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범종 144

일본 후쿠오카 현 아사쿠라시 (福岡県 朝倉市) 엔세이지 (円清寺)소장 고려종

일본 후쿠오카 현 아사쿠라시 (福岡県 朝倉市) 엔세이지 (円清寺)소장 고려종 일본 후쿠오카현 아사쿠라시에는 1604년에 지어졌다는 엔세이지라는 사찰이 있다. 이곳에 1912년 일본의 주요문화재로 지정된 고려범종이 있다. 출처 : 사찰순례의 친구 2018년 2월 9일 현재 https://hakataboy.co..

일본의 한국종 - 일본 시가 현립 비와호 문화관(滋賀県立琵琶湖文化館) 소장 고려범종

일본 시가 현립 비와호 문화관(滋賀県立琵琶湖文化館) 소장 고려범종 일본 시사현에는 1948 년 에 개관 한 시가 현립 산업 문화관 을 전신으로, 박물관 , 현대 미술관 , 전망 각, 민물 고기 수족관 등이있는 시가현 최초의 종합 박물관, 시가 현립 비와호 문화관이 1961 년 에 개관했다. 이..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岡山県 岡山市) 사이다이지 (西大寺) 소장 고려범종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岡山県 岡山市) 사이다이지 (西大寺) 소장 고려범종 출처 : 2000년 국립문화재연구소 발간 발간 고려범종 기록에 의하면 사이다이지(西大寺)는 751년 최초 창건 되었으며 이곳에 일본의 주요 문화재로 지정된 고려범종이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2018년 1월 2..

일본의 한국종 - 일본 다케하라시 쇼렌지 (竹原市 照蓮寺, 조련사) 소장 고려범종 (준풍4년명 범종)

일본 다케하라시 쇼렌지 (竹原市 照蓮寺, 조련사) 소장 고려범종 (준풍4년명 범종) 출처 : 중앙박물관 발행 '일본에 있는 한국범종 2018년 1월 10일 현재 ===================================================================================== 峻豊4年 丙申(936), 청동,전체높이 60.9cm, 종높이 47.6cm,입지름 41.4cm, 주종장 지말,日本 廣島縣 竹原市 竹原町 照蓮寺,일본 중요문화재 비천상의 천의자락이 연곽 사이에까지 휘날려 올라가 종신을 가득 채우고 있는데, 자세는 다소 부자연스럽지만 천진하게 웃는 얼굴이 아름답다. 천판 주연에 견대가 있고 상하대에는 4엽형의 반원모양 꽃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는데,..

(중국) 강화 전등사 범종 (傳燈寺梵鐘 ) (전등사 철종) (보물 제393호)

강화 전등사 범종 (傳燈寺梵鐘 ) (전등사 철종) (보물 제393호) 종 목 보물 제393호 명 칭 전등사 철종 (傳燈寺 鐵鍾)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1963.09.02 소 재 지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온수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중앙박물관 소장 고려범종 (14123)

중앙박물관 소장 고려범종 (1412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범종(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梵鍾)(2-53) 소 재 지(所 在 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연 대(年 代) : 14세기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42cm 종신고(鍾身高); 31cm 용통고(甬筒高); 10.5cm 용통경(甬筒徑); 3cm 상대폭(上帶幅); 2.5cm 유곽폭(乳廓幅); 1.5cm 유곽장(乳廓長); 9.3×10.5cm 하대폭(下帶幅); 4.2cm 종구경(鍾口徑); 34cm 종구후(鍾口厚); 1.5cm 본(本) 종(鍾)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에 소장(所藏)(소장번호 14123)된 것으로 용뉴부분(龍鈕部分)을 제외한 종신(鍾身) 전체(全體)가 적수(赤銹)가 심하게..

중앙박물관 소장 범종(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梵鍾)(2-51, 3-38)

중앙박물관 소장 범종(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梵鍾)(2-51, 3-3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범종(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梵鍾)(2-51, 3-38) 소 재 지(所 在 地) : 서울특별시(特別市)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연 대(年 代) : 14세기 지정번호(指定番號) : 실 측 치(實 測 値) : 총고(總高); 19cm 유곽장(..

경주박물관 소장 경주시 남산 천은사지 출토 범종 (天恩寺址 出土 梵鍾)

龍이 音管을 完全히 휘감고 있으며 上下帶에 寶相花文이 있고 飛天像과 撞坐가 서로 對稱되어 있다. 출처 : 이뮤지엄 2021년 2월 14일 현재 www.emuseum.go.kr/detail?cateClass=&cateListFlag=&keyword=%EB%B2%94%EC%A2%85&pageNum=10&rows=20&sort=&highQualityYn=&isImgExistOp=&mckoglsvOp=&isIntrstMuseumOp=&filedOp=&detailFlag=&dq=&ps01Lv1=&ps01Lv2=&ps01Lv3=&mcSeqNo=&author=&ps06Lv1=&ps06Lv2=&ps08Lv1=&ps08Lv2=&ps09Lv1=&ps09Lv2=&ps09Lv3=&ps09Lv4=&gl05Lv1=&gl05Lv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