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부안 내소사 동종 (보물 제277호)

korman 2006. 10. 28. 23:45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26> 부안 내소사 종

 

고려후기 범종 가운데 가장 뛰어난 걸작

1222년 주조된 변산 청림사종

역동적이고 섬세한 용뉴 조각

상하대 연당초문과 연봉우리

연화 대좌 위 고부조 삼존상 등

화려함까지 갖춘 뛰어난 성보

 

고려 장인 한중서에 의해 제작

흠 없이 완벽한 주조술 돋보여

 

보물 277호 부안 내소사 종 명문에 따르면 고려 1222년 변산 청림사에서 주조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고려후기에 만들어진 수많은 범종 가운데 양식적으로 가장 뛰어난 작품이 바로 이번 호에 소개될 부안 내소사(來蘇寺) 종이다. 총 높이 105.3cm에 이르는 고려후기 종 가운데 가장 큰 크기로서 현재 내소사의 범종각에 걸려 있다. 어느 한곳 부족함 없이 완벽한 주조 기술은 물론이고 용뉴부터 상, 하대의 세부 문양과 종신의 삼존상까지 화려함을 갖췄다.

 

이러한 걸작을 주조한 제작자는 바로 한중서(韓冲敍)란 장인이다. 한중서가 제작한 작품 가운데 현재까지 확인된 것이 금고 3점과 범종 2점에 불과하지만 뛰어난 제작 기술을 통해 이보다 훨씬 많은 양을 제작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남아있는 작품의 제작시기를 통해 13세기 전반부터 중엽까지 활발한 주조 활동을 했음을 알 수 있다.

 

한중서는 처음에 도쿄(東京)국립박물관 소장 고령사(高嶺寺) 반자를 만들 당시에는 시위군의 일개 군사(侍衛軍 仲叙)에서 출발하였음을 볼 수 있는데, 아마도 군역에 종사하면서 이 반자를 만들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 이후 한중서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된 작품이 바로 이 내소사 범종으로서 여기에는 아무런 직급 없이 장 한중서(匠 韓冲敍)로만 기록되었다. 그리고 16년 이후에 만들어진 1238년의 무술년(戊戌年) 신룡사(神龍寺) 소종(小鐘)을 만들었을 때는 이름 앞에 대장(大匠)으로 그 직위가 격상되었지만 아직 아무런 관계(官階)는 기록하지 않았다.

 

다시 같은 해에 복천사(福泉寺) 반자를 만들 때는 처음으로 별장동정(別將同正 韓仲叙)이라는 무산계(武散系)의 동정직(同正職)을 제수 받아 관장(官匠)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하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기록된 고려시대의 별장(別將)은 경군(京軍)이나 주진군(州鎭軍) 및 각 령(領)에 소속된 군관(軍官)의 직명으로 정7품의 하급 장교를 칭한다. 여기에 함께 사용된 동정(同正)은 정직에 준하여 설정된 산직(散職)의 하나로서 대체로 한직(閉職) 및 초입 임직의 성격을 띠어 대기하였다가 규정에 따라 실직으로 진출하였고 17~25결의 토지를 취득할 수 있었다.

 

내소사종의 용뉴.

 

이처럼 한중서는 관장으로서 무산계 정7품인 별장으로 진급하였으나 장인이라는 신분상의 제약 때문에 정직이 아닌 일종의 별정직인 동정직((同正職)을 수여받게 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후 만들어진 임자(壬子) 옥천사(玉泉寺) 반자에도 계속 별정동정 한중서(別將同正 韓仲叙)라는 관계를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한중서는 1218년 수녕궁주방(壽寧宮主房)의 시위군사(侍衛軍士)에서 출발해 1222년 내소사종(匠), 1238년의 신룡사 종(大匠), 1238년 복천사 반자(別將同正), 1252년 임자 옥천사 반자(別將同正)으로 승진을 해 나간 당시 고려시대 장인의 행적이 밝혀지게 되었다.

 

특히 한중서는 옥천사 소장 안양사(安養社) 반자에 보이는 ‘경사공인지가(京師工人之家)’란 명문의 내용처럼 개경(開京)에 속한 사장 집단 출신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사장 집단 출신이면서 사찰의 불교공예품을 주로 제작하였던 한중서는 군역을 마친 이후 본격적인 장인 활동을 하게 되면서 1238년 국가적 대우를 받는 관장으로 제수 받게 되었다. 다시 1252년에 이르러서는 지리산의 안양사 결사(安養社結社)라는 신앙결사를 위해 국가의 최고 권력층이 참여하여 만든 직경 55cm에 이르는 고려시대 후기 최고 걸작인 안양사 반자를 만들게 된다.

 

그런 점에서 이후의 활동은 파악하기 힘들지만 한중서가 처음 고령사 반자를 만들 당시를 20대 초로 보아도 안양사 반자를 만든 시기가 50세 후반에 해당되는 점에서 약 30년 넘게 주조 활동을 이어온 걸출한 장인이었음이 확인된다.

 

내소사 종의 형태는 다른 종과 비교해도 역동적이고 매우 섬세하게 조각된 용뉴가 단연 뛰어나다. 앞서 소개한 1216년의 오어사(吾魚寺) 종의 용뉴가 고려 후기 범종 용뉴의 화려한 부활을 알리는 서막이었다면 이 종의 용뉴는 그 완성을 이룬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용은 얼굴을 들어 앞을 바라보고 있으며 크게 벌린 입 안으로 날카로운 이빨과 혀 위에 올려진 둥근 보주를 물고 있는 형상이다. 오른 발은 천판 위에 살짝 들어 움켜쥐려는 듯 하며 왼발은 머리 위로 들린 채 날카로운 발톱 앞쪽으로 보주가 올려 있다. S자형으로 굴곡을 이룬 목에는 비늘과 갈기까지 섬세하게 묘사되었고 목 뒤로는 3단으로 나눈 원통형의 음통이 연결되었다. 음통에는 화려한 연당초문을 입체감 있게 장식하였다. 이 음통과 연결되도록 발 뒤쪽에서 솟아난 두 줄의 장식(焰翼)이 첨가되었는데, 역시 오어사종의 장식보다 훨씬 두드러진 모습이다.

 

아울러 음통 상단을 둥글게 돌아가며 부착된 여러 개의 보주가 더욱 크고 강조된 모습으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 고려 후기 종에 반드시 나타나기 시작하는 천판 외연에 둘러진 입상연판문대(立狀蓮瓣文帶)는 높게 돌출되고 각 연판 안으로 꽃술 장식이 첨가되는 등 더욱 화려함이 부각되었다. 또한 상대와 하대에는 유려한 연당초문과 폭이 좁아진 연곽대에도 외연에만 연주문대를 첨가하고 안에는 상, 하대 문양보다는 조금 도식화되었지만 섬세한 연당초문으로 장식하였다.

 

연화대좌 위에 삼존상이 고부조로 새겨져 있는 모습.

 

특히 연곽 안에 표현된 9개씩의 연뢰는 그리 높게 돌출되지 않았지만 연잎 중앙에 소담히 피기 직전인 연봉우리를 모습을 충실히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한중서란 장인이 한국 범종의 고유의 특징인 연봉우리의 의미를 분명히 파악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특히 청녕(淸寧)4년명(1058) 종에 처음 등장하기 시작한 4개의 당좌를 다시 재현하고 있음이 주목되는데, 이 당좌는 연밥이 장식된 자방을 다시 삼중원(三重圓)의 국화형 테두리로 두른 뒤 원권(圓圈) 없는 12엽의 중판 연화문으로 두른 모습이다.

 

이러한 당좌의 모습은 이 시기 범종에 자주 나타나는 문양인 동시에 특히 국화형 테두리 안으로 연과를 동심원으로 두른 자방의 모습은 한중서가 즐겨 사용한 당좌 문양이란 점에서 당시 지문판(地文板)과 같은 문양판이 반복 사용된 것을 말해준다.

 

한편 연곽과 연곽 사이에 해당되는 종신 중단 면에는 흩날리는 천개(天蓋) 아래로 연화와 구름의 화려한 대좌 위에 표현된 삼존상(三尊像)이 사면에 높게 부조되었다. 이 삼존상은 결가부좌한 여래상을 중심으로 양 옆에 합장한 보살입상을 1조로 배치한 모습으로서 머리 뒤로는 유연하게 율동 치며 솟아오른 천의가 묘사되었다. 대체로 두 구씩 표현되는 합장형의 보살좌상이 삼존상으로 바뀌면서 사방에 배치하였고 당좌도 네 개로 늘어난 화려한 장식성은 이후 고려 범종의 모본이 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명문은 몸체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데, 크게 원명과 추각명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원명의 2째 줄부터 7째 줄은 청림사명(靑林寺銘)으로 시작되는 발원문으로서 임오(壬午) 6일 사주 선사담묵(禪師湛黙)이 기록하였다는 내용이다 (靑林寺銘, 扶寧邊山中有靑林 三韓前寺革古鼎今, 堂宇宏麗禪侶盍, 命白公等鑄發鯨音, 停離輪苦警悟昏沉, 几有耳者開覺本心, 壬午六月日社主禪師湛黙誌). 그리고 다음 줄 9째 줄부터 17째 줄까지는 정우 16년 6월 초 7일에 역시 사주 선사담묵(禪師湛黙)이 기록하였다는 것과 그 다음 줄에는 정우 임오 6월초 7일에 변산 청림사 금종으로 700근의 중량을 들여 주성한 것으로서 동량도인 허백, 도인 종익, 장인 한중서란 내용으로 파악된다(貞祐十年六月日社主禪師湛黙記, 貞祐壬午六, 月初七日邊山, 靑林寺金鍾, 鑄成入重七百, 斤 棟梁, 道人 虛白, 道人宗益(?), 匠 韓冲敍). 여기에 추각명으로 보이는 다음의 명문은 기유년 다음 해인 9월 7일에 지금의 내소사로 옮겨온 내용과 숭정기원후 4계축 해인 1853년에 9월27일에 김성규란 선비(隱士)가 기록한 것이란 내용이다(余己酉九月七日卜居, 靑林翌年九月七日鑿, 此金鐘移懸于來蘇寺, 銘曰性保金剛體法轉. 輪聞聲悟心花開實新, 崇禎紀元後四癸丑九月, 二十七日隱士金性圭記, 而施焉 持殿完岩正宇). 따라서 이 종은 원래 변산(邊山)의 청림사(靑林寺) 종으로 1222년에 만들어져 오랜 기간 내려오다가 조선시대 1853년에 지금의 내소사로 그 거처가 옮겨지게 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불교신문3373호/2018년3월7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4533

 

============================================================================


부안 내소사 동종 (보물 제277호)

























내소사 고려동종• 코드: cp0501b01401 
• 명칭 : 내소사고려동종 
• 지정 : 보물 제 277호 
• 조성연대 : 고려 고종 9년(貞祐 10年)(1222) 
• 제원 : 전체높이 103㎝, 종신 77㎝, 입지름 67㎝, 입두께 6㎝, 무게 420kg 
• 소재지 : 부안 내소사 
• 관리자 : 부안 내소사 
• 설명 
고려 고종 9년(1222)에 내변산에 있는 청림사(靑林寺) 종으로 제작되었으나 조선 철종 원년(1850)에 내소사로 옮겨졌다. 고려시대 동종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종으로, 종 정상부에는 음통과 큰 용머리를 가진 용뉴가 있다. 재질은 청동이며 주종장은 한중서이다. 
당좌는 연꽃으로 장식했고, 종신에는 이중여의두문(二重如意頭紋)의 입상화문대(立狀花紋帶)와 화려한 모란당초문(牡丹唐草紋)의 상대·하대가 있고, 당초문의 연곽 아래에는 4개의 중판연화문(重瓣蓮華紋) 당좌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매우 균형 있는 모습이다. 내부에 선각한 중방과 6과의 자방을 갖추고 있는데, 좁고 뾰족한 꽃잎을 두 겹으로 빽빽이 돌려 매우 화려하면서도 특징적이다. 또한 연곽과 연곽 사이 아래에 돋을새김 한 삼존불(三尊佛)이 있는데, 두 뺨이 볼록한 선정인(禪定印)의 본존은 연꽃으로부터 피어난 구름 위에서 연화좌(蓮華座)에 정좌하고 있으며, 좌·우 협시불(脇侍佛)은 손을 가슴 앞에 모은 채 서 있다. 삼존불의 두광 뒤쪽으로는 구름꼬리가 S자로 휘날리고 있고, 그 위에는 장식을 흩날리는 보개(寶蓋)가 있어 한층 장엄한 느낌을 자아낸다. 섬세한 천개의 영락들은 오른쪽에서 불어오는 산들바람에 살짝 흔들려 짤랑짤랑 소리를 내는 듯하여 고요한 정좌의 분위기에 아름다운 천상의 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상대에서 하대로 이어지는 선이 신라종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천판 쪽으로 고개를 숙인 신라종과는 다르게 용뉴가 앞을 향하고 있으며, 특히 꽃잎모양으로 발달한 입상 화문대와 보개 아래에 앉은 삼존불을 갖추어 고려후기 종의 전형적인 특색을 구비하고 있는 종이다. 
이 종은 정우(貞祐) 10년(1222) 6월에 주성되었으며 종을 만드는 데 들어간 구리가 700근에 장인은 한중서라는 내용이 몸체에 새겨져 있다. 내소사 경내에 별도의 보종각(寶鐘閣)을 만들어 보존하고 있으며 타종되지는 않고 있다. <자료참조 : 문화재청, 직지성보박물관, 사찰 홈페이지>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년 12월 6일 현재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01&index_id=cp05010026&content_id=cp050100260001&search_left_menu=3=========================================================


2014년 2월 9일 현재
  






종 목 보물  제277호
명 칭 부안 내소사 동종 (扶安 來蘇寺 銅鍾)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1963.01.21
소 재 지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 (석포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내소사
관리자(관리단체) 내소사


부안 내소사 동종(扶安 來蘇寺 銅鍾)은 고려 시대 동종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종으로 높이 103㎝, 입지름 67㎝의 크기이다.

종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부분에는 꽃무늬 장식을 하였다. 종의 어깨 밑에는 사각형의 유곽이 4개 있고, 그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유두가 있다.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는 연꽃으로 장식했고, 종의 몸통에는 구름 위에 삼존상이 새겨 있다. 가운데 본존불은 활짝 핀 연꽃 위에 앉아 있고, 좌·우 양쪽에 협시불이 서 있다. 종 정상부에는 소리의 울림을 돕는 음통과 큰 용머리를 가진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가 있다. 고려 고종 9년(1222)에 청림사 종으로 만들었으나, 조선 철종 원년(1850)에 내소사로 옮겼다.

한국 종의 전통을 잘 계승한 종으로, 그 표현이 정교하고 사실적이어서 고려 후기 걸작으로 손꼽힌다.



출처 : 문화재청사이트 2014년 2월 9일 현재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2770000,35


==============================================================


2009년 8월 27일 발췌
 
내소사 고려동종

 

 

내소사 고려동종


- 지 정: 보물 제 277호
- 지정일: 1963. 1. 21
- 소재지: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268
- 소유자: 내소사
- 시 대: 고려시대
- 수 량: 1구

이 동종은 고려 고종 9년(1222)에 내변산 청림마을에 소재한 (신)청림사에서 제작되었으나 (신)청림사가 폐사된 후 오랫동안 땅속에 묻혀 있던 것을 조선 철종 4년(1853) 내소사로 옮긴 것으로 전형적인 고려후기의 동종이다. 종의 높이는 1.03m, 구경 0.67m의 범종으로 종신에는 이중여의두문의 입상화문대와 화려한 모란당초문의 상·하대가 있고, 당초문의 유곽 아래에는 4개의 중판연화문이 배치되어 있는데 두 뺨이 볼록한 선정인의 본존은 연화좌 위에 앉아 있고, 좌·우 협시상은 입상이다. 이들 위에는 운미가 길게 솟아 있고 그 위에는 장식을 흩날리는 보개가 있어 고려시대의 특색이 잘 나타나 있는 장엄하고 미려한 동종이다.

-참고문헌·전라북도 문화재지- 2009년 8월 27일 현재



======================================================

2007년 3월 28일 발췌


 貞祐 10年(1222), 청동, 전체높이 105.3cm, 종높이 71.0cm, 입지름 66.8cm, 주종장 한중서, 전북 부안 내소사, 보물 제277호
상대에서 하대로 이어지는 선이 신라종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천판쪽으로 고개를 숙인 신라종과는 다르게 용뉴가 앞을 향하고 있으며, 특히 꽃잎모양으로 발달한 입상대와 천개 아래에 앉은 삼존불을 갖추어 고려 후기 종의 전형적인 특색을 구비하고 있는 종이다.
연곽 아래에 배치한 당좌는 내부에 선각한 중방과 6과의 자방을 갖추고 있는데, 좁고 뾰족한 꽃잎을 두겹으로 빽빽이 돌려 매우 화려하면서도 특징적이다. 이 종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장면은 삼존불이다. 연꽃으로부터 피어난 구름 위에서 본존은 연화좌에 정좌하고 있으며 협시불들은 손을 가슴 앞에 모은 채 서 있다. 삼존불의 두광 뒤쪽으로는 구름꼬리가 S자로 휘날리고 있다. 섬세한 천개의 영락들은 오른쪽에서 불어오는 산들바람
에 살짝 흔들려 짤랑짤랑 소리를 내는 듯하여 고요한 정좌의 분위기에 아름다운 천상의 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이 종은 본래 청림사靑林寺 종으로 정우貞祐 10년(1222) 6월에 주성되었으며 종을 만드는 데 들어간 구리가 700근에 장인은 한중서
라는 내용이 몸체에 새겨져 있다. 지금은 내소사 범종각에서 조석예불에 타종되고 있다.  
 2007년 3월 28일 현재

======================================================
2006년 10월 16일 발췌

내소사 고려동종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동종.

지정번호 보물 제277호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
시대 고려(1222년)
크기 높이 103cm, 입지름 67cm
종류 동종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77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103cm, 입지름 67cm. 종신에는 위·아래에 견대와 구연대를 돌리고 그 안에 아름다운 당초문을 새겼으며, 견대 위에는 여의두문과 흡사한 입화형 장식이 있어 고려종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견대 아래 4곳에는 유곽이 있으며 연주문으로 구획하여 이 유곽 안에 당초문을 새겼으며, 그 안에 젖꼭지 모양의 9돌기가 있다. 유곽 아래에는 12꽃잎의 연꽃으로 장식된 당좌가 원좌 밖에 있다. 유곽과 유곽 사이의 밑인 종신 중앙부에는 꽃송이 위에 구름을 표현하고 구름 위에 삼존이 새겨져 있다.

본존은 활짝 핀 연꽃 위에 앉아 있고, 협시상은 서 있다. 모두 둥근 두광을 갖추었으며, 운미가 길게 위로 솟아 있다. 그리고 그 구름 위에는 바람에 휘날리는 보개가 있어 더욱 장엄하게 보인다. 정상에는 주형이 달린 용통을 두고, 특히 큰 머리의 용뉴가 있는데 모두가 사실적으로 처리되었다. 또 당좌와 당좌 사이에는 3종류의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명문에 따르면, 이 종은 1222년(고려 고종 9)에 만들어져 원래 청림사에 있던 것을 1853년(조선 철종 4)에 내소사로 옮긴 것이다. 한국종의 양식을 잘 계승한 범종으로 아름다운 고려 동종의 대표작이다.

(출처 : '내소사 고려동종' - 네이버 지식iN)


이 종은 원래 내변산에 있는 청림사에서 고려 고종 9년(1222)에 만든 것으로 조선 철종 원년(1850)에 이곳으로 옮겼다. 전형적인 고려 후기의 종으로 높이는 1.03m, 직경은 67cm, 무게는 420kg 이다. 종을 매 다는 고리에는 용의 모양을 새겼으며 종 가운데에 세분의 불상을 조각하였다. 가운데 본존불은 연꽃위에 앉아있고 좌우 협시상은 서 있는 모습이다.
종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는 화려한 식물 문양을 새겼으며 해바라기처럼 뾰족한 끝을 가진 연꽃무늬가 종을 때리는 자리(당좌)이다. 표면의 묘사수법이 정교하고 사실적인 이 종은 통일신라시대의 형식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고려시대 범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출처 : http://blog.empas.com/saraegi/13137742
2006년 10월 16일 현재


======================================================

래소사 정우십년명 범종(來蘇寺 貞祐十年銘 梵鍾)


소 재 지(所 在 地) : 전라북도(全羅北道) 부안군(扶安郡) 산내면(山內面) 석포리(石浦里)
연 대(年 代) : 1222年(고종(高宗) 9年, 정우(貞祐) 10年)
지정번호(指定番號) : 보물(寶物) 第277號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103cm, 구경(口徑); 67cm


본(本) 종(鍾)은 지금까지 여러 문화재해설집(文化財解說集)에 소개되어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 현재(現在) 래소사(來蘇寺) 대웅전(大雄殿) 앞 종각(鍾閣)에 보관(保管)되어 있다. 본(本) 종(鍾)의 내용(內容)을 간략하게 살펴 본다면 종신(鍾身)보다 비례에 맞지 않게 종구(鍾口)가 약간 넓어져 있으나 한국종(韓國鍾)의 형식(形式)을 충실히 갖췄다고 할 수 있다.
상하대(上下帶)의 문양(紋樣)은 목단(牡丹)이 붙은 당초문대(唐草紋帶)가 매우 화려하게 조각되었고, 유곽(乳廓)에도 연주문대내(連珠紋帶內)에 당초문(唐草紋)이 조각(彫刻)되어 있다.
천판(天板)과 상대(上帶)가 접하는 계연상(界緣上)에 2중(重)으로 된 여의두문(如意頭紋)의 입상화문(立狀花紋) 장식(裝飾)이 있어 하나의 특색(特色)을 나타내고 있다. 유곽(乳廓) 내(內)에는 돌기(突起)된 9유(乳)가 있고 유곽(乳廓) 밑으로는 중판연화(重瓣蓮華)로 된 당좌(撞座)가 4곳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신(鍾身)의 중간(中間) 유곽(乳廓)사이에는 만개(滿開)한 연화(蓮華)가 받치고 있는 운상(雲上)의 삼존상(三尊像)이 4곳에 양각(陽刻)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존(本尊)은 좌상(坐像)이고 양협사(兩脇寺) 보살상(菩薩像)은 장신(長身)의 입상(立像)으로서 삼존(三尊) 모두 두광(頭光)을 갖추고 있다. 운미(雲尾)에 길게 위로 뻗은 위에는 수식(垂飾)이 옆으로 나부끼는 천개(天蓋)가 있고 정상(頂上)에는 정교한 용두(龍頭)와 용통(甬筒)이있는바, 용두(龍頭)는 탑산사종(塔山寺鍾)의 용두(龍頭)와 흡사하고 용통(甬筒) 상부주연(上部周緣)에는 여의주(如意珠)를 배치하고 있다. 특히 본(本) 종(鍾)에서는 종신(鍾身)에 각명(刻銘)한 27행(行)의 명문(銘文)이 있어 종(鍾)의 내력과 주조관계(鑄造關係)를 확연히 알 수 있는 귀중(貴重)한 종(鍾)이다. 명문(銘文)에 보면


貞祐壬子六月初七日邊山靑林寺金鍾鑄成入重七百斤과
(정우임자육월초칠일변산청임사금종주성입중칠백근)
餘己酉九月七日卜居靑林翌年九月七日鑿此金鍾移縣于來蘇寺
(여기유구월칠일복거청임익연구월칠일착차금종이현우내소사)


등의 명문(銘文)이 있어 고려(高麗) 고종(高宗) 9年(1222)에 청림사종(靑林寺鍾)으로 만든것을 조선(朝鮮) 철종(哲宗) 1年(1850)에 래소사(來蘇寺)로 옮겼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