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홈페이지 유물검색 2017년 3월 2일 현재
http://museum.khu.ac.kr/contents/bbs/bbs_content.html?homepage_id=khmuseum&bbs_cls_cd=005001&cid=08071800001219&bbs_type=G
==========================================================================
경희대학교 박물관 소장 범종(慶熙大學校 博物館 所藏 梵鍾)(2-48)
소 재 지(所 在 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동대문구(東大門區) 회기동(回基洞)
연 대(年 代) : 14세기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21cm 유곽장(乳廓長); 4.4×5.8cm 종신고(鍾身高); 15cm
당좌경(撞座徑); 4cm 용통고(甬筒高); 6cm 하대폭(下帶幅); 2.2cm
상대폭(上帶幅); 1.1cm 종구경(鍾口徑); 14.3cm 유곽폭(乳廓幅); 1.6cm
종구후(鍾口厚); 1.2cm 유곽폭(乳廓幅); 1cm
경희대학교박물관(慶熙大學校博物館) 소장품(所藏品)으로서 강원도(江原道) 횡성(橫城)에
서 출토(出土)되었다 할 뿐 상세한 내용(內容)은 불명(不明)한 소종(小鍾)(No.1-68)(口)-114)이다.
이미 『고고미술(考古美術)』101호(號)100)에 소개(紹介)된 바 있는 용뉴(龍
鈕)와 종신(鍾身)이 완전(完全)한 고려(高麗) 하대(下帶) 종(鍾)으로서 용통(甬筒) 정상(頂
上)에는 방판(方板)을 4유(乳)에 배치하고 그 위에 소주(小珠) 1개(個)씩을 부착시켰다. 이와
같은 예(例)는 다른 범종(梵鍾)의 용통(甬筒) 상단(上端)에서 볼 수 없는 특이(特異)한 수법
(手法)의 하나이다. 종정(鍾頂) 천판(天板) 주연상(周緣上)에는 3각형(角形)의 입상문대(立狀
文帶)를 돌리고 있으며 상하대(上下帶)와 유곽(乳廓)은 동일(同一)하게 뇌문(雷文)으로 주문
대(主紋帶)를 이루었고 특(特)히 하대(下帶)는 동일(同一)한 뇌문대(雷紋帶)를 상대(上帶)와
달리 2단(段)으로 나타나게 한 것이 특이(特異)할 뿐 여타(餘他)의 특별(特別)한 특징(特徵)
은 없다. 종복(鍾腹)에는 조식(彫飾)하고 그 내부(內部)에 자방(子房)을 갖춘 8판연화(瓣蓮
華)로 되어 있다. 이상으로 볼 때 역시 종(鍾)의 조잡한 수법(手法)과 양식(樣式), 문양(紋樣)
의 처리(處理) 등(等)이 세련되지 못해 고려말(高麗末)인 14세기경에 제작․주조된 것으로 본다.
출처 :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간 한국의 범종
'역사의 울림 속으로 > 고려의 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박물관 위탁 김위상 소장 종 (0) | 2007.03.26 |
---|---|
춘천박물관 소장 구 동원미술관 소장 범종 (0) | 2007.03.25 |
해남 대흥사의 탑산사동종 [塔山寺銅鐘]-대흥사 보관 (보물 제88호) (0) | 2006.11.17 |
부안 내소사 동종 (보물 제277호) (0) | 2006.10.28 |
북한 평양 정사명 동종 (0) | 2006.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