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범종 146

안동 광흥사 동종(安東 廣興寺 銅鍾) (보물 제 1645호)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광흥사종·안정사종 왕실 아닌 사찰 중심으로 개인이 범종 조성 발원 15세기 후반의 해인사종(海印寺鐘, 1491년)을 마지막으로 16세기 중엽까지 범종의 제작은 갑자기 줄어들어 아직까지 이 시기에 만들어진 기년명(紀年銘) 범종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50~60년의 공백기를 지나는 동안 조선중기의 범종은 두 가지 양상을 띠게 된다. 전대에 많이 만들어졌던 외래형인 중국종을 따른 작품에서 점차 한국종과의 혼합을 이루는 혼합 범종으로 바뀌는가 하면 극히 미미하게 계승되었던 한국 전통형을 따른 범종이 점차 확산된다. 이후 16세기를 지나 전란을 거쳐 17세기에 들어오면 혼합형종과 전통형종이라는 두 가지 커다란 양식으로 정착을 이루게 되어 조선후기 범종으로 자리매김하게 됨을 알 수 ..

서울 강남구 봉은사 소장 홍무25년장흥사명동종 洪武二十五年長興寺銘銅鍾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6호 홍무25년장흥사명동종 洪武二十五年長興寺銘銅鍾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6호 명 칭 홍무25년장흥사명 동종 (洪武25年長興寺銘 銅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軀 지정(등록)일 1991.05.28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

사인비구 제작 서울 화계사 동종 (보물 제11-5호)

서울 화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서울 화계사 동종 (思印比丘製作 銅鍾-서울 華溪寺 銅鍾) (Bronze Bell Cast by Buddhist Monk Sain)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화계사동종(思印比丘 製作 銅鍾 - 서울華溪寺銅鍾)은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思印) 비구가 만든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의 하나이다. 조선 숙종 9년, 1683년에 제작되었다. 2000년 2월 1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1-5호로 지정되었다. 이 종은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사인비구의 종 가운데 쌍룡뉴 도입의 첫 번째 작품으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음을 볼수 있다. 상대와 유곽·위패·하대의 균형있는 배치방식에서 오는 공간의 안정감이나 세부표현에서 느껴지는 사실성과 화사함이 돋보이..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 참당암동종[懺堂庵銅鐘] (전북유형문화재 제136호)

전북 고창군 선운사 참당암동종[懺堂庵銅鐘] (전북유형문화재 제136호) 「선운사 참당암 건륭53년명 범종(禪雲寺 懺堂庵 乾隆53年銘 梵鍾)」 한자 懺堂庵銅鐘 영어공식명칭 Bronze bell of Chamdangam Hermitage 영어음역 Chamdangam Dongj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

전남 담양군 용흥사동종(潭陽 龍興寺 銅鍾) (보물 제1555호)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용흥사종, 대원사 부도암종, 만연사종 17세기 사장계를 이끈 선두주자 김용암 17세기 중엽부터 후반까지 승장 사인비구(思印比丘)와 쌍벽을 이루며 사장계(私匠系)를 주도하였던 김애립(金愛立)은 그 계열을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김용암(金龍岩)에서 찾을 수 있다. 김용암은 담양의 용흥사종(龍興寺鐘, 1644), 선암사 대각암 소장 대원사종(大原寺鐘, 1657), 화순 만연사종(萬淵寺鐘, 1660)을 만든 장인이다. 그의 범종은 쌍룡의 용뉴 밑으로 불룩이 솟아오른 천판의 가장자리에 둘러진 연판문대(蓮瓣文帶)와 종신에 부조된 용무늬처럼 외형 면에서는 중국 종의 영향을 많이 반영하였다. 그러나 방형의 연곽과 그 사이마다 보살입상을 배치하고 종구(鐘口)쪽에 하대(下帶)를 ..

영동 영국사 건륭이십육년명종[ 寧國寺乾隆二十六年銘鐘 ]

영국사 건륭이십육년명종[ 寧國寺乾隆二十六年銘鐘 ] 제목 : 영국사건륭26년명동종 원본보기 설명 : 조선후기 1761년에 장인 이만돌이 제작한 종. 높이 97cm. 전통종보다는 외래형에 가까운 혼합형 범종 양식을 따르고 있다.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영국사 소장. 출처 : Copyright © 한국..

강원도 강릉시 관음사(觀音寺): 극락전 범종(極樂殿 梵鍾)(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강릉 관음사(觀音寺): 극락전 범종(極樂殿 梵鍾)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종 목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명 칭 강릉관음사소장동종 (江陵 觀音寺 所藏 銅鍾)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2007.11.23 소 재 지 시 대 백제(?) 소유자(소유단체) 관..

전라북도 부안군 개암사 범종 (전북유형문화재 126호)

(수정 혹은 보완) 문화재명 : 개암사 대웅전 강희이십팔년명 범종 (開巖寺 大雄殿 康熙二十八年銘 梵鍾) 지정사항 : 시도유형문화재 소재지 : 전라북도(全羅北道) 부안군(扶安郡) 상서면(上西面) 감교리(甘橋里) 분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 조선 범종(朝鮮 梵鍾) 년대 : 1689年(숙종(肅宗) 15年, 강희(康熙) 28年) 요약정보 범종(梵鍾)의 정상(頂上) 용뉴(龍?)는 단룡(單龍)의 용체(龍體)로 감싼 용통(甬筒)을 갖고 있으며 사족(四足)으로 정상을 딛고 서 있는 형태이다. 용통의 정상부에는 조선시대 범종에서 흔히 보이는 형식과 같이 만개(滿開)한 꽃 모양으로 처리하였다. 천판(天板)은 반구형(半球形)이고 상대(上帶)와 접하는 계선상(界線上)에는 턱과 같이 돌출 된 태선(太..

포항 보경사 서운암동종 (浦項寶鏡寺瑞雲庵銅鍾) (보물 11-1호)

포항 보경사 서운암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포항 보경사 서운암동종(思印比丘製作 銅鍾-浦項 寶鏡寺 瑞雲庵銅鍾) (Bronze Bell Cast by Buddhist Monk Sain)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포항보경사서운암동종(思印比丘 製作 銅鍾 - 浦項寶鏡寺瑞雲庵銅鍾)은 경상북도 포항시, 보경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이다. 조선 현종 8년, 1667년에 제작되었다. 2000년 2월 1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선시대 종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그의 작품 8구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이 종은 사인비구가 만든 종 중에서 가장 앞선 ..