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범종 144

경희대학교 박물관 소장 강원도 횡성 출토 범종

(수정, 보완) ​ 강원도 횡성 출토 범종 (江原道 橫城 出土 梵鍾) 문화재명 : 강원도 횡성 출토 범종 (江原道 橫城 出土 梵鍾) 지정사항 : 시도유형문화재 소재지 : 서울특별시(特別市) 동대문구(東大門區)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박물관(博物館) 분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 고려전기(高麗前期) 년대 : 11세기 요약정보 本 종(鍾)은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박물관(博物館)에 소장번호(所藏番號) 168-188로 등 록된 청동범종(靑銅梵鍾)이다. 전(傳)하는 바에 의(依)하면 강원도(江原道) 횡성(橫城)에서 출토(出土)되었다고 한다. 용뉴(龍?)와 용통(甬筒)은 통식의 형식(形式)을 갖추고 있고 용두(龍頭)는 용구(龍口)에 여의주(如意珠)를 몰고 1족(足)에는 여의주(如意珠)를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무술명 범종(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戊戌銘 梵鍾) (전 덕수궁 미술관 소장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무술명 범종(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戊戌銘 梵鍾) ( 전 덕수궁 미술관 소장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무술명 범종(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戊戌銘 梵鍾) 소재지(所在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연 대(年 代) : 12세기초 지정번호(指定番號) : ..

중앙박물관소장 경기도 수원 출토 범종(京畿道 水源 出土 梵鍾)

중앙박물관소장 경기도 수원 출토 범종(京畿道 水源 出土 梵鍾) 소 재 지(所 在 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연 대(年 代) : 13세기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68.3cm 종신고(鍾身高); 53.4cm 용통고(甬筒高); 14.9cm 용통경(甬筒徑); 4.2cm 상..

전남 여천 출토 태안2년명 범종(全南 麗川 出土 泰安2年銘 梵鍾)

전남 여천 출토 태안2년명 범종(全南 麗川 出土 泰安2年銘 梵鍾) 1086년 고려 선종 3년 태안 2년 1969년 7월 30일 전남 여천군 쌍봉면 여천리에서 출토 국립광주박물관 소장으로 나타나 있으나 2015년 8월 17일 현재 박물관 사이트에 소개되지 않고 있음. =======================================================..

경주박물관 소장 경북 영일 출토 범종

국립경주박물관 동종 完形. 通式의 韓國鐘으로 撞座와 엇갈려서 菩薩坐像이 陽刻되어 있음. 출처 : 이뮤지엄 및 경주박물관 2021년 2월 14일 현재 www.emuseum.go.kr/detail?cateClass=&cateListFlag=&keyword=%EB%B2%94%EC%A2%85&pageNum=8&rows=20&sort=&highQualityYn=&isImgExistOp=&mckoglsvOp=&isIntrstMuseumOp=&filedOp=&detailFlag=&dq=&ps01Lv1=&ps01Lv2=&ps01Lv3=&mcSeqNo=&author=&ps06Lv1=&ps06Lv2=&ps08Lv1=&ps08Lv2=&ps09Lv1=&ps09Lv2=&ps09Lv3=&ps09Lv4=&gl05Lv1=&gl05L..

미국의 우리종 문화재 - 미국 보스턴미술관소장 고려범종

미국의 우리종 뮨화재 - 미국 보스턴미술관소장 고려범종 유물명칭: 범종⁄ 梵鐘 ⁄ Buddhist Temple Bell, Bronze 분류: 공예/불교공예/의식법구 수량: 1건1점 시대: 고려 소장처: 미국/보스턴미술관(Museum of Fine Arts, Boston) 유물번호: 1972.388 상세설명: 범종의 상면에는 몸을 둥글게 구부리고 ..

일본의 한국종 - 일본 쇼우덴지 (승천사 承天寺)의 고려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16 일본 쇼우텐지 소장 계지사명 종 ‘반가좌 보살상’…고려범종의 백미 천의 악기 묶은 장식 첫 사례 통일 신라 양식 잔존 복고풍 계지사 소재지 몰라 ‘아쉬움’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 관리 이 종은 현재 우리나라와 지역적으로 가까운 일본 후쿠오카시(福岡市) 시내 하카타역(博多驛)에서 도보로 10분 정도에 불과한 쇼우텐지(承天寺)에 소장된 고려시대 종이다. 쇼텐지는 작은 규모이지만 임제종(臨濟宗)의 유서 깊은 절로서 고려 범종 외에 고려 불화를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지난 호에 소개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녕4년명(淸寧四年銘鐘) 종 (1058) 보다 불과 7년 뒤에 제작된 작품이다. 그러나 그 종과 달리 아직까지 통일신라 범종 양식이 잔존하고 있는 복고적 경향의 작품..

일본의 한국종 - 명창7년명 동종 (도쿄박물관 소장 고려범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23 명창7년명 범종 고려 전기와 후기 가교역할…12세기 마지막 종 오쿠라컬렉션 가운데 하나 많지 않은 12세기 범종 눈길 명문곽 연판문 섬세히 처리 전기서 찾을 수 없는 당좌 후기 범종으로의 이행 시사 12세기에 들어와 기년명 종의 수효는 갑자기 그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제작된 기년명 범종으로는 국립춘천박물관 소장의 명창(明昌) 2년명 종(1191)과 명창3년(明昌三年) 대자사명(大慈寺銘) 종(1192) 정도가 확인되는데, 특히 대자사종은 해방 이후 북한에서 출토되어 평양 역사박물관에 소장된 작품으로서 200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전시에 출품되어 새로이 소개된 종이다. 높이 83cm에 이르는 비교적 큰 작품이면서 그동안 고려 후기 범종의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