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조선의 종

충남 공주시 갑사 건륭39년명 범종

korman 2015. 9. 10. 17:29

갑사 건륭삼십구년명 범종 (甲寺 乾隆三十九年銘 梵鍾)

 

문화재명 갑사 건륭삼십구년명 범종 (甲寺 乾隆三十九年銘 梵鍾)

지정사항 시도유형문화재

소재지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公州市) 계룡면(鷄龍面) 중장리(中壯里)

분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조선 범종(朝鮮 梵鍾)

년대 1774年(영조(英祖) 50年, 건륭(乾隆) 39

요약정보

범종(梵鍾)의 정상(頂上)에는 일체쌍두형(一體雙頭형)의 쌍룡뉴(雙龍?)를 갖추고 있고 천 판(天板)은 낮은 반구형(半球形)으로 처리하고 있다. 종신(鍾身) 전체(全體)를 3등분(等分)하듯 3구간(區間)으로 나누었는데 상대(上帶)로 보이 는 곳에 원좌내(圓座內)에 범자(梵字)를 1자식(字式) 양주(陽鑄)한 범자(梵字) 9자(字)를 배 치 장식하였고 그 바로 밑으로 1조(條)의 융기태선횡대(太線橫帶)를 돌려 구분(區分)하였다. 태선(太線) 횡대(橫帶)밑으로 파상거치문(波狀鋸齒紋)과 같은 문양대(紋樣帶)를 갖춘 독립 된 유곽(乳廓) 4개(個)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였는데 유곽 내에는 화좌(花座)에 중앙(中央) 이 약간 돌기된 유두(乳頭) 9개(個)를 갖추고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원형 두광을 갖 춘 보살입상을 4구(軀)를 배치하고 있는데 유곽과 보살입상 바로 밑으로 시주자(施主者)와 주종명기(鑄鐘銘記)가 장문으로 양주(陽鑄)되어 있다. 이 명문(銘文)밑으로 융기태선(太線) 3조(條)를 돌려 하대(下帶)를 장식한 듯 되어 있으나, 범종의 형태와 양식이 매우 도식화되 고 약식화된 조선 후기의 범종이며, 명문(銘文)에 보이는 건륭(乾隆) 39年 갑오(甲午)는 영 조(英祖) 50年 갑오(甲午)(1774)이며 이때 주성(鑄成)된 범종이나 양식상으로는 몹시 뒤떨 어진다.

 

실측정보

총고(總高); 64.5cm, 용통고(甬筒高); cm, 상대폭(上帶幅); 14cm, 유곽장(乳廓長); 18.5×15cm, 구경(口徑); 51cm, 종신고(鍾身高); 51.5cm, 용통경(甬筒徑); cm, 하대폭(下帶幅); 9.5cm 종구후(鍾口厚); 4.5cm, 용뉴고(龍?高); 13cm, 천판경(天板徑); 38cm, 유곽폭(乳廓幅); cm, 당좌경(撞座徑); cm

출처 :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연구지식 포털 2022년 11월 28일 현재
https://portal.nrich.go.kr/kor/buddhistView.do?idx=27&sk=&st=&menuIdx=805

ⓒ 국립문화재연구원

 

======================================================================

 

충남 공주시 갑사 건륭39년명 범종

 

 

 

갑사(甲寺) 건륭삼십구년명(乾隆三十九年銘) 범종(梵鍾)(2-113, 3-83)

 

소재지(所在地) :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公州市) 계룡면(鷄龍面) 중장리(中壯里)

연 대(年 代) : 1774年(영조(英祖) 50年, 건륭(乾隆) 39年)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측치(實測値) : 총고(總高); 64.5cm, 용통고(甬筒高); cm, 상대폭(上帶幅); 14cm, 

유곽장(乳廓長); 18.5×15cm, 구경(口徑); 51cm, 종신고(鍾身高); 51.5cm, 

용통경(甬筒徑); cm, 하대폭(下帶幅); 9.5cm 종구후(鍾口厚); 4.5cm, 

용뉴고(龍鈕高); 13cm, 천판경(天板徑); 38cm, 유곽폭(乳廓幅); cm, 

당좌경(撞座徑); cm

 

 범종(梵鍾)의 정상(頂上)에는 일체쌍두형(一體雙頭형)의 쌍룡뉴(雙龍鈕)를 갖추고 있고 천판(天板)은 낮은 반구형(半球形)으로 처리하고 있다.

 

 종신(鍾身) 전체(全體)를 3등분(等分)하듯 3구간(區間)으로 나누었는데 상대(上帶)로 보이는 곳에 원좌내(圓座內)에 범자(梵字)를 1자식(字式) 양주(陽鑄)한 범자(梵字) 9자(字)를 배치 장식하였고 그 바로 밑으로 1조(條)의 융기태선횡대(太線橫帶)를 돌려 구분(區分)하였다.

 

 태선(太線) 횡대(橫帶)밑으로 파상거치문(波狀鋸齒紋)과 같은 문양대(紋樣帶)를 갖춘 독립된 유곽(乳廓) 4개(個)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였는데 유곽 내에는 화좌(花座)에 중앙(中央)이 약간 돌기된 유두(乳頭) 9개(個)를 갖추고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원형 두광을 갖춘 보살입상을 4구(軀)를 배치하고 있는데 유곽과 보살입상 바로 밑으로 시주자(施主者)와 

주종명기(鑄鐘銘記)가 장문으로 양주(陽鑄)되어 있다. 이 명문(銘文)밑으로 융기태선(太線) 3조(條)를 돌려 하대(下帶)를 장식한 듯 되어 있으나, 범종의 형태와 양식이 매우 도식화되고 약식화된 조선 후기의 범종이며, 명문(銘文)에 보이는 건륭(乾隆) 39年 갑오(甲午)는 영조(英祖) 50年 갑오(甲午)(1774)이며 이때 주성(鑄成)된 범종이나 양식상으로는 몹시 뒤떨어진다.

 

출처 :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간 한국의 범종

 

보충자료 : 한국문화재연구소 2017년 12월 11일 현재 위와 같음.

http://portal.nrich.go.kr/kor/buddhistView.do?menuIdx=805&idx=27#link

 

 

=================================================================

 

 

 

시대 : 조선 영조 50년 (1774년, 건륭 39년)

종 높이 : 65.4cm, 종신높이 : 51cm

입지름 : 50.8cm

소재지 : 갑사

 

사진에 삽입된 표기로 보아 갑사 건륭39년명 범종은 확실한 것 같은데 2015년 9월 10일 현재 갑사 성보문화재 리스트에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문화재 관련 사이트에도 리스트상에는 존재하는 곳이 있지만 상세사항은 나타나지 않고 있음. 단지 하기 사이트에서만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출처 : http://www.nohht.com.ne.kr/kbel/kbeljs/kbel115.html 2015년 9월 10일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