두리에는 선문(線文)이 돌려져 있다. 종견상연(鐘肩上緣)에는 입상연화문(立狀蓮花文)을 중첩시켜 장식하였다. 상대(上帶)와 하대(下帶)에는 같은 모양의 당초문(唐草文)을 시문하였다.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연곽(蓮廓)의 가장자리는 뇌문(雷文)으로 장식하였다. 유곽 안에는 9개의 연뢰(蓮?)를 가지고 있다. 종신(鐘身)에는 각각 2개씩 연화문당좌(蓮花文撞座)와 보살상(菩薩像)을 배치하였다. 당좌는 세엽(細葉)의 연화문으로 이루어졌고, 보살상의 천의 자락이 부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출처 : 이뮤지엄 2015년 8월 30일 현재
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132239
'역사의 울림 속으로 > 근, 현대의 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홍제사 보광암명 범종 (弘齊寺寶光庵銘梵鐘.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4호) (0) | 2017.06.22 |
---|---|
경기도 고양시 원각사 소장 방짜소종 (0) | 2016.11.15 |
춘천박물관 소장 충원사 범종[沖圓寺 梵鍾] (0) | 2015.08.30 |
일제 강점기의 한국범종 (0) | 2015.08.02 |
목아불교박물관소장 동종 (0) | 201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