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조선의 종

예산 수덕사 보관 향천사 범종(香泉寺 梵鐘)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171호)

korman 2009. 9. 13. 18:30

예산 수덕사 보관 향천사 범종(香泉寺 梵鐘)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171호)

 


사진출처 : 수덕사 성보박물관

 

향천사는 충남 예산군 예산면 향천리에 위치한 사찰로 수덕사의 말사이다. 이 종의 용뉴는 8개의 발을 가진 쌍룡으로 이루어져 있고, 용뉴 정상부의 여의주를 8개의 발가락으로 받들고 있는 특색이 있는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범자문(梵字文) 상대, 연화문(蓮花文) 하대, 4좌의 유곽, 구름위에 탄 4구의 보살입상 등을 갖춘 범종이다.

종의 몸통에는 다음과 같은 명문이 있다.

「 康熙四拾年  壬午三月  忠淸道  □□□  □□寺

  大鐘重  四百斤  李海俊 惠雄 玄海 」

이를 통해 이 종은 조선 숙종 28년(1702) 임오년에 제작된 충청도 □□□ □□寺의 대종이며, 중량은 400근임을 알 수 있다. 이 종은 일제시대에 전쟁물자로 공출되어 예산 철도역까지 반출되었다가 도중에 8ㆍ15해방을 맞아 향천사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고 한다.

 

출처 : 수덕사성보박물관 2014년 1월 12일 현재

http://www.sudeokmuseum.or.kr/bbs/board.php?bo_table=02_3&wr_id=6

 

==============================================================================


자료발췌일 2014년 1월 14일 현재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171호 (예산군)

명 칭

향천사범종(香泉寺梵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03.10.30

소 재 지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20 수덕사 근역성보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수덕사 주지

관 리 자

수덕사 주지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예산군 경영관리실 041-330-2314



향천사 범종은 몸통 중앙에 명문이 있어 1702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고, 종을 제작한 장인은 이해준, 혜웅, 혜경, 현해 등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으면서도 단순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18세기 초엽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범종으로서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불교미술사적 가치가 크다.


문화재청 2014년 1월 14일 현재현재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1710000,34&queryText=








사진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01&index_id=cp05010052&content_id=cp050100520001&search_left_menu=3

----------------------------------------------------------------------


조선시대 후기의 범종으로서, 제작년대와 발원자 등의 명문이 새겨져 있어 자료적 가치가 높다. 양식을 살펴보면, 용뉴(龍鄙 )는 8개의 발을 가진 쌍룡(雙龍)으로 이루어져 있고, 용뉴 정상부의 여의주를 8개의 발가락으로 받들고 있는 특색 있는 형상을 보인다. 상대(上帶)에는 범자문(梵字紋), 하대(下帶)에는 연화문(蓮花紋), 그리고 4좌의 유곽, 구름을 탄 4구의 보살입상 등의 장식을 갖추고 있다. 종신(鍾身)에는 ꡐ康熙四拾年 壬午三月 忠淸道 □□□ □□寺 大鐘重 四百斤 李海俊 惠雄 玄海ꡑ 등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이것을 통해 1702년(숙종 28)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종은 일제강점기에 전쟁 물자로 공출되어 예산 철도역까지 반출되었다가 도중에 8․15 해방을 맞아 다시 향천사로 돌아왔다고 한다. 현재 수덕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크기는 입지름 64.3㎝, 전체 높이 102.6㎝, 두께 5.8㎝이다. (출처 : 전통사찰총서 13)

출처 : http://www.koreatemple.net/ (사찰문화정보) 2009년 9월 13일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