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7

군고구마, 그리운 할머니

군고구마, 그리운 할머니 아침 학교 가는 길 큰 산 아래 돌아 동네 우물 옆 간밤에 쌓인 눈 깊숙이 생고구마 한 개 묻어놓고 공부시간 내내 행여 눈 녹아 다람쥐 물어 갈라 안절부절 눈 쌓인 언덕길 엉덩이 미끄럼틀삼아 눈보라 일으키며 온몸으로 내려와 눈 속에 손 쑥 집어넣어  언 고구마 꺼내 들고는 혀로 껍질 녹이고 시린 이로 갈아 내며 집 마당까지 한 입도 베지 못하였네.   손자의 언 입술 보시던 할머니 따뜻한 두 손으로 얼굴 감싸주시며 “안방 화로 재아래 군고구마 넣었다.”  첫눈 수북이 내려 할머니 군고구마 그리운데 어찌 알았는지 속 깊은 팬에 고구마 넣어 가스불에 올리는 마누라 있네. 고구마 구워지는 냄새에 할머니 얼굴 떠오르는구나. 오늘 손녀들 온다하여 만든 거니 ‘한 개만 먹으라’는 마누라 성..

겨울비

겨울비 도시에 겨울비가 내린다. 3일 동안 굵은비, 가랑비, 이슬비, 안개비 오늘도 해는 나오지 않았다. 봄이 오나? 겨울에 비가 내리면 봄을 재촉한다는데 설도 안 지난 한 겨울날 봄은 아직 먼 발취에 있을 텐데. 시골에도 비가 내리면 논에 언 얼음 녹아 아이들 썰매 탈 데가 없어질 텐데 그래도 비가내리면 물 없는 논에도 비고여 다시 추운 날 더 넓은 얼음 생기겠지. 도시엔 눈이 오나 비가 오나 타이어 아스팔트 먼지 섞인 검은 물 흐르는 건 매한가지 그래도 겨울엔 비보다 눈이 좋은걸. 2023년 1월 15일 하늘빛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음악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8THVhOmaDdQ 링크 The Elegance of Pachelbel - S..

철부지

철부지 어느덧 11월도 며칠 남지 않았고 이제 12월에 들어서면 사람들은 그저 이야기 하던 버릇대로 ‘세월은....’을 읊을 것이다. 매해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 보다는 같은 세월을 놓고 뭔가 다른 말이 없을까 생각해 보지만 뭐 신통한 건 떠오르지 않는다. ‘구관이 명관’이라 하듯 이것도 ‘구작이 명작’인 모양이다. 아무튼 달력은 어느새 마지막 장을 보인다. 동네 금융기관이나 안경점에서 새 달력을 받아 가라는 문자가 왔다. 그러나 선뜻 받으로 가는 게 내키지 않는다.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달력을 인식해서가 아니라 세월 가는 게 반갑지 않은 나이가 되었기 때문 일게다. 사람들은 아직 “지금은 늦가을이지”라고 말하지만 계절은 이미 겨울이 시작된다는 입동(立冬)을 지났다. 그런데 길거리엔 아직 반팔 옷차림을 ..

함박눈 내리면

함박눈 내리면 마른 잎 가득한 겨울 평원에 함박눈 내리면 시간이 멈춘 듯하다. 들판의 짐승도 하늘의 새도 속세의 인간도 짐짓 발자욱 남기기 망설여 설원엔 시간의 흔적이 없다. 너울 밀려오는 바닷가에 함박눈 내리면 세상의 모든 소리가 눈 속에 묻힌 듯하다. 파도 부딪는 바위의 울림도 포말 속 모래의 부딪침도 먹이를 찾는 갈매기 울음도 소리 없이 쌓이는 눈에 모두 덮여진 듯 바람조차도 숨을 죽인다. 세상이 잠든 눈밭에 달빛 내리면 달빛은 눈 위에 녹아들고 눈밭은 푸르스름 달빛으로 변한다. 달빛 스민 눈엔 번뇌마저 녹아들 듯하다. 도시엔 눈이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도시의 눈엔 세상의 온갖 잡티가 다 섞여 내리는 것 같다. 도시의 발에 마구 밟히고 소금에 절여지며 천덕꾸러기로 버려진다. 그래도 눈이 오면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