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고려의 종 143

경주박물관 소장 신해'문자새김 동종

명칭신해'문자새김 동종 다른 명칭 : 辛亥'銘文銅鐘 국적/시대 : 한국-고려​ 출토지 : 상주시 재질 : 금속 분류 : 종교신앙-불교-의식-범종​ 크기 : 높이 46.5cm, 입지름 30cm 소장품번호 : 경주 6930 ​ 출처 : 경주박물관 2021년 11월 25일 현재 https://gyeongju.museum.go.kr/kor/html/sub04/0401.html?mode=V&id=PS0100100200100693000000&cate_code=&cate_gubun=

경주박물관 소장 금동제범종(金銅製鐘)

금동제범종 명칭 : 금동제범종 다른 명칭 : 金銅製鐘 국적/시대 : 한국-고려​ 출토지 : 재질 : 금속 분류 : 종교신앙-불교-의식-범종​ 크기 : 높이 15.7cm, 지름 11.7cm 소장품번호 : 접수 517 ​ 출처 : 경주박물관 홈페이지 2021년 11월 25일 현재 https://gyeongju.museum.go.kr/kor/html/sub04/0401.html?mode=V&id=PS0100100200200051700000&cate_code=&cate_gubun=

고려청자박물관소장 청자 범종 편

대부분이 결실되어 몸통의 일부만 남아 있다. 내면에는 무늬와 장식이 없다. 외면에는 윗면에 9개의 종유(鍾乳)가 배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7개가 확인되며, 그 아래에 넝쿨무늬가 음각기법으로 장식되어 있다. 출처 뮤지엄 2021년 2월 14일 현재 www.emuseum.go.kr/detailcateClass=&cateListFlag=&keyword=%EB%B2%94%EC%A2%85&pageNum=1&rows=20&sort=&highQualityYn=&isImgExistOp=&mckoglsvOp=&isIntrstMuseumOp=&filedOp=&detailFlag=&dq=&ps01Lv1=&ps01Lv2=&ps01Lv3=&mcSeqNo=&author=&ps06Lv1=&ps06Lv2=&ps08Lv1=&ps08L..

호암미술관 소장 정축명청동소종(丁丑銘靑銅小鍾)

호암미술관 소장 정축명청동소종(丁丑銘靑銅小鍾) # 종의 이름은 같으나 사진 출처에는 종에 대한 배경 설명이 없고 설명출처에는 종의 사진이 없어 사진과 설명이 정확히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음. 사진출처 : 네이버블로그 인문 앤 스토리 2019년 4월 13일 현재 http://inmunstory.com/220676999530 사진출처 : 네이버블로그 느티나무와 꽃사과 https://blog.naver.com/kwwoolim/220675667026 시대 고려 연대 1178년(명종8년) 유형/재질 금구명·종명 / 청동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기 높이 23.5cm, 종신높이 17.3cm, 윗지름 12cm, 아래지름 12cm, 두께 1.8cm, 글자크기 2cm 출토지 미상 소재지 (한국)-차명호 소장 (현 소장 호암미..

일본 도쿄박물관 소장 명창7년명 범종 (동종)

일본 도쿄박물관 소장 명창7년명 범종 (동종) 출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년간 고려범종-미술 ===================================================================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명창7년명 동종 [ 明昌七年銘鐘, Buddhist Bell with Inscription of 1196 Year ] 제작연도 1196 사조 불교미술 종류 범종 기법 청동 크기 높이 47.7 cm 소장처 도쿄국립박물관 원래는 오구라(小倉) 콜렉션의 소장품이었으나 동경국립박물관에 기증되어 건통 7년 명종과 마찬가지로 동양관 한국실에 전시되어 있다. S자형으로 굴곡진 용뉴는 종신보다 작게 묘사되었고 용두는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그 입을 천판상에서 떨어진 채..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건통7년명종

천북관세음사종(川北觀世音寺鐘) (건통7년명종) 문화재명 : 천북관세음사종(川北觀世音寺鐘) 시대 : 고려연대1107년(예종2년) 유형 : 종명·금구명 크기 : 높이 약 47.7cm, 입지름 약 57cm 소재지 : (일본)도쿄(東京)국립박물관 서체 : 미상찬자/각자/서자미상 / 미상 / 미상 개관 높이 47.7cm에 불과한 소종이지만, 12세기 초 범종의 양식적 특징을 규명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보주를 물고 있는 용뉴(龍?)와 당초문으로 간략화시킨 음통(音筒)에서 후기 범종의 초기적 양식을 볼 수 있다. 상대와 하대는 동일한 크기이면서 같은 용범(鎔范)에 의한 모란당초문을 유려하게 장식하였으며, 상대 아래 붙은 4개의 연곽대에도 동일한 양식의 모란당초문이 시문되었다. 연곽 안에는 8엽의 화문좌(花紋..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마쓰에시(松江市 國屋町) 덴린사(天倫寺)소장 고려범종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마쓰에시(松江市 國屋町) 덴린사(덴린지, 天倫寺)소장 고려범종 일본의 시마네현(島根縣) 마쓰에시(松江市 國屋町) 덴린사(덴린지, 天倫寺)는 최초 1611년에 다른 이름으로 창건되었으나 1639년에 덴린지(天倫寺)라는 이름으로 재창건된 사랓이 있다. 이곳의 종루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