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기축명청동범종("己丑銘"靑銅梵鐘)

korman 2010. 5. 7. 16:59

 기축명청동범종("己丑銘"靑銅梵鐘)

   

원천유물명 : 기축명청동범종 
소장기관 : 국립대구박물관 
원천유물 재질 : 금속/동합금제
 
범종은 사찰에서 시간을 알리거나 의식을 행할 때 쓰이는 범음구. 우리나라의 범종은 중국이나 일본의 종들과는 달리 독특한 양식을 갖추고 있어, 한국 종이라고 불릴 만큼 한눈에 구별된다. 고려시대의 범종은 몸체 아래 부분이 점차 밖으로 벌어지며 종의 어깨에 삼각형의 꽃잎 장식이 새롭게 첨가된다. 또한 몸체의 무늬도 부처와 보살상 등이 많이 표현되어 복잡해지며 40cm 이하의 소형 종이 주로 제작된다. 이 종의 맨 위에는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을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종 몸체의 아래 위에 있는 넓은 띠와 사각형의 유곽은 테두리를 하고 그 안쪽에 덩굴을 새겨 두었다. 네 곳의 유곽 안에는 연꽃 모양의 유두를 9개씩 두었다. 유곽의 아래쪽에는 2구의 비천상이 있고, 그 사이사이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撞座)를 연꽃 모양으로 장식하였다. 당좌의 연꽃은 꽃잎을 여러 겹 겹쳐져 있는 형태이다. 불교에서는 연꽃을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겼는데 그것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속성 때문이다. 연꽃의 이런 속성을 불교의 교리와 연결시켜 초탈, 보리, 정화 등 관념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종의 아래 위에 있는 넓은 띠를 상대와 하대라고 하는데 모두 당초무늬가 펼쳐져 있다. 당초는 당나라풍의 덩굴무늬를 가리키는 말로 겨우살이덩굴을 표현한 것이다. 겨우살이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연면의 상징성을 갖게 되었다.

개별문양

연꽃문(蓮花文)

  • 문양분류 

    식물문 > 연꽃문

  • 원천유물

    기축명청동범종

  • 용도

    종교신앙/불교/의식/범종

    당좌의 연꽃은 꽃잎을 여러 겹 겹쳐져 있는 형태이다. 불교에서는 연꽃을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겼는데 그것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속성 때문이다. 연꽃의 이런 속성을 불교의 교리와 연결시켜 초탈, 보리, 정화 등 관념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덩굴문(唐草文)  

  • 문양분류

    식물문 > 덩굴문

  • 원천유물

    기축명청동범종

  • 용도

    종교신앙/불교/의식/범종

    당초는 당나라풍의 덩굴무늬를 가리키는 말로 겨우살이덩굴을 표현한 것이다. 겨우살이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연면의 상징성을 갖게 되었다.

 

출처 : 문화포털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6396&reffer=shape&xdimension=3D&sType=03 및 네이버 지식백과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ie=utf8&query=%EA%B8%B0%EC%B6%95%EB%AA%85%EC%B2%AD%EB%8F%99%EB%B2%94%EC%A2%85&x=27&y=18

140104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