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종 일반 23

한국의 전통문화 - 종

온몸의 떨림으로 내는 소리 - 종 해마다 새해가 되면 도심 한 가운데서 둥둥 울려퍼지는 보신각 종소리는 누구나 한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 웅장한 소리를 내는 종에도 유구한 역사와 깊은 의미가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아는지. 옛날 사람들에게 종소리는 그냥 소리가 아니었던 것이다. 종의 역사 쇳소리를 내는 작은 금속 악기들이 크게 변형되어 만들어진 것이 범종이라 보는 게 일반적인 학설이다. 범종의 기원에는 몇가지 설이 있지만 일반적인 견해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중국의 은나라(B.C 1500년경) 이후에 악기의 일종으로 사용되었다가 주나라 말기인 전국시대부터 사라져 버린 용종(甬鐘)이라고 불리우는 악기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 설이다. 또 다른 하나는 고대 중국의 종이나 탁(鐸)을 혼합한 형태가 발전하..

범종 제조

종 제작의 일반개요 금속을 녹여서(용해) 일정한 형태의 주형에 주입하여 뭔가를 만드는 과정을 주조(鑄造)라 하고 주조로 만들어진 제품을 주물(鑄物)이라고 하며 범종도 주물에 포함된다. 범종은 그 모양, 즉 종의 기하학적 구조와 종을 이루고 있는 재료의 질에 의해 소리의 좋고 나쁨이 결정된다. 뿐만 아니라 이 두 가지 인자는 종의 수명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먼저 말해 둔다. ▲ 내형 만들기 - 종의 내부공간과 비슷한 형태로 적당한 벽돌 등을 쌓고 그 표면에 조형재를 바른다. ⓒ2005 성종사 그러나 이 두 가지, 범종의 재질과 범종의 기하학적 구조는 너무 기술적인 이해를 요구하기 때문에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고 눈으로 볼 수 있는 제작 과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단 주물을 쉽게 이해하려면 길..

범종

1. 불전사물 범종루 사찰에는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版) 등, 불전사물을 두는데, 4가지를 모두 갖춘 루각이면 범종루, 범종 하나만 갖춘 곳은 법종각이라 한다. 범종은 중생을 위하여, 법고는 홍고라고도 하는데, 4발 짐승들을 위하여, 운판은 나른 것을 위하여 그리고 목어는 물속의 모든 생물들을 위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소리로 전한다는 의미가 있다. 2. 범종의 구조와 세부 명칭 범종의 구조 범종의 구조는 크게 ‘종정부’와 ‘종신부’로 나누어 지는데, 종정부는 종의 윗부분으로 종을 종루에 달아 매는 ‘용뉴’와 종의 소리에 영향을 미치는 ‘용통’, 그리고 종의 뚜껑부분인 ‘종정(천판)’이 있다. 종신부는 종의 몸체로, ‘상대’?‘유곽대’, ‘하대’라 불리는 ‘문양대’와 ‘종신’으..

범종

한국 범종의 특징 한국 범종의 형태는 중국 은․주(殷周)시대의 악기인 용종(甬鐘)을 모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우아하고 안정적인 형태, 엄숙하고 장중하게 울리는 소리가 점차 애타게 절규하듯 우리 귓가에 여운을 남기며 오랫동안 남아있는 한국 범종의 소리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우리만의 독특한 것이다. 우리 범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범종의 모양은 전체적으로 위로 좁아지는 원추형(圓錐形)인데, 쉽게 표현하면 김칫독을 엎어놓은 것과 같은 모양이다. ◉ 종신(鐘身) 밑부분에서 약 1/3 쯤되는 부분이 가장 넓으며, 그 밑은 보일 듯 말 듯 약간 오므라들어 매우 안정감이 있다. ◉ 유곽의 높이는 대략 종 높이의 1/4정도이다. ◉ 종의 두께는 종의 아랫부분이 제일 두껍고 가운데로 오면서 ..

고려범종

고려시대 범종의 특징 고려범종은 몽고란을 기준으로 전․후기로 나누는데, 전기에는 신라범종의 수법을 계승하다가 점차 후기로 들어오면서 수법이나 양식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전기로는 천흥사동종․용주사동종 등이 있고, 후기로는 내소사동종․탑산사동종 등이 대표적인 고려 동종으로 꼽힌다. 고려시대 범종의 부분별 변천 ◉ 종신(鐘身) 신라나 고려 전기의 범종은 종신(鐘身)과 종구(鐘口)의 비율이 2:1 정도였으나 고려후기는 범종이 왜소(矮小)해지는 동시에 ‘종구’는 넓어져 거의 1:1 비율로 되었다. ◉ 용뉴(龍鈕) 용뉴는 전 후기를 막론하고 장식적인 면이 강조되어 신라범종의 박진감 넘치고 사실적인 느낌은 사라지고 형식적이고 도식적으로 변하였다. ◉ 용통(甬筒) 몇 개의 단으로 구분되어 당초문, 보상화문 ..

범종

출처 : 야후 dolmen66 범종의 의의 종은 일반적으로 사찰이나 성의 문루에서 시간을 알리거나 사람을 모이게 하는 데 사용하였다. 범종은 사찰에서만 제작되어 여러 가지 불교 행사, 의식을 행할 때 사용했는데, 신앙적인 의미로는 인간이 번뇌에서 벗어나 깨달음을 얻게 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 나라 종은 동양에서 만들어진 종이라 해도 중국 종이나 일본 종과는 달리 학명으로 '한국 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 이유는 신라의 '만파식적'에서 유래되었다는 음통을 지니고 있는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나라 범종의 상당수가 일본으로 반출되었는데 현재 일본에서 국보로 지정된 것만 해도 20여 구를 해아린다. 우리 나라의 종과 서양의 종을 비교하면 형태면에서 우리 나라 종은 항아리를 거꾸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