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고려대 박물관 소장 두정사 동종 (두정사頭正寺 기해명(己亥銘 범종)

korman 2009. 11. 11. 17:12

고려대 박물관 소장 두정사 동종

(두정사頭正寺 기해명(己亥銘 범종)

 

 

 

제목 : 두정사동종 원본보기

 

설명 : 고려시대의 범종. 높이 39㎝.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전체적으로 흑적색을 띠며 몸체에는

          균열이 나 있고, 용뉴와 음통을 갖추고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아래쪽에 당좌와 합장한

          비천좌상이 교대로 시문되어 있다.
출처 : Copyright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려시대의 범종. 높이 39㎝, 입지름 25∼32.5㎝.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출토지와 출토경위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6·25 때 불에 그을러 전체적으로 흑적색을 띠고 있는데, 몸체에는 균열이 나 있고 하연(下緣)은 타원형으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연주문대(連珠紋帶) 안에 연화문이 새겨져 있는 당좌는 8과의 연자(蓮子)가 들어 있는 자방(子房)과 둘레의 13엽의 연판(蓮瓣)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곽 아래의 종신에는 이 종이 고려 말인 13세기경에 만들어진 작품임을 추정하게 하여주는 해서체 명문(銘文)이 음각되어 있는데, 이두가 혼용되어 있어 주목되고 있다.

≪참고문헌≫ 高麗靑銅梵鐘의 新例(黃壽永, 考古美術 2, 1960)

 

출처 : 네이트 백과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i=26663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2015년 6월 13일 현재)

 

 

질의에 대한 고대박물관의 답변 2015년 8월 23일 현재

http://museum.korea.ac.kr/freeboard/modify.html?no_bbs=14671&page=8&item=&keyword=

 

정확한 유물명칭은 두정사(頭正寺) 기해명(己亥銘) 범종입니다.

한가람 wrote...
: 안녕하세요
: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유물중에
: 두정사 동종이 있는데
: 정확한 명칭이
: 두정사 기축명 동종인지 기해명 인지
: 여쭐께요

----------------------------------------------------------


두정사 기해명 범종(頭正寺 己亥銘 梵鍾)(2-23, 3-18)


소 재 지(所 在 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성북구(城北區) 안암동(安岩洞)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박물
관(博物館)
연 대(年 代) : 1239年(고종(高宗) 26年, 을해(乙亥))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39cm 종신고(鍾身高); 29cm 용뉴고(龍鈕高); 6.5cm
용통경(甬筒徑); 3.3cm 상대폭(上帶幅); 2.2cm 유곽폭(乳廓幅); 1.2cm
유곽장(乳廓長); 7.6×9.4cm 당좌경(撞座徑); 5.7cm 하대폭(下帶幅); 3.2cm
종구경(鍾口徑); 32.5×24.7cm 종구후(鍾口厚); 1.8cm


한국전쟁 중(中) 화상(火傷)되어 종체(鍾體)와 다른 부분(部分)이 손상(損傷)을 입은 소종
(小鍾)이다. 현재(現在)의 종구(鍾口) 부분(部分)은 타원형(橢圓形)으로 왜곡(歪曲)되어 있는
상태로서 용뉴(龍鈕)와 용통(甬筒)을 갖춘 통식(通式)의 고려종(高麗鍾)이다. 상하대(上下帶)
의 주문양(主紋樣)은 당초문(唐草紋)으로 조식(彫飾)하고 유곽대문(乳廓帶紋)은 상하대(上下
帶)의 문양(紋樣)과는 달리 환형문(還形紋)으로 처리(處理)한 것이 특이(特異)하다
유곽(乳廓) 내(內)의 9유(乳)는 연화좌(蓮華座)에 자방(子房)이 약간 돌기된 형상(形狀)으
로 유두(乳頭)를 조식(彫飾)하였다. 종복(鍾腹) 2개소(個所)에 배치된 당좌(撞座)는 연주원곽
(連珠圓廓) 내(內)에 8과(顆) 13판(瓣)의 연화문(蓮華紋) 당좌(撞座)이고, 또한 비천상(飛天
像) 2구(軀) 역시 두광(頭光)을 갖추고 화문(花紋) 곽좌(廓座)에 합장(合掌)한 좌상(坐像)으
로 그 수법(手法)이 매우 치졸(稚拙)하다. 상대(上帶)의 천판(天板)이 접한 곳에 배치한 입상
대(立狀帶)로 조잡하게 처리하였으나 현재(現在)는 여러 곳이 결손되어 원상태(原狀態)가 아
니다. 특(特)히 종체유곽(鍾體乳廓) 아래로 해서체(楷書體)의 음각(陰刻)한 기명(記銘)이 있
는바 그 내용(內容)은


로 되어 있는 바 이곳에서 보이는 기해(己亥)는 고려(高麗) 고종(高宗) 26年 기해(己
亥)(1239)에도 해당되나 모든 수법(手法)과 양식(樣式)으로 보아 이보다 시대(時代)가 더 하
강(下降)되는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출처 : 1996 문화재청 간 한국의 범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