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울림 속으로/조선의 종 170

광주 원효사소장만수사범종 (元曉寺所藏萬壽寺梵鍾) (광주시 유형문화재 제15호)

2014년 2월 13일 발췌 원효사소장만수사범종 (元曉寺所藏萬壽寺梵鍾) 기본정보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총 높이 86㎝, 몸체 높이 66㎝, 입 지름 63㎝인 범종이다. 종을 매다는 부분인 용뉴는 각각 여의주을 물고 있는 2마리의 용으로 장식하였는데, 용머리 위에도 불꽃에 휩싸인 1개의 여의주을 ..

남원 실상사 동종 ((實相寺 銅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남원 실상사 동종 ((實相寺 銅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명 칭 실상사동종 (實相寺銅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1992.06.20 소 재 지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번지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실상사 상 세 문 의 전라북도 남원시 문화관광과 063-620-6173 실상사 경내에 있는 높이 123㎝, 입 지름 83㎝의 종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는 용이 종머리를 딛고 있는 형상이며,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용통은 간략화 된 용이 꼬리를 휘감은 모양을 하고있다. 몸통 위쪽은 원안에 범자를 양각한 문양을 12곳에 배치하였다. 그 아래 사각형을 이룬 유곽이 4면에 있으며, 사이사이에..

전라북도 완주군 안심사 범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전라북도 완주군 안심사 범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명 칭 안심사소장동종 (安心寺所藏銅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2005.12.16 소 재 지 운주면 완창리 26 운주면 완창리 26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

경기도 남양주 봉선사 동종 (南陽州 奉先寺 銅鍾)(보물 제397호) (봉선사대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낙산사종과 봉선사종 강원도 양양의 낙산사종(落山寺鐘, 1469)이나 남양주의 봉선사종(1469)은 장소와 크기는 조금 다르지만 흥천사종(興天寺鐘, 1462)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조선 왕실 발원 범종이란 공통점을 지녔다. 이 두 종은 공교롭게 같은 해에 만들어져 500년을 넘게 잘 보관되어 왔지만 낙산사종은 2005년 4월5일 식목일날 낙산사 산불과 함께 소실되어 그 원형을 잃고 말았다. 두 점 모두 쌍룡(雙龍)의 용뉴와 굵은 횡대로 나누어진 구획선, 종신 하단에는 파도문대를 둔 모습에서 앞서의 흥천사종을 계승한 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두 종 모두 종신 상단에 보살입상이 배치되어 있으나 낙산사 종에는 연곽과 연뢰의 표현이 생략된 점이 이채롭다. 아울러 범자문이 종신 상..

경기도 수원시 팔달문동종(八達門銅鐘) (만의사대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수원 팔달문동종(八達門銅鐘) (만의사대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팔달문 동종 • 코드: cp0501b04201 • 명칭 : 팔달문동종 • 지정 : 시도유형문화재 69호(경기) • 조성연대 : 조선 숙종 13년(1687) • 제원 : 전체높이 123㎝, 입지름 75㎝ • 소재지 : 수원화성 팔달문 &#8226..

사인비구 제작 인천 강화역사관 소장 강화 동종 (강화 범종) (보물 제 11-8호)

(보완 혹은 수정) 강화 범종 (江華 梵鍾) 문화재명강화 범종 (江華 梵鍾) 지정사항 : 보물 소재지 :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강화군(江華郡) 관청리(官廳里) 고려궁지(高麗宮址) 분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 조선 범종(朝鮮 梵鍾) 년대 : 1711年(숙종(肅宗) 11年, 강희(康熙) 50年) 요약정보 조선시대(朝鮮時代) 범종(梵鍾)의 특색(特色)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고 정상부(頂上部)는 반구형(半球形)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中央)에 쌍두일체(雙頭一體)의 용뉴(龍?)를 갖추고 있다. 범종(梵鍾)의 견대부(肩帶部)에는 4cm 정도 비스듬히 내밀린 턱이 있는 것은 고려 후기 동종의 입상문(立狀紋) 장식의 퇴화 형식으로 보인다. 종신(鍾身)에는 중앙에 융기된 태선 (太線) 2조(條)..

강원도 양양 낙산사 동종 (신,구범종)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낙산사종과 봉선사종 강원도 양양의 낙산사종(落山寺鐘, 1469)이나 남양주의 봉선사종(1469)은 장소와 크기는 조금 다르지만 흥천사종(興天寺鐘, 1462)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조선 왕실 발원 범종이란 공통점을 지녔다. 이 두 종은 공교롭게 같은 해에 만들어져 500년을 넘게 잘 보관되어 왔지만 낙산사종은 2005년 4월5일 식목일날 낙산사 산불과 함께 소실되어 그 원형을 잃고 말았다. 두 점 모두 쌍룡(雙龍)의 용뉴와 굵은 횡대로 나누어진 구획선, 종신 하단에는 파도문대를 둔 모습에서 앞서의 흥천사종을 계승한 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두 종 모두 종신 상단에 보살입상이 배치되어 있으나 낙산사 종에는 연곽과 연뢰의 표현이 생략된 점이 이채롭다. 아울러 범자문이 종신 ..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 동종(梵魚寺銅鐘)

부산 범어사 동종 (釜山 梵魚寺 銅鍾)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0호 부산 범어사 동종 (釜山 梵魚寺 銅鍾)은 부산광역시 범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구리 종이다.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90호로 지정되어 있다. 높이 127센티미터, 종구(鐘口) 지름 92.5센티미터이다. 종신에 만든 시기, 무게, 주로 만든 사람, 시주자 등의 명문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명문에 따르면 범어사 동종은 1728년에 김성원(金成元)과 김선봉(金善奉)이 만들었다. 개요 범어사 종루에 매달려 있는 이 동종은 높이 127.0cm, 종구(鐘口) 지름 92.5cm인 규모가 제법 큰 범종이다. 천판(天板) 정상부에 쌍룡의 용뉴(龍鈕)가 조형되어 있고, 동체 윤곽선이 아래로 가면서 서서히 배가 부른 원만한 곡선미를 보여 주고 있다. ..

북한 평양종

자료발췌 2014년 1월 19일 현재 12 조선 평양종(평양시 동종) 평양특별시 중구역 청해토성터 평양종은 1726년에 제작된 조선시대 범종으로 평양의 중구역 대동문동 대동문 옆에 걸려있다. 그러나 제작년도 이전인 1714년(숙종40년) 평양에 북성을 쌓고 북장대를 세우면서 대동문 윗쪽 다락에 달려 있던 종을 옮겨달았다는 기록이 있다. 지금의 평양종은 1726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부벽루 서쪽 뜰에서 주조, 완성한 것이다. 종의 무게는 2만2천5백2십 근 15량(12t 914kg), 종의 재료는 평양성내 35개방의 백성 들로부터 거둔 주철, 생동, 유기, 철 등이다. 용뉴는 두 마리의 용두로 이루어져 있고, 종신에는 불상, 사천왕상, 구름무늬, 팔괘무늬, 종면 등이 장식되어 있다. 새로 만든 평양종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