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조선의 종

중앙박물관 소장 봉복사 범종 (강희28년명 범종)

korman 2009. 5. 11. 22:33

자료발췌일 2009년 5월 11일 현재 

 

중앙박물관 봉복사종 中央博 奉福寺鐘

 (강희28년명 범종)

 

 

康熙 28年 己巳

(조선 肅宗 15년, 1689)
총 높이 51.5cm,

종신 높이 50.3cm,
입상대 폭 1.8cm,

상대 폭 4.2cm,
유곽대 폭 2.0cm,

유곽크기 15.0 x 16.0cm,
천판 지름 25.5cm,

하대 폭 6.3cm,
종입 지름 46.0cm,

종입 두께 5.8cm
국립중앙박물관

 

* 20014년 1월 13일 현재

  중앙박물관 유물 검색에 

  나타나지 않으며 전국박

  물관 이뮤지엄 검색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 종은 1913년 3월 31일 일본인 大館龜吉로부터 구입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용뉴와 음통은 망실되었고, 낮은 입상대, 범자문으로 된 상대, 4개소의 유곽 및 연화당초문으로 된 하대 등으로 구성되었고, 보살상과 당좌는 없다.

용뉴가 있었던 부분의 천판에는 4개의 작은 원형관통구멍이 있는 것과 康熙年間에 제작된 종임을 바탕으로 추정한다면 망실된 용뉴는 일체쌍용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종견에는 x자무늬를 장식한 사각형으로 된 약식 입상대를 설치하고, 그 밑으로 23개의 네모난 구간을 설정하여 그 속에 원좌에 범자를 장식하였다.

유곽은 상대에서 조금 떨어져 독립하여 4개소에 배치하고 있는데 사다리꼴이고, 유곽 안에는 8판연화좌 중앙에 돌기된 5유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5유로 된 유곽은 조선시대종에서는 보경사 서운암 종(1667년)에서만 볼 수 있는 아주 희귀한 예라고 할 수 있다.

하대는 상대와는 달리 연당초문으로 주문양을 돌렸다.

종신에 있는 명문이 양각되어 있다.
康熙二十八年己巳三月日」 江原道橫城北面」 德高山奉福寺」 中鍾重百斤」 ... 중략 ...
강희 연호는 중국 청나라 聖祖의 년호이고, 그 28년인 조선조 肅宗 15년 (1689) 기사 3월에 강원도 횡성 북면 봉복사의 중량 100근짜리 중종으로 주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료출처 ;
한국의 범종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종 염영하 지음
www.nohht.com.ne.kr
2009년 5월 11일 현재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國立中央博物館 所藏) 강희이십팔년명(康熙二十八年銘) 범종 (梵鍾)(2-81,3-61)


소재지(所在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연 대(年 代) : 1689年(숙종(肅宗) 15年, 강희(康熙) 28年)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측치(實測値) : 총고(總高); 51cm, 용통고(甬筒高); cm, 상대폭(上帶幅); 6.5cm, 

유곽장(乳廓長); 15×16cm, 구경(口徑); 46cm, 종신고(鍾身高); 51cm, 용통경(甬筒徑); cm, 

하대폭(下帶幅); 6.5cm 종구후(鍾口厚); 6cm, 용뉴고(龍鈕高); cm, 천판경(天板徑); 25.5cm, 

유곽폭(乳廓幅); 2cm, 당좌경(撞座徑); cm


 이 종(鍾) 역시 1913年 3月 31日 일본인(日本人) 대관구길(大館龜吉)로부터 구입한 것으로 

형상(形狀)은 용뉴(龍鈕) 부분이 결실(缺失)되었으나 강희년간(康熙年間) 제작(製作)으로 추정

한다면 역시 일체쌍두(一體雙頭)의 용뉴로 생각된다.

 용뉴가 있었던 부분은 작은 원공(圓孔) 4개(個)가 있고 종정(鍾頂)의 천판수평(天板水平)이

었던 것 같다. 상대(上帶) 부분(部分)에는 X자문(字紋)을 장식한 약화(略化)된 1.8cm의 방형

(方形) 입상대(立狀帶)를 설치하고 그 밑으로 3.5cm 구간(區間)을 23개(個) 설정하여 그 속에 

범자(梵字) 23개(個)를 조식 배열하고 있다.

 하대(下帶)는 상대(上帶)와는 달리 연당초문(蓮唐草紋)으로 처리하였다. 유곽(乳廓)은 상대

(上帶)에 접(接)하여 있지 않고 별도로 떨어져 4개소(個所)에 배치하고 있는데, 유곽 내의 유

두는 8판(瓣)의 연화좌에 돌기유(乳)를 하고 있으나 9개(個) 돌기(突起)가 아닌 5개(個)의 유

두(乳頭)를 배치한 것으로 주목(注目)된다.

 종신(鍾身)에 있는 명문(銘文)을 보면 숙종(肅宗) 15年 기사(己巳)(1689)에 제작된 강원도 

횡성 봉복사(奉福寺) 범종(梵鍾)임을 알 수 있고 당좌와 비천은 없다.

 명문(銘文) 내용(內容)은 다음과 같다.

康熙二十八年己巳三月日(강희이십팔년기사삼월일)

 江原道 橫城北面 (江原道 횡성북면) 

 德高山奉福寺守鍾……(덕고산봉복사수종……)


출처 :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간 한국의 범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